• 제목/요약/키워드: 선형모델

검색결과 4,245건 처리시간 0.04초

불확실성을 가지는 비선형 시스템의 견실 퍼지 제어기 설계 (Robust Fuzzy controller Design for Uncertain Nonlinear systems)

  • 정은태;권성하;조중선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26-32
    • /
    • 1998
  • 본 논문은 파라미터 불확실성을 가지는 비선형 시스템을 안정화하는 견실 퍼지 제어기 설계 기법을 제시한다. 견실 퍼지 제어기를 설계하기 위하여, 비선형 시스템을 Takagi-Sugeon(T-S)모델로 표현하고 퍼지 제어기는 병렬 분한 보상(PDC : parallel distributed compensation)의 개념을 이용한다. Lyapunov함수를 이용하여 파라미터 불확실성을 가지는 T-S퍼지 모델의 안정성을 논하고, 견실 퍼지 제어기가 존재할 충분조건을 선형 행렬 부등식(LMI " linear materix inequality)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이러한 선형 행렬 부등식의 해들로부터 견실 퍼지 제어기를 직접적으로 구할 수 있다.

  • PDF

열병합발전소 주증기온도 제어를 위한 비선형 PMBC

  • 조영춘;남해곤;이광식;윤성훈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63-172
    • /
    • 1995
  • 100 MW급 유류연소 드럼형 열병합발전소의 주증기온도 제어를 위한 비선형 process model based control (PMBC)을 개발하고 그 성능을 PID 알고리즘과 비교하였다. 비선형 PMBC에서는 프로세스의 메캐니즘을 비교적 충실히 반영하는 모델이 필요한데, 사용된 모델은 first principle approach를 사용하여 개발된 것으로 제어기 성능 평가와 설계에 적합한 정교한 것이다. 비선형 PMBC는 비선형 피드백, feedforward, decoupling을 제공하고 분산제어에 적합하면서 모델링 오차에 민감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PMBC와 PID 제어의 성능을 부하증가와 연료의 열량변화등의 외란에 비교한 결과, PMBC가 PID에 비하여 속응성, 절대오차 적분치, 제어노력등에서 월등하게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직접선형변환 매개변수로부터 물리적 사진기 매개변수의 산정 (Determination of Physical Camera Parameters from DLT Parameters)

  • 정수;이창노;오재홍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9-4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비측량용 시진기의 해석 모델로서 주로 사용되는 직접선형변환(Direct Linear Transformation) 모델의 매개변수로부터 물리적 사진기 매개변수를 산정하는 데 있어서의 정확도를 분석하였으며, 사진측량 작업에서 직접선형변화 모델의 사용을 최적화 하였다. 모의 관측 자료를 사용하여, 다양한 경우에 대하여 물리적 사진기 매개변수를 직접선형변환에 의한 방법과 번들 조정에 의한 방법으로 각각 계산하였으며, 두 결과에 대해 검사점들의 평균제곱근오차를 비교함으로써 직접선형변환을 적용함에 있어서 지상기준점의 배치를 최적화 하였다.

  • PDF

전진비행하는 회전익기 로터의 평균 유입류 예측기법 연구 (Investigation on Prediction Methods for a Rotor Averaged Inflow in Forward Flight)

  • 황창전;정기훈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4-129
    • /
    • 2007
  • 동 연구에서는 전진비행하는 로터의 평균 유입류 예측기법 중 Drees 선형모델, 몇가지 변형된 형태의 Mangler & Squire 모델을 서로 비교하여 각 유입류 모델의 특성을 알아내고, KARI 자체 자유후류기법 코드의 해석결과를 함께 비교하여 각 유입류 예측기법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각 예측기법의 비교를 위해 유입류 실험치가 존재하는 로터에 대하여 전진비 0.15, 0.23 및 0.30의 3가지 비행조건을 적용하여 예측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Drees 모델의 경우 비교적 실험치에 근접하게 예측하나, 선형모델의 한계로 인해 유입류의 비균일성을 모델링하기에는 미흡하며, Mangler & Squire 모델은 끝단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실험치에 근접하게 예측함을 알 수 있었으며, KARI의 자유후류기법은 유입류의 비균일성을 매우 잘 예측하나, 동체에 의한 올려흐름 효과, 후퇴부에서의 동적실속 효과 등의 추가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포화도에 따른 다공성 매질의 유효열전도도 변화 예측 모델 (A New Structural Model for Predicting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Variably Saturated Porous Materials)

  • 차장환;구민호;김영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29-639
    • /
    • 2011
  • 구조모델의 하나인 Maxwell-Eucken(ME) 모델을 이용하여 불포화 다공성 매질의 유효열전도도를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모델은 기질, 물 그리고 공기가 각각 연속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3개 ME모델의 선형조합으로 표현되며, 매질 내에서 각 성분의 상대적 연속성 정도를 나타내는 '연속성계수'의 개념을 도입하여 선형방정식의 계수로 이용하였다. 기질의 연속성계수는 공극률과 선형의 관계를, 물과 공기의 연속성계수는 포화도와 선형 또는 비선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공극구조가 알려진 3개 시료에 대한 열전달 모사 결과와 3개 시료의 열전도도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제시된 모델의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6개 시료에 대한 모델 예측값의 결정계수($R^2$)는 선형모델의 경우 0.86-0.98, 비선형모델의 경우 0.88-0.99로 나타나 모델의 예측 신뢰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6개 시료에 대한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기질의 연속성계수와 공극률과의 관계식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예측모델은 기질의 열전도도, 공극률 및 포화도로부터 불포화 다공성 매질의 유효열전도도를 계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선박 자동조타기 설계를 위한 퍼지모델링 (Fuzzy modelling for design of ship's autopilot)

  • 안종갑;이창호;이윤형;손정기;이수룡;소명옥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102-10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설계사양과 경제성을 고려한 퍼지형 자동조타기를 설계하기 위한 이전 단계로 Bech와 Wagner Smith의 Nomoto 2차 비선형 확장모델을 퍼지모델로 구현하는 것을 다룬다. 우선 퍼지형 자동조타기를 얻기 위해 선박의 동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표현 가능한 T-S 퍼지모델을 얻는다. T-S 퍼지모델은 선박의 회두각속도를 설계변수로 간주하고 이것의 변화에 따라 다수개의 지역 선형모델(서브시스템)을 구한 후, "IF-THEN" 퍼지규칙으로 결합한 것이다. 이때 선형모델의 파라미터와 퍼지모델의 소속함수는 선박의 동적인 특성과 일치하도록 입 출력 데이터와 실수코딩 유전알고리즘이 결합된 모델 조정기법을 이용하여 최적으로 추정한다.

그라우팅 영역이 선형열원 해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 of Grouting Region on the Solution of Line Source Analysis)

  • 이세균;우정선;노정근
    • 에너지공학
    • /
    • 제19권3호
    • /
    • pp.143-150
    • /
    • 2010
  • 선형열원 해석은 열원 주위가 완전히 균일한 매질로 이루어져 있다는 가정 하에 성립되는 해석이나 실제 보어홀 시스템의 경우 그라우팅 영역은 주위토양과 매우 다른 열물성치를 가진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그라우팅 영역이 선형열원 해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수치모델을 개발하고 이 수치모델에 의하여 시간에 따른 보어홀 유체온도를 생성한 후 이 유체온도를 선형열원법에 이용하여 지중열전도도와 보어홀 전열저항을 구하며 이렇게 구한 해를 수치모델의 입력조건과 비교함으로서 그 차이점을 규명한다. 이러한 해석결과 선형열원법의 해인 지중열전도도와 보어홀 전열 저항은 수치모델 입력조건에 비해 대략, 86%와 91%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선형열원 해로부터 수치모델의 입력조건을 역산해 나가는 Chart법이 본 연구에서 개발되었으며 시험용 보어홀의 열응답시험 결과와 비교해 본 결과 이 Chart법은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라우트 영역의 열물성치를 변화시켜가며 선형열원해의 특성이 어떻게 변하는지도 검토하였다.

분산 제약을 갖는 비선형 시스템의 최적 퍼지 필터 (Optimal Fuzzy Filter for Nonlinear Systems with Variance Constraints)

  • 노선영;박진배;주영훈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49-55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추정 분산 제약을 갖는 비선형 이산시간에 대한 최적의 퍼지 필터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필터를 설계할 때, 추정오차의 분산값은 필터의 성능이 결정하는 변수중 하나다. 이런 분산값에 더욱 강인한 필터를 설계하고자, 분산 제약 조건을 주어 필터를 설계하고자 한다. 먼저, 비선형 모델을 Tagaki-Sugeno 퍼지 모델을 이용하여 선형 모델로 변형한 후, 이 모델을 기반으로 선형 필터를 디자인한다. 이때 필터설계 과정 중 필터의 각 파라미터값을 구하기 위해 상태 추정오차 값은 평균제곱에 제한되며, 상태오차의 정상상태 분산값은 각각의 미리 정한 상한 제한 값 보다 작은 조건에서 필터를 설계하여 선형행렬부등식과 대수 이차 행렬부등식을 이용하여 파라미터값을 구한다. 이렇게 설계된 퍼지 필터는 트럭트레일러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계 과정과 성능을 보여준다.

외력을 가진 사랑 모델에서 비선형 거동 해석 (Analysis of Nonlinear Behavior in Love Model with External Force)

  • 황림운;배영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845-850
    • /
    • 2015
  • 사람의 감정 중의 하나인 사랑은 사회학과 심리학에서 주된 관심사로 연구되어 왔다. 기본적인 사랑 모델에서 비선형 특성을 찾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인 사랑모델에서 비선형 거동을 찾기 위하여 기본적인 사랑 방정식에 외력을 주고 이때의 시계열과 위상 공간을 통하여 비선형 거동이 있음을 확인한다. 또한 이 비선형거동이 일반 카오스 발생현상인 주기배증과정, 카오스, 주기과정의 현상과 유사하게 유사한 주기 배증 과정, 카오스, 주기과정이 있음을 확인한다.

연소 불안정 예측을 위한 열음향 해석 모델 - Part 1 : 선형 안정성 해석 (Thermoacoustic Analysis Model for Combustion Instability Prediction - Part 1 : Linear Instability Analysis)

  • 김대식;김규태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32-40
    • /
    • 2012
  • 가스터빈 희박 예혼합 연소기에서 발생하는 연소 불안정의 고유 주파수 및 초기 성장률의 예측을 위하여 선형 열음향 해석 모델이 소개되었다. 모델 검증을 위하여 입출구 조건이 잘 정의되고, 상대적으로 이전 연구 결과에서 적용된 연소기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한 모델 연소기가 선정되었다. 정의된 연소기에서 음향 해석을 위한 선형 관계식이 유도되었고, 이를 통하여 선형 안정성 해석 방안이 제시되었다. 해석 결과 연소 불안정의 특성에 대한 전체적인 변화 경향은 성공적으로 예측하였으나, 주파수의 절대값에 있어서는 실제 실험 결과보다 다소 작은 값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파수의 예측 오차는 짧은 화염보다는 긴 화염에서 더욱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