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행압밀하중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8초

생석회 혼합토의 압축특성에 관한 연구 (Compressi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Lime Treated Clay)

  • 민덕기;황광모;오미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23-2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외부적인 원인에 의한 지반의 산성화가 생석회 혼합토의 압축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생석회 처리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산화철, 염과칼슘, 황산칼슘 등의 제 2의 화학적 첨가제를 혼합하였다. 이 생석회 혼합토의 압축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rapid inflection point method을 이용하여 신속한 압밀시험을 실시하였다. 공장폐수 또는, 산성비 등에 기인한 지반 산성화는 토양 속에 존재하는 황산염과 생석회의 칼슘이온이 반응하여 팽창성 광물인 ettringite 등을 생성시키므로 인공 산성비를 이용하여 pH를 변화시켜 생석회 혼합토에 혼합하였다. 실험결과, pH가 감소함에 따라 압축지수는 증가되고, 선행압밀하중과 압밀계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생석회 혼합토의 압축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적 첨가제 중 염화칼슘을 혼합한 생석회 혼합토의 경우, 압축지수를 감소시키고, 압밀계수와 투수계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화철을 혼합한 생석회 혼합토의 경우, 생석회 혼합토에 비해 선행압밀하중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압축특성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중증가율(荷重增加率)이 이차압밀(二次壓密)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Influence of Load Increment Ratio on the Secondary Consolidation)

  • 지인택;강예묵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110-117
    • /
    • 1983
  • 본(本) 연구(硏究)는 쌍곡선법(雙曲線法)을 이용(利用)해서 하중(荷重) 증가율(增加率)이 이차압밀(二次壓密)에 마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아산만(牙山灣)의 해성점토(海成粘土)에 대(對)하여 시험(試驗)한 것으로 그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略)하면 다음과 같다. 1. 쌍곡선법(雙曲線法)에 의(依)한 이차압밀량산정(二次壓密量算定) 값은 Casagrande의 log t 법(法)에 의(依)한 값보다 약간 작았으나, 그 차이(差異)는 미소(微小)하였고 쌍곡선법(雙曲線法)으로는 하중(荷重) 증가율(增加率)이 작을 때에도 쉽게 이차압밀량(二次壓密量)을 산정(算定)할 수 있었다. 2. 하중증가율(荷重增加率)이 작을수록 이차압밀비(二次壓密比)는 크게 나타났으며 하중증가율(荷重增加率)이 작을때 일어나는 심하곡선(沈下曲線)의 creep 현상(現象)은 이차압밀(二次壓密)에 기인(起因)한 것이라 생각된다. 3. 일차압밀중(一次壓密中)에 생기는 이차압밀(二次壓密)는 과압밀영역(過壓密領域)에서는 불규칙(不規則)했으나, 과압밀영역(過壓密領域)에서는 하중증가율(荷重增加率)이 작을수록 증가현상(增加現象)을 보였다. 4. 이차압밀계수(二次壓密係數)는 하중(荷重)의 증가(增加)에 따라 점차 증가(增加)하여 선행하중근처(先行荷重近處)에서 변곡점(變曲点)을 이루었고 하중(荷重)이 $2kg/cm^2$부터는 감소현상(減少現象)을 나타냈으며 이차압밀계수(二次壓密係數)는 하중증가율(荷重增加率)과 무관(無關)함을 보였다. 5. 이차압밀계수(二次壓密係數)와 압축지수(壓縮指數)는 비례관계(比例關係)를 나타냈다.

  • PDF

압밀계수 산정방법의 비교연구 및 전산프로그램의 개발 (Comparative Study and Development of Computer Program on The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 장병욱;윤상묵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96-104
    • /
    • 1991
  • The research effort has been focused on better calculation methods for the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under the theory of one dimensional consolidation. This research has been made available to engineers in the form of the computer program COMCv.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e result of the engineering analysis, programming, and field observations. 1.Performing comparative study on six mehods(Taylor, Casagrande, Sivaram & Swamee,Su, Cour, and Scott) which can find out the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the computer program COMCv is developed for each method. 2.Comparing the observed settlement and computed one in use of the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computed with COMCv, the result by the method of Sivaram & Swamee, Taylor, and Su is closer to the observed settlement.

  • PDF

배수재가 설치된 압축성 지반의 축대칭 비선형 압밀해석 (Azisymmetric Nonlinear Consolidation Analysis for Drainage-Installed Compressible Deposits)

  • 김윤태;이승래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2권1호
    • /
    • pp.5-20
    • /
    • 1996
  • 연약지반 처리방법으로 압밀을 촉진시키고, 이로 인한 전단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선행압밀하중공법과 병행된 배수공법이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재가 설치된 연약지반의 압밀과정동안에 유발되는 간극비의 감소로 인한 압축성과 투수계수의 변화를 고려할 수 있는 축대칭 비선형 압밀이론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축대칭 비선형 압밀이론을 명백한(explicit) 유한차분법을 적용하여 해석용 프로그램(AXICON)을 개발하였으며 현장지반의 교란효과나 층으로 이루어진 지반을 해석할 수 있도록 보완하였다. 또한 현장지반의 단계적 시공절차를 고려하여 하중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AXICON 해석결과를 기존의 Hansbo와 Barren의 해석적인 해와 비교 검토하였으며 현장지반에서 계측된 침하량과 과잉 간극수압의 자료와 비교하였다.

  • PDF

낙동강 삼각주에서 선행하중에 따른 침하예측 및 현장계측 (Prediction and Field Measurement of Settlement due to Preloading at the Delta of Nakdong River)

  • 정성교;백승훈;김규종;이대명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99-110
    • /
    • 1999
  • 선행하중공법이 실시되는 낙동강 삼각주에서 체계적인 지반조사를 통하여 침하량과 압밀소요 시간이 예측되었으며, 엄선된 각종 계측기를 이용하여 현장계측이 수행되었다. 비교결과, 약20m 두께의 모래층에 대하여 예측침하량은 실측치의 20%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과소평가의 원인은 PBD타입시의 진동, 시간의존적 침하 및 탄성계수의 과대평가 등에서 비롯되었다. 모래층 아래에 위치한 약 20m 두께의 점성토층이 미압밀상태에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던 이유 때문에 예측침하량은 실측치에 비하여 약240%까지 과대평가되었다. 그러나 압축곡선을 재구성하고 정규압밀점토를 위한 압밀침하공식을 적용하였을 때 재계산된 침하량은 실측값에 비교적 비슷하였다. 그리고 압밀소요시간은 각종 영향인자로 인하여 실제값에 비하여 약45% 과소평가되었다.

  • PDF

KUCCS를 이용한 선행압밀하중 및 압밀계수 결정법에 대한 연구 (Study for Determination of Preconsolidation pressure and Consolidation coefficient Using KUCCS)

  • 김태준;이문주;홍성진;이우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672-677
    • /
    • 2004
  • This paper is on determination method of preconsolidation pressure and consolidation coefficient using Kores University Calibration Chamber System(KUCCS). High-quality, large-size cohesive soil specimen was prepared by using two-stage slurry consolidation technique, which has many advantage for research and calibration purpose. The result from consolidation stage in KUCCS was compared with results of oedometer test. The results by Casagrcnde method gave very good agreement with preconsolidation pressure in slurry consolidometer. And, the predicted consolidation coefficient by log t method showe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in KUCCS.

  • PDF

해성점토지반에서 CPT를 이용한 응력이력(OCR, $\sigma$를 p)의 산정 (Profiling Stress History(OCR, $\sigma를$p) of Marine Clay Using Piezocone Penetration Test)

  • 이강운;윤길림;채영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73-81
    • /
    • 2002
  • 국내 남해안 해성점토 지반의 응력이력(stress history)에 대하여 피조콘 관입시험 방법을 이용하여 통계분석과 사례 연구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경험식과 피조콘 관입시험으로 산정한 선행압밀응력과 과압밀비는 이론적, 경험적 상관관계를 찾고자 회귀분석을 수행하였고 기준값은 실내 표준압밀시험 결과를 토대로 하였다. 표준압밀시험에서 나타난 조사 지반의 응력이력 상태는 전체적으로 해수면 아래 표층 l0m까지는 과압밀된 상태였으나, 표층 l0m 아래 깊이에서는 과압밀비(OCR)가 0.3까지도 존재하여 전반적으로 지층상태는 불안정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응력이력에서 선행압밀하중의 결정은 Chen과 Mayne(1996)의 경험방법과 Konrad와 Law(1987)의 이론공식을 사용하였다. 산정결과, Chen과 Mayne(1996)의 경험공식중에서 간극수압을 이용한 예측방법이 가장 신뢰성이 높았다. 그리고 과압밀비도 Chen과 Mayne(1996)의 경험식이 가장 높은 신뢰성을 보였다. 하지만 Mayne과 Holtz(1988), 그리고 Mayne과 Bachus(1988)방법은 각각 OCR이 1.0이하인 미압밀 지반에서 좋은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피조콘 관입시험으로부터 지반의 응력이력을 산정하는 다양한 방법은 대부분 지반조건과 위치에 따라 그 결과가 크게 다르므로 지역과 현장특성을 반영한 적합식을 개발하여 지반 설계에 활용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콘 관입저항치를 이용한 수직배수재 타설심도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Construction Depth of Vertical Drain by Cone Resistance)

  • 장서용;김종렬;신윤섭;마봉덕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163-170
    • /
    • 2006
  • 최근 피조콘시험은 과거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표준관입시험과 함께 연약지반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빈번히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부지반의 지층상태를 파악하고 설계를 위한 연약지반 심도 결정 및 시공시 수직배수재 타설심도 결정시 그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표준관입시험결과, 선행압밀하중, 수직배수재 타설시 관입에너지와 피조콘시험을 통한 콘 관입저항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 지역별로 일정한 표준관입저항치를 기준으로 평균 연약지반심도를 결정하여, 동일한 심도에서 피조콘관입저항치를 값을 분석한 결과 qc=(1.09~1.63)N, 선행압밀하중을 고려한 결과 qc=(1.21~1.98)N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수직배수재 타설시 관입에너지와 피조콘시험을 통한 콘 관입저항치(qc)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평균적으로 피조콘 관입저항치 $10kgf/cm^2$의 경우 수직배수재 타설 시 관입저항치는 약 $65{\sim}70kgf/cm^2$ 의 값을 나타내었다.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연약지반의 지반설계정수 예측 (Prediction of Various Properties of Soft Ground Soil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김영수;정우섭;정환철;임안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2C호
    • /
    • pp.81-88
    • /
    • 2006
  • 연약지반의 설계정수로 사용되는 비배수전단강도 및 선행압밀하중의 예측을 위해 전국적으로 산재해 있는 6개의 연약지반 대상구역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역전파학습알고리즘을 통해 학습 및 예측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치와 신경망학습의 결과치는 상관계수 0.9이상의 값을 나타냄으로서 높은 상관성를 나타내었으며 자연함수비, 간극비, 비중, 세립토의 함유율은 상관성을 높이는데 상당한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연약지반개량공법설계시 충분한 양질의 자료만 확보할 수 있다면 다양한 지반의 물성치를 인공신경망을 통해 효율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해성점토의 교란이 압축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sturbance on the Compressibility Characteristics of Marine Clay)

  • 유성진;채영수;김종국;윤원섭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2호
    • /
    • pp.95-10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서 남해안의 해성점토를 대상으로 대형블럭시료와 피스톤 시료를 채취하여 시료교란도 평가와 다양한 압밀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들 시료에 대하여 시료교란도 분석과 다양한 압밀시험결과를 토대로 압축특성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대형블럭시료는 압밀시험으로 결정한 선행압밀하중까지의 체적변형률이 피스톤 시료보다 더 낮으며, 대형블럭시료에서 얻은 압축지수는 피스톤시료의 압축지수에 비하여 더 크게 나타났다. 샘플링 방법에 따른 압축지수에 끼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새로운 압축지수 추정식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압축지수 제안식을 이용하여 압밀침하량을 추정한다면, 관행적으로 피스톤 샘플로부터 압축특성을 결정하는 경우보다 더 합리적으로 침하량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