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택형

검색결과 3,271건 처리시간 0.033초

ATSC DTV 수신기의 성능 개선을 위한 최적의 빔 선택 알고리즘 (Optimal Beamselection Algorithm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ATSC DTV Receiver)

  • 김주연;배재휘;임종수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259-262
    • /
    • 2004
  • 본 논문은 열악한 채널 환경에서 ATSC 방식의 DTV 수신기의 성능 개선을 위해 빔 선택형 DTV 수신기 구조와 최적의 빔 선택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빔 선택형 DTV 수신기의 채널 개선으로 인한 수신기의 성능 개선 효과와 이에 따른 최적 빔 선택을 위한 조건들을 살펴된다. 그리고 필드 테스트를 통해 측정된 ATSC DTV 수신 채널 모델링을 이용하여 등차기만을 사용하는 기존의 DTV수긴기와 빔 선택형 DTV수신기의 성능을 모의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의사결정나무에서 순서형 분리변수 선택에 관한 연구 (Ordinal Variable Selection in Decision Trees)

  • 김현중
    • 응용통계연구
    • /
    • 제19권1호
    • /
    • pp.149-161
    • /
    • 2006
  • CART로 대표되는 의사결정나무의 알고리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분리변수의 선택방법이다. 대부분의 알고리즘은 변수의 형태가 연속형인지, 혹은 명목형(nominal)인지에 따라 별개의 변수선택방법을 적용한다. 하지만 변수의 형태가 순서형(ordinal)인 경우에는 그 변수를 연속형으로 취급하여 연속형 변수선택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것은 CART와 같은 Greedy탐색을 이용하는 방법에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Greedy탐색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통계이론을 이용하여 개발된 최근의 방법들에는 최선의 대처방법이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 나무에서 분리변수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비모수적 접근 방법인 Clamor-von Mises 검정을 이용한 방법을 순서형 변수에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CART, C4.5, QUEST, CRUISE등 기존 알고리즘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의 순서형 변수 선택력을 비교하였다. 모의실험의 결과, Clamor-von Mises 검정을 이용한 변수선택방법은 순서형 변수의 분류력을 기존 방법들에 비해 더 정확히 예측하는 좋은 성과를 보여주었다.

지불의사 유도방식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감축의 편익 비교 분석 (Welfare Evaluation in Contingent Valuation under Alternative Approaches for Incorporating Respondent Uncertainty)

  • 김충실;이상호
    • 환경정책연구
    • /
    • 제8권3호
    • /
    • pp.163-180
    • /
    • 2009
  • 이 논문에서는 전체 표본을 2개의 표본으로 분리하여 지불의사금액의 유도방식에 따라 WTP가 얼마나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즉 온실가스 감축의 편익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양분선택형 방식과 다중범위 이산선택형 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불의사 유도방식에 따른 지불의사금액의 차이는 일반적 기대치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분선택형 방식의 평균 WTP는 다중범위 이산선택형의 MBYES와 PRYES의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양분선택형의 경우 월 평균 WTP가 7,470원인 반면 MBYES의 WTP는 11,999원이며 PRYES의 WTP는 6,704원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호 불확실성을 반영한 다중범위 이산선택형의 평균 WTP는 정책의사 결정에 있어 다양한 판단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즉 사업평가의 기준이 되는 편익/비용분석에 있어 선호불확실성의 정도를 반영한 다양한 사업평가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 PDF

다수의 공급자-수요자간 지능형 공급망운영 시스템 (An Intelligent Supply Chain Operation System between Multiple Suppliers and Customers)

  • 윤한성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9-246
    • /
    • 2002
  • 기업간 거래에서 다수의 공급자-수요자간 거래대상자의 선택을 인터넷(Internet)상의 e-Marketplace 시스템을 통해 효율화할 수 있을 것이다. 구매기업 중심의 공급자 선택이나 구매/조달에는 e-Procurement 시스템이 적절할 수 있다. 또한, 거래대상자의 선택이나 계약과정 이후, 다수의 공급자-수요자간 여러 협력관계 속에서 거래 물량의 효율적인 공급과 운송을 위한 시스템 기능 역시 필요한 것이다. 지능형 에이전트를 비롯한 지능형 시스템은 인터넷 거래상에서 공급자-수요자간 경쟁이나 선택 또는 거래절차의 처리에 대해 활용방안이 제안되고 범위를 넓혀 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에서는, 공급자-수요자간 경쟁이나 선택과정의 다음 단계에 필요한, 다수의 공급자-수요자간 실제 거래 물량의 공급을 위한 최적 공급망운영(supply chain operation) 시스템을 지능형 에이젼트 체계를 활용하여 구성하였다.

  • PDF

이중 양분선택형 질문 CV자료에서의 정박효과 검토

  • 신영철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8권1호
    • /
    • pp.51-73
    • /
    • 1998
  •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의 지불의사 유도방법인 이중 양분선택형 질문법은 단일 양분선택형 질문 CV자료의 통계적 비효율성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안되었다. 이 방법은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출발점 편의의 심리학적 근거인 정박효과 (anchoring effect)의 발생 가능성을 의심받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중 양분선택형 질문 CV자료에서 정박효과를 검토할 수 있는 일반적 지불의사금액모형을 제시하고, 그 모형으로부터 정박효과를 검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모형은, Cameron and Quiggin(1994)이 제안한 이변량 모형에 두 번째 내재 지불의사금액의 설명변수로서 처음 제시된 특정금액에 대한 양분선택적 응답결과를 포함시킨 형태이다. 이 모형에서 처음 제시된 특정금액에 대한 양분선택적 응답결과의 계수 부호가 음(-)이고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면 정박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이러한 계수 검토에서 정박효과 발생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 두 번의 응답에서 두 지불의사금액 추정치들의 평균이 다르다고 볼 수 없다면 정박효과를 우려할 필요가 없다. 이 검토 모형 및 방법을 본 연구에서 한강 수질 개선에 대한 CV자료에 적용해 본 결과 정박효과를 우려할 필요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선택형 공익직접지불제도의 추진체계 분석 (An Analysis on the Implementation Framework of the Selective Public-Benefit Direct Payment)

  • 채홍기;김세혁;김태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90-397
    • /
    • 2021
  • 선택형 공익직접지불제도는 농업인이 일정 수준 이상의 공익기능 증진 활동에 참여할 경우 경제적 유인을 제공하는 제도이다. 하지만 현행 선택형 공익직접지불제도는 과거의 직불제를 통합하는 수준에 그쳐 공익기능 증대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추진체계를 개편하여 농업의 공익기능에 대한 국민적 요구를 수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계층화 분석적 의사결정법과 네트워크 분석적 의사결정법을 활용하여, 선택형 공익직접지불제도 추진체계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개편방안을 제시한다. 분석을 위하여 관련 전문가 51명을 대상으로 2020년 8월부터 약 두 달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추진체계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효과성, 실행가능성, 농가수용성 중에서 효과성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공익기능 증진을 위한 최적의 추진체계는 세부활동형, 묶음형, 포괄보조형 중 묶음형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묶음형의 경우 여러 세부활동 조합의 효과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므로 농업환경보전 프로그램과 같은 기존의 사업을 활용하여 묶음형에 대한 시범사업을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선택형 공익직접지불제도 추진체계(안)의 평가를 통해 정책 추진 방향에 대한 지표를 제공함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앞으로 공익직접지불제도 개편에 객관적인 근거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데스크탑 PC를 위한 적응형 메뉴의 사용성 비교 평가 (A Usability Evaluation of Adaptive Split, Adaptive Style, and Adaptable Menus for Desktop PCs)

  • 박정철;한성호;박용성;조영석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419-424
    • /
    • 2006
  • 본 연구는 데스크탑 PC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적응형 메뉴 인터페이스의 사용성을 평가한다. 선택 빈도에 따라 자동으로 변화하는 2가지 방식의 Adaptive menu와 사용자가 메뉴 내에서 원하는 항목의 위치를 직접 변경하는 Adaptable menu의 사용성을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Traditional menu와 비교하기 위해 사용자를 동원한 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Adaptive menu에는 선택 빈도가 높은 메뉴 항목이 메뉴의 상단으로 이동하는 Adaptive split menu와 자주 선택되는 항목이 굵은 글씨로 표현되는 Adaptive style menu가 포함된다. 각 방식의 적응형 메뉴가 자주 선택되는 메뉴 항목의 변화에 따라 얼마나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지 비교하기 위해, 두 개의 각기 다른 선택 빈도 분포가 이용되었다. 각 실험 조건 별로 사용자가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데 걸린 시간과 오류 회수를 측정하였으며, 피실험자로 하여금 시인성, 효율성, 전반적 선호도 등의 주관적인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각각의 종속 변수들은 분산 분석(ANOVA), Chi-square test, Friedman test 등의 기법을 이용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Adaptable menu가 다른 방식의 메뉴들에 비해 수행도와 만족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daptive split menu는 상대적으로 현실적인 조건 하에서 큰 효용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daptive style menu는 수행도 측면에서는 일반적인 메뉴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자주 선택되는 항목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해 주고, 선택 빈도의 변화에도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들에게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데스크탑 PC의 적응형 메뉴 설계에 대한 이용될 수 있으며, 추후 휴대용 정보기기의 적응형 메뉴에 대한 사용성 연구의 기초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개방형 문제와 선택형 문제 해결에 나타난 학생의 추론 비교 (A Comparison of Students' Reasoning Shown in Solving Open-Ended and Multiple-Choice Problems)

  • 이명화;김선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1호
    • /
    • pp.153-170
    • /
    • 2017
  • 본 연구는 학생들의 추론 활동이 활발할 것으로 기대되는 개방형 문제와 학생들이 익숙해하는 선택형 문제에서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면서 보이는 추론의 유형과 추론 과정이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개방형 문제 해결에서 추론을 증진시키는 교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선택형 문제에 비해 개방형 문제 해결에서 학생들은 더 다양한 추론 유형을 나타냈고, 추론이 연쇄적으로 진행되면서 확장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개방형 문제에서는 학생들의 개연적 추론의 한 유형인 가추가 활발하였는데, 이에 따라 교사는 격려, 촉진, 안내의 역할을 하였다. 이에 교사는 수업과 평가에서 개방형 문제를 제시하고, 학생들이 추론에 어려움을 느낄 때 적절한 발문으로 학생들의 추론이 더욱 활발해지도록 돕는 역할을 해야 한다.

Target Field Approach를 사용한 방사형 표면 경사자계코일의 설계 (Radial Surface Gradient Coil Design Using Target Field Approach)

  • 이종권;양윤정;오창현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0-252
    • /
    • 1995
  • 이 논문의 목적은 Target field approach를 사용하여 2차원적인 공간선택을 할 수 있는 방사형 표면 경사 자계코일 (Radial SGC : Radial Surface Gradient Coil)을 설계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쓰이던 원통형의 고차경사자계코일을 이용한 2차원적 원형 선택방법은 한개의 RF Puise로 2차원적인 공간 선택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으나 선택되어지는 체적의 지름이 6-8cm로 너무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영상을 얻고자하는 부분에 코일을 좀 더 가까이 붙일 수 있으며 선택되어지는 체적의 지름을 1-4cm까지 줄일 수 있는 표면 고차자계코일을 Target field approach 방법을 이용하여 설계하였으며 Phantom과 인체영상을 통해 제작된 코일의 성능을 확인해 보았다. 과거에 사용되었던 Field component method에서는 선택되는 부분이 찌그러지는 경우가 있었으나 Target field approach 방법에 의해 설계된 코일에 의하여 선택되는 부분은 이상적인 원에 가까운 모양이 되었다.

  • PDF

오징어류에 대한 트롤 끝자루의 망목선택성 (Mesh Selectivity of Trawl Cod-end for Squid)

  • 김삼곤;서두옥;안장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9권1호
    • /
    • pp.71-82
    • /
    • 1997
  • 최근 오징어는 주요 대상어종이 되고 있으므로, 동중국해와 우리 나라 남해에서 어획되는 Short-finned squid와 Long-finned squid에 대해 분석하였다. 조업시험은 실습선 새바다호를 이용하여 다이아몬드형 망목에 의한 조업시험은 망목의 크기가 A(51.2mm), B(70.2mm), C(77.6mm), D(88.0mm), E(111.3mm)인 5종의 끝자루를 제작하여 1991년 6월부터 1992년 12월 중에 행하였으며, 정방형망목에 의한 조업시험은 망목의 크기가 A(51.2mm), B(70.2mm), C(77.6mm), D(88.0mm)인 4종의 끝자루를 제작하여 1992년 7월부터 1994년 6월 중에 행하였다. 다이아몬드형 망목과 정방형 망목의 끝자루에 Cover net를 부착하고 Trouser방식으로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장이 201mm 이상 되는 도피율은 D Type가 A type 보다 Short-finned squid는 55%, Long finned squid는 46% 컸다. 2. Short-finned squid의 어획량은 한국남해가 동중국해 보다 2.5배 많았으며, Long-finned squid는 동중국해가 한국남해 보다 14.3배 많았다. 3. 다이아몬드형 망목의 선택성곡선에서 Short-finned squid의 평균 선택동장 49mm, 평균 50% 선택동장 141mm 이었으며, Long-finned squid의 평균 선택동장 48mm, 평균 50% 선택동장 122mm 이었다. 정방형 망목의 선택성곡선에서 Short-finned squid의 평균 선택동장 67mm, 평균 50% 선택동장 156mm 이었으며, Long-finned squid의 평균선택 동장 60mm, 평균 50% 선택동장 137mm 이었다. 4. Short-finned squid에 대한 Master curve 선택성곡선 에서 다이아몬드형 망목은 기울기 3.01, 선택계수 2.10 이었으며, 정방형 망목은 기울기 1.82, 선택계수 2.37 이었다. Long-finned squid에 대한 Master curve 선택성곡선에서 다이아몬드형 망목은 기울기 3.11, 선택계수 1.81 이었으며, 정방형 망목은 기울기 2.35, 선택계수 2.08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