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fare Evaluation in Contingent Valuation under Alternative Approaches for Incorporating Respondent Uncertainty

지불의사 유도방식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감축의 편익 비교 분석

  • Kim, Chung-Sil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Ho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충실 (경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
  • 이상호 (경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uncertainty of respondents involved in stating their Willingness to Pay (WTP). For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survey, we employed two approaches using two split samples. The respondents of one sample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express intensity of preference through Multi-bounded Discrete Choice (MBDC) WTP questions, while those in the other sample were given Dichotomous Choice (DC) WTP questions. By incorporating the two elicited degrees of preference uncertainty into examining the WTP responses, we compared the two approaches. In comparing the DC model with the MBDC model, the mean WTP for the DC model was similar to PRYES in the MBDC Model. We concluded that the MBDC model estimates the various mean WTP while considering the preference uncertainty.

이 논문에서는 전체 표본을 2개의 표본으로 분리하여 지불의사금액의 유도방식에 따라 WTP가 얼마나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즉 온실가스 감축의 편익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양분선택형 방식과 다중범위 이산선택형 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불의사 유도방식에 따른 지불의사금액의 차이는 일반적 기대치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분선택형 방식의 평균 WTP는 다중범위 이산선택형의 MBYES와 PRYES의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양분선택형의 경우 월 평균 WTP가 7,470원인 반면 MBYES의 WTP는 11,999원이며 PRYES의 WTP는 6,704원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호 불확실성을 반영한 다중범위 이산선택형의 평균 WTP는 정책의사 결정에 있어 다양한 판단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즉 사업평가의 기준이 되는 편익/비용분석에 있어 선호불확실성의 정도를 반영한 다양한 사업평가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