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캠브리아기

Search Result 14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지질시대 및 지구조별 국내대리석 석재자원의 분류와 물성

  • 윤현수;홍세선;박덕원;이병대;김주용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2.10a
    • /
    • pp.153-169
    • /
    • 2002
  • 국내 대리석류 석재자원은 지질시대 및 지구조별로 선캠브리아기의 경기육괴와 영남육괴, 시대미상의 옥천대 남서부, 캠브리아-오오도비스기의 옥천대 북동부, 그리고 일부 기타시대의 옥천대 북동부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전자는 변성퇴적암류내에 협재된 결정질 석회암, 화강암질 편마암내 포획된 결정질 석회암 등s으로 경기육괴의 포천, 김포, 온수리, 목계와 신림도폭 그리고 영남육괴의 춘양, 현동, 울진, 중평동, 장기리와 장계도폭 등이 해당된다. 시대미상암류는 옥천대 남서부로서 목계, 충주, 괴산, 강경, 남원과 송정도폭, 그리고 캠브리아기는 풍촌석회암으로 임계, 호명, 서벽리도폭 등기 해당된다. 오오도비스기는 정선석회암이 분포하는 석병산, 평창, 정선과 임계도폭, 화천리층이 분포하는 문경도폭, 그리고 황강리도폭 등디 해당한다 기타시대는 시대미상의 각력질 석회암과 상부석탄기의 홍점층군내 협재하는 결정질 석회암으로, 이들은 각각 정선도폭과 석병산도폭에 위치한다. 선캠브리아기, 시대미상, 캠브리아기 및 오오도비스기 대리석류의 물성 중에서 흡수율과 공극율은 선캠브리아기, 오오도비스기, 시대미상과 캠브리아기의 순으로 점차 감소한다. 이들의 공극율은 비중에 대하여 대체로 불규칙하며, 흡수율은 공극율에 대하여 거의가 뚜렷한 정의 상관관계를 이룬다. 압축강도는 공극율에 대하여 다소 불규칙한, 그리고 인장강도에 대하여 정의 상관관계를 이룬다. 그리고 마모경도는 압축강도와 인장강도에 대하여 대체로 뚜렷한 정의 경향을 각각 보인다. 이들 대리석류는 선캠브리아기 중경암-경암, 시대미상 중경암-경암, 캠브리아기 거의가 중경암-경암, 그리고 오오도비스기는 경암에 각각 해당한다.하고 구현 단계의 문제점들과 해결책을 기술한다. 다 솔레노이드방식 감압건조장치로 건조한 표고버섯으로 품위에 대한 유의성 검증결과, 표고버섯의 경우 온도별로는 색택과 복원률, 건조실 내부 압력별로는 수축률, 복원률에서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 본 연구에서 구명된 감압건조특성을 기초로 하여 배치식 감압건조기를 설계 제작에 활용하고자 한다.ational banks. Several financial interchange standards which are involved in B2B business of e-procurement, e-placement, e-payment are also investigated.. monocytogenes, E. coli 및 S. enteritidis에 대한 키토산의 최소저해농도는 각각 0.1461 mg/mL, 0.2419 mg/mL, 0.0980 mg/mL 및 0.0490 mg/mL로 측정되었다. 또한 2%(v/v) 초산 자체의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한 결과, B. cereus, L. mosocytogenes, E. eoli에 대해서는 control과 비교시 유의적인 항균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S. enteritidis의 경우는 배양시간 4시간까지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지만, 8시간 이후부터는 S. enteritidis의 성장이 control 보다 높아져 배양시간 20시간에서는 control 보다 약 2배 이상 균주의 성장을 촉진시켰다.차에 따른 개별화 학습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향은 패션마케팅의 정의와 적용범위를 축소시킬 수 있는 위험을 내재한

  • PDF

Deformation History of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in the Yeongyang-Uljin Area, Korea (영양-울진 지역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의 변형작용사)

  • Kang Ji-Hoon;Kim Nam Hoon;Park Kye-Hun;Song Yong Sun;Ock Soo-Seok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3 no.4
    • /
    • pp.179-190
    • /
    • 2004
  •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of Yeongyang-Uljin area, which is located in the eastern part of Sobaegsan Massif, Korea, are composed of Pyeonghae, Giseong, Wonnam Formations and Hada leuco granite gneisses. These show a zonal distribution of WNW-ESE trend, and are intruded by Mesozoic igneous rocks and are unconformably overlain by Mesozoic sedimentary rocks. This study clarifies the deformation history of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after the formation of gneissosity or schistosity on the basis of the geometric and kinematic features and the forming sequence of multi-deformed rock structures, and suggests that the geological structures of this area experienced at least four phases of deformation i.e. ductile shear deformation, one deformation before that, at least two deformations after that. (1) The first phase of deformation formed regional foliations and WNW-trending isoclinal folds with subhorizontal axes and steep axial planes dipping to the north. (2) The second phase of deformation occurred by dextral ductile shear deformation of top-to-the east movement, forming stretching lineations of E-W trend, S-C mylonitic structure foliations, and Z-shaped asymmetric folds. (3) The third phase deformation formed I-W trending open- or kink-type recumbent folds with subhorizontal axes and gently dipping axial planes. (4) The fourth phase deformation took place under compression of NNW-SSE direction, forming ENE-WSW trending symmetric open upright folds and asymmetric conjugate kink folds with subhorizontal axes, and conjugate faults thrusting to the both NNW and SSE with drag folds related to it. These four phases of deformation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orientation of regional foliation in the Yeongyang-Uljin area. 1st deformation produced regional foliation striking WNW and steeply dipping to the north, 2nd deformation locally change the strike of regional foliation into N-S direction, and 3rd and 4th deformations locally change dip-angle and dip-direction of regional foliation.

영양-울진지역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의 변형작용사

  • 강지훈;김남훈;박계헌;송용선;옥수석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5a
    • /
    • pp.84-85
    • /
    • 2003
  • 소백산육괴의 동부에 분포하는 영양-울진지역의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는 평해층, 기성층, 원남층, 평해화강편마암, 하다우백질화강편마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김옥준 외, 1963). 그러나, 최근 김남훈 외(2001, 2002)은 야외조사연구와 암석학적 및 지구화학적 연구를 통하여 주로 변성화산암류로 기재되었던 기성층은 변성화산암류가 아니라 평해층과 원남층에서 산출되는 화강암질편마암과 각섬암 기원의 변성암류가 연성전단변형을 받아 형성된 압쇄암 내지 초압쇄암으로 되어 있고, 기존의 기성층은 변성화산암류와 같이 성분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층이 아닌 구조적으로 만들어진 연성전단대의 중심부일 가능성을 시사한 바가 있다. 본 연구는 연성전단대의 연장성 및 연성전단대 형성과 관련된 지구조운동의 특성을 파악하고, 중첩된 변형구조들의 선후관계로부터 영양-울진지역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에 대한 변형작용사를 규명하기 위해 기성층의 분포지를 중심으로 이 지역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에 대한 상세한 야외지질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천(북후면-평은면)지역을 통과하여 봉화 부근에서 동북동-서남서 방향이 동-서 방향으로 전환하여 장군봉지역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우수 주향 이동성 예천전단대(KIGAM, 1995; 강지훈 외 1997; 강지훈, 2000; 강지훈과 김형식, 2000)는 영양-울진지역까지 연장됨이 확인된다. 또한, 영양-울진지역의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에는 연성전단변형 이전에 적어도 한 번의 습곡작용과 이후에 적어도 두 번의 습곡작용이 인지된다. 각 변형단계별 특징적인 구조요소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D1 변형: 편마면 내지 편리(S0)가 습곡되어 형성된 F1 습곡은 동-서 방향의 준 수평적인 습곡축을 갖는 뿌리 없는 등사습곡 형태로 인지된다. 양 날개부의 S0 엽리는 F1 습곡축면(S1)으로 완전히 전위된 하나의 엽리(S0-1)로 나타나고, S0-1 엽리는 이 지역의 광역엽리로 인지된다. S0-1 광역엽리는 구성암류의 대상 분포 방향과 유사한 서북서 주향에 북쪽으로 중각 경사하는 집중된 방향성을 보이며 분산되어 나타난다. D2 변형: 변형구조로는 신장선구조, 압쇄구조면, 비대칭습곡 등으로 인지된다. 신장선구조는 S0-1 엽리면상에서 주로 신장된 석영(집합체)과 장석(집합체)들의 정향배열에 의해 정의되고, S0-1 엽리의 주향 방향으로 저각으로 침강하는 집중된 방향성을 보이며 분산되어 나타난다. 신장선구조에 평행하고 S0-1 엽리에 수직한 단면에서는 상부-동쪽-이동의 우수주향 이동성 연성 전단운동감각을 지시하는 구조요소들이 다량 관찰된다. 연성전단변형에 의해 형성된 압쇄구조면은 전단엽리와 압쇄엽리에 각각 해당하는 C면과 S면 등이 인지된다. 전단엽리 C면은 S0-1 광역엽리와 거의 일치하고, 압쇄엽리 S면은 F2 비대칭습곡의 축면엽리와 거의 일치한다. S0-1 엽리를 습곡시키는 F2 비대칭습곡은 S0-1 엽리를 전단면으로 하여 상부-동쪽-이동 전단운동에 의해 형성된 밀착습곡 형태로 인지된다. F2 습곡축은 북동 방향으로 중각 내지 저각 침강하고 F1 습곡축과는 65$^{\circ}$-75$^{\circ}$ 범위의 사이각을 이룬다. F2 습곡축면은 동북동 주향에 북쪽으로 중각으로 경사하고 F1 습곡축면과는 20$^{\circ}$-40$^{\circ}$ 범위의 사이각을 이룬다. D3 변형. S0-1 엽리와 압쇄구조면 등을 습곡시키는 F3 습곡은 준 수평적인 습곡축과 습곡축면을 갖는 개방 횡와습곡의 형태로 인지된다. D4 변형: F4 습곡은 비대칭 공역성 킹크습곡, 공역성 충상단층에 수반되어 나타나는 드래그습곡, 대칭 개방 직림습곡 등의 다양한 습곡 형태로 인지된다. 이들 F4 습곡의 축면엽리는 일반적으로 동-서 주향에 남쪽과 북쪽으로 경사한다. 그 경사각은 비대칭 공역성 킹크습곡(저각), 드래그습곡(중각), 대칭 개방 직립습곡(고각) 순으로 고각을 이룬다. F4 습곡축은 동쪽과 서쪽으로 저각 침강하는 집중된 방향성을 보인다. 공역성 충상단층은 동-서 주향에 남쪽과 북쪽으로 경사하는 단층면과 상부가 북쪽과 남쪽으로 충상하는 운동상을 보인다. 드래그습곡의 축면엽리는 이러한 공역성 충상단층운동의 전단압축방향에 수직으로 발달한다. 이러한 D4 변형구조는 남-북 방향의 압축 지구조 환경하에서 형성된 것으로 고찰된다.

  • PDF

Geochemistry of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from Yongin-Anseong Area, the Southernmost Part of Central Gyeonggi Massif (경기육괴 중부 남단(용인-안성지역)에 분포하는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의 지구화학적 특징)

  • 이승구;송용선;증전창정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3 no.3
    • /
    • pp.142-151
    • /
    • 2004
  • The metamorphic rocks of Yongin-Anseong area in Gyeonggi massif are composed of high-grade gneisses and schists which are considered as Precambrian basement, and Jurassic granite which intruded the metamorphic rocks.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etamorphic rocks and granites in this area based on REE and Nd isotope geochemistry. And we also discuss the petrogenetic relationship between metamorphic rocks and granites in this area. Most of Nd model ages (T$\_$DM/$\^$Nd/) from the metamorphic rocks range ca. 2.6Ga~2.9Ga which are correspond to the main crustal formation stage in Gyeonggi massif by Lee et. al. (2003). And Nd model ages show that the source material of quartzofeldspathic gneiss is slightly older than that of biotite banded gneiss. In chondrite-normalized rare earth element pattern, the range of (La/Yb)$\_$N/ value from biotite banded gneiss is 37~136, which shows sharp gradient and suggests that biotite banded gneiss was originated from a strongly fractionated source material. However, that of amphibolite is 4.65~6.64, which shows nearly flattened pattern. Particularly, the chondrite normalized REE patterns from the high-grade metamorphic rocks show the REE geochemisoy of original source material before metamorphism. In addition, the values of (La/Yb)$\_$N/ and Nd model ages of granite are 32~40 and 1.69Ga~2.08Ga, respectively, which suggest that the source material of granite is different from that of Precambrian basement such as biotite banded gneiss and quartzofeldspthic gneiss in the area.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Yecheon Shear Zone in the Pukhumyeon-Pyeongeunmyeon area, Gyeongsangbukdo, Korea (경상북도 북후면-평은면 지역에 발달된 예천전단대의 구조적 특성)

Nature of contact between the Ogcheon belt and Yeongnam massif and the Pb-Pb age of granitic gneiss in Cheondong-ri, Danyang (단양 천동리 지역 옥천대/영남육괴의접촌관계와 소위 화강암질 편마암의 Pb-Pb 연대)

  • 권성택;이진한;박계헌;전은영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 no.2
    • /
    • pp.144-152
    • /
    • 1995
  • The Jangsan Quartzite of the Joseon Supergroup and the foliated granite (so-called granitlc gneiss of presumed Precambrian age) of the Yeongnam massif are in direct contact at Cheondong-ri area, 6 km @SE of Danyang. sllthough it has been thought traditionally that the Jangsan Quartzite overlies unconformably the f&ted granite,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e contact as an unconformity smce the basal conglomerate in- the lower part of the Jangsan Quartzite does not have any clast of the foliated granite, Rather, recent structural studies of this area indlcate that the contact is a ductile shear zone. However, the sense and age of the shear movement are still problematic. Our mesoscopic and microscopic studies of &tre Cheondong-11 semi-brittle shear zone involving foliated cataclasite and phyllonite, which is a pa& of the Ogdong fault, indlcate a top-to-the northeast shearing, i.e., dextral strike slip. We also performed Pb-Pb dating for the age-unknown foliated granite, since the age of deformed granite ccarr emtrain the maximum age of deformation. The whole rock and feldspar Pb isotape data for the foliated granite and a micaceous xenolith define an isoc chron age of $2.16{\pm}0.15$ Ga ($2{\sigma}$;MSWD=4.4) which is interpreted as the emplacement age of the granite. This early Proterozoic age agrees with those of Precambrian igneous activity In the Yeongnam massif reported previously. The obtaiPrfid gge confirms the traditional idea about the age of the foliated granite and indicates that other methd(s) should be employed to constrain the age of the shear movement.

  • PDF

Geological Structure of the Jirisan Metamorphic Complex of the Yeongnam Massif in the Hwagae Area, Korea (화개지역에서 영남육괴 지리산 변성암복합체의 지질구조)

  • Lee, Deok-Seon;Kang, Ji-Hoon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4
    • /
    • pp.251-261
    • /
    • 2013
  • Hwagae area, which is situat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Jirisan province, Yeongnam massif, Korea, is mainly composed of Precambrian Jirisan metamorphic rock complex (JMRC). Lithofacies distribution of the Precambrian constituent rocks mainly shows NS-trending tight fold and EW-trending open fold. This paper researched deformational phas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JMRC based on the geometric and kinematic features and the forming sequence of multi-deformed rock structures, and suggests that the geological structure of this area was formed through at least three phases of ductile deformation. (1) Most of structural elements related to the $D_1$ deformation were recognized as $S_{0-1-2}$ composite foliation which was transposed by the $D_2$ deformation. (2) The $D_2$ deformation occurred under the EW-directed tectonic compression, and formed the NS-trending $F_2$ fold and $D_2$ ductile shear zone which is (sub)parallel to the axial plane of $F_2$ fold. (3) The $D_3$ deformation occurred under the NS-directed tectonic compression, and partially reoriented the pre-$D_3$ structural elements into ENE or WNW direction. It indicates that the distribution of Precambrian lithofacies showing NS and EW-trending folds in the Hwagae area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D_2$ and $D_3$ deformations, respectively.

Introduction of Several Albitite-greisen Type Deposits of Korea (한국 알비타이트-그라이젠형 광상의 소개)

  • Yoo, Jang Han;Koh, Sang Mo;Moon, Dong Hyeok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4
    • /
    • pp.221-231
    • /
    • 2012
  • Uljin cassiterite deposit had been known to be a pegmatitic origin derived from the Wangpiri (Buncheon) granitic gneiss of Precambrian period. Lithium ore also shows the same origin and its lithium bearing mineral was ascertained to be a taeniolite. But the presence of leucocratic granites which played the role of host rocks haven't been clearly designated yet in these provinces. Even though Bonghwa and Youngweol sericite deposits situated in the vicinities of Hambaeg syncline had been known to have their host rocks as Hongjesa Granites of Precambrian period and Pegmatitic migmatite of unknown age respectively. But younger leucocratic granites are characterized by more amounts of albite and sericite (muscovite-3T type) than those of the older granitic rocks which contain plenty of biotite and chlorites. Although the younger granites show rather higher contents of alkalies such as $Na_2O$ (0.13~8.03 wt%) and $K_2O$ (1.71~6.38 wt%), but CaO (0.05~1.21 wt%) is very deficient due to the albitization and greisenization. Manisan granite, which is assumed to be Daebo granite which intruded the Gyunggi Gneiss Complex was again intruded by leucocratic granite whose microclinized part changed into kaolins. Taebaegsan region shows a wide distribution of carbonate rocks which are especially favorable to the ore depositions. And the presence of alkali granites which formed in the later magmatic evolution are well known to be worthwhile to the prospections of various rare metals and REEs resources.

Occurrence, physical and pe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marbles by geological ages in South Korea (국내 대리석류의 지질시대별 산출 및 물리화학적 특성)

  • 윤현수;박덕원;이병대;홍세선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3 no.4
    • /
    • pp.429-444
    • /
    • 2003
  • Domestic marbles are mostly distributed in Gyeonggi and Yeongnam Massifs, southwest and northeast Ogcheon Belts, which belong to Precambrian, age-unknown, Cambrian-Ordovician ages, respectively. The former marbles occur as interbedded rocks in metasediments and xenoliths in granitic gneisses. Age-unknown ones occur as interbedded in the formations of Hyangsanri, Gyeomyeongsan, Hwajeonri and Munjuri, and some in metasedimentary rocks. The latter ones occur as interbedded in Pungchon Limestone, and in Jeongseon Limestone, Hwacheonri Formation and Great Limestone Group, respectively. Among physical properties, porosity shows irregular patterns to den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respectively. Absorption ratio has a linear pattern of positive trend to poro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mostly shows a positive trend to tensile strength. Compressive strengths of the marbles are as follows : Precambrian $1,106{\;}kg/\textrm{cm}^2$, age-unknown $935{\;}kg/\textrm{cm}^2$. Cambrian $1,162{\;}kg/\textrm{cm}^2$ and Ordovician $1,560{\;}kg/\textrm{cm}^2$, respectively. Tensile strengths have decreasing trends as the above order of geologic age. In diagrams of major elements, $Al_2O_3,{\;}Fe_2O_{3(t)}{\;}and{\;}Na_2O+K_2O$ generally show positive trends with increasing $v_2$. MgO/CaO of Precambrian and age-unknown marbles have much higher values than Cambrian and Ordovician marbles as follows, Precambrian 0.31, age-unknown 0.30, Cambrian 0.03 and Ordovician 0.08. And MgO shows a negative trend with increasing CaO, which nay be caused by dolomitization. By MgO contents they can be classified into calcitic dolomite, dolomitic limestone, limestone and dolomitic limestone, respectively.

신암리각섬암의 암석화학과 지구조적 의의

  • 박영석;김정빈;김종균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302-305
    • /
    • 2003
  • 진안-장수지역 (이하 본 역)은 한반도를 구성하는 중요한 지괴인 영남육괴 지리산지역의 북서부와 옥천지향사대의 동남연변부에 위치한 곳으로 두 지괴의 경계면을 따라 압쇄작용으로 형성된 순창전단대가 분포하며 지질시대와 암석학적 특징이 상이한 여러 화성암체가 나타난다. 본 연구지역의 지질은 지리산 편마암복합체를 기반으로 선캠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류, 신암리섬암, 장수화강편마암, 선각산화강편마암 그리고 쥬라기의 대성리엽리상화강암, 순창엽리상화강암과 남원화강암으로 구성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