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ormation History of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in the Yeongyang-Uljin Area, Korea

영양-울진 지역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의 변형작용사

  • 강지훈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김남훈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 박계헌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 송용선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 옥수석 (경성대학교 교양과정부)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of Yeongyang-Uljin area, which is located in the eastern part of Sobaegsan Massif, Korea, are composed of Pyeonghae, Giseong, Wonnam Formations and Hada leuco granite gneisses. These show a zonal distribution of WNW-ESE trend, and are intruded by Mesozoic igneous rocks and are unconformably overlain by Mesozoic sedimentary rocks. This study clarifies the deformation history of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after the formation of gneissosity or schistosity on the basis of the geometric and kinematic features and the forming sequence of multi-deformed rock structures, and suggests that the geological structures of this area experienced at least four phases of deformation i.e. ductile shear deformation, one deformation before that, at least two deformations after that. (1) The first phase of deformation formed regional foliations and WNW-trending isoclinal folds with subhorizontal axes and steep axial planes dipping to the north. (2) The second phase of deformation occurred by dextral ductile shear deformation of top-to-the east movement, forming stretching lineations of E-W trend, S-C mylonitic structure foliations, and Z-shaped asymmetric folds. (3) The third phase deformation formed I-W trending open- or kink-type recumbent folds with subhorizontal axes and gently dipping axial planes. (4) The fourth phase deformation took place under compression of NNW-SSE direction, forming ENE-WSW trending symmetric open upright folds and asymmetric conjugate kink folds with subhorizontal axes, and conjugate faults thrusting to the both NNW and SSE with drag folds related to it. These four phases of deformation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orientation of regional foliation in the Yeongyang-Uljin area. 1st deformation produced regional foliation striking WNW and steeply dipping to the north, 2nd deformation locally change the strike of regional foliation into N-S direction, and 3rd and 4th deformations locally change dip-angle and dip-direction of regional foliation.

소백산육괴의 동부에 위치하는 영양-울진지역의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는 평해층, 기성층, 원남층, 하다 우백질 화강편마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변성암류는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대상 분포를 보이고 중생대 화성암류 및 퇴적암류에 의해 각각 관입 및 부정합으로 피복되어 있다. 본 논문은 변형 암석구조의 운동학적ㆍ기하학적 특성과 중첩된 변형구조들의 선후관계로부터 영양-울진지역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의 변형 작용사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영양-울진지역의 지질구조는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의 편마면 내지 편리가 형성된 이후 적어도 네 번의 변형단계(연성 전단변형작용과 그 이전에 한 번의 습곡작용과 그 이후에 적어도 두 번의 습곡작용)를 거쳐 형성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1) 첫 번째 변형은 준 수평적인 습곡축과 북쪽으로 고각 경사하는 습곡축면을 갖는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등사습곡과 광역엽리를 형성시켰다. (2)두 번째 변형은 광역엽리의 상부가 동쪽으로 밀리는 우수 주향이동성 연성전단운동에 의해 발생하여 동서 방향의 준 수평적인 신장선구조, S-C 압쇄구조면, Z자형 비대칭습곡 등을 형성시켰다. (3) 세 번째 변형은 준 수평적인 습곡축과 저각의 습곡축면을 갖는 동서 방향의 개방 내지 킹크형 횡와습곡을 형성시켰다. (4) 네 번째 변형은 북북서-남남동 방향의 압축작용으로 발생하여 준 수평적인 습곡축을 갖는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대칭 개방 직립습곡, 비대칭 공역성 킹크습곡, 북북서 방향과 남남동 방향으로 충상하는 공역성 충상단층과 이에 수반된 끌림형 습곡 등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이러한 네 번의 변형작용은 영양-울진지역 광역엽리의 방향성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첫 번째 변형은 서북서 주향에 북쪽으로 고각 경사하는 광역엽리를 형성하였고, 두 번째 변형은 남-북 방향으로 광역엽리의 주향을 부분적으로 변화시켰으며, 세 번째 변형과 네 번째 변형은 광역엽리의 경사각 및 경사 방향을 부분적으로 변화시켰다.소가 맨틀에 존재하는 가장 풍부한 휘발성성분이며, 맨틀과 같은 고온고압에서 하나의 독립된 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맨틀과 같은 환경에서 규산염멜트(melt), 황화멜트, 이산화탄소가스 사이에 서로 불용융(immscibility) 상태도 형성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대부분의 다상의 규산염용융포유물 (II형)은 상당한 양의 규산질 유리를 지니고 있으며, 이는 하부지각/상부맨틀에서 SiO$_2$ 함량이 높은 규산질마그마가 형성되고 있음을 지시한다. 암석학적, 지화학적 정보와 함께 맨틀 혹은 하부지각 암석에 포획된 유체포유물과 용융포유물 데이터는 한반도의 맨틀에 대한 유체체계, 유체-마그마-광물 사이의 강호작용, 모암인 포획암에 대한 압력-온도 진화사를 파악하는데 크게 이용될 것이다.에서 대조구에 비해 낮은 점수를 받았으나, 이는 시료의 성숙도가 다른데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모든결과를 분석해 볼 때 환경기체조절저장은 방울토마토의 성숙 억제 및 저장품질유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기체조성은 일반토마토의 저장조건보다 이산화탄소농도가 다소 높은 산소농도 3%~5% 이산화탄소 농도 5~8%에서 저장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철쭉군목으로 대표되나 군단이 하의 군목들은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상인이론의 수정이 필요하다고 본다.가\ulcorner 본 논문에서는 표면적 형태에도 불구하고 [-wh]의미의 겹의문사는 병렬적 관계의 합성어가 아니라 내부구조를 지니지 않은 단순한 단어(minimal $X^{0}$ elements)로 가정한다. 즉, [+wh] 의미의 겹의문사는 동일한 구성요 소를 지닌 병렬적 합성어([$[W1]_{XO-}$ $[W1]_{XO}$ ]$_{XO}$)로 그리고 [-wh] 의미의 겹의문사는 중복된 발은을 지닌 한

Keywords

References

  1. 강지훈, 김형식, 오세봉, 1997, 장군봉지역 선캠브리아대-고생대 변성퇴적암류의 지질구조 -북부 소백산육괴의 중앙부 지역의 지각진화와 환경지질.- 암석학회지, 6, 244-259
  2. 강지훈, 오세봉, 김형식, 1998, 장군봉지역 북부 소백산육괴의 고생대 변성퇴적암류에 대한 변형작용과 변성작용 사이의 상대적인 시간관계. 암석학회지. 7, 190-206
  3. 강지훈, 김형식, 2000, 봉화군 상운면지역에서 북부 소백산육괴의 지질구조 해석. 암석학회지, 9, 254-270
  4. 김남훈, 송용선, 박계헌, 2001, 평해-울진 지역의 선캠브리아기 평해층과 원남층의 관계: 암석학, 지구화학, 변성작용 비교연구. 한국광물학회 $\cdot$ 한국암석학회 2001년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124-127
  5. 김남훈, 박계헌, 송용선, 강지훈, 2002, 평해-울진 지역 선캠브리아기 기성통의 부재 및 평해통과 원남통의 관계에 대한 소고. 암석학회지, 11, 271-277
  6. 김옥준, 홍만섭, 원종관, 박희인, 박양대, 김기태, 1963, 한국지질도(1:50,000) 평해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28 p
  7. 김정환, 기원서, 1991, 화순탄전에 발달된 순창전단대의 구조적 특성. 지질학회지, 27, 642-655
  8. 이병주, 김동학, 전경석, 1990, 한반도 남서부 영광읍부근 연성전단대의 변형특성 연구. 지질학회지, 26, 304-312
  9. 이병주, 1992, 화순탄전 북부지역에서 우수향 연성주향이동운동에 관련된 변형작용. 지질학회지, 28, 40-51
  10. 이현구, 박노영, 이마이나오야, 1992, 장군 광산 주변의 지질과 변성 작용. 이석 남기상선생 논문집, 21-44
  11. 장태우, 한영민, 1989, 전주 부근 화강암의 연성변형작용에 관하여. 지질학회지, 25, 164-174
  12. 장태우, 1994, 광주 전단내내 석영 분쇄암의 미구조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30, 140-152
  13. 황재하, 1994, 백악기초 이후 한반도 남동부에 작용한 고응력 복원. 지질학회지, 30, 27-34
  14. Chang, T.W., 1991, On the microstructures of mylonitic rocks -with special reference to Yecheon shear zon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7, 177-190
  15. Choi, P.-Y., 1998, Tectonic evolution of SE Korea since the Early Cretaceous. In Tectonic Evolution of East Asia: the first joint meeting of Japanese and Korean structure and tectonic group (eds. Koh, H.J. and Lee, B.J.), 113-121
  16. Choi, P.-Y., Lee, S.R., Choi, H.l., Hwang, J.H., Kwon, S.K., Ko, I.S., and An, G.O., 2002, Movement history of Andong Fault System: Geometric and tectonic approaches. Geosciences Journal, 6, 91-102
  17. Cluzel, D., Lee, B. J. and Cadet, J. P., 1991, Indosinian ductile dextral fault system and synkinematic plutonism in the southwest of Ogcheon belt (S. Korea). Tectonophysics, 194, 131-151
  18. Craig, J., Fitches, W.R. and Maltman, A.J., 1982, Chloritemica stacks in low-strain rocks from Central Wales. Geological Magazine, 119, 243-256
  19. Gregg, W.J., 1986, Deformation of chlorite-mica aggregates in cleaved psammitic and pelitic rocks from Islesboro, Maine, USA.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8, 59-68
  20. Hilde, T.W.C., Uyeda, S. and Kroenke, L., 1977, Evolution of western Pacific and its margin. Tectonophysics, 38, 145-165
  21. KIGAM, 1995, Geological map of Korea(1: 1,000,000).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22. Passchier, C.W. and Trouw, R.A.J., 1996, Microtectonics.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New York, 289p
  23. Yanai, S., Park, B. S. and Otoh, S., 1985, The Honam shear zone (S. Korea): deformation and tectonic implication in the Far East. Scientific Papers of the College of Arts and Sciences, University of Tokyo, 35, 18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