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체자세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ttitude Control of Surface Ship using fuzzy inference technique (퍼지추론 기법을 이용한 선체자세 제어)

  • 김희정;김용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1.05a
    • /
    • pp.149-152
    • /
    • 2001
  • 선박이 해상에서 운항시, 선체는 파도에 의해 심하게 동요되기 때문에 승선감과 안전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선박의 안전항해, 쾌적한 승선감, 구조적인 안전 보장을 위한 선체제어를 위한 필요성이 증대되어 왔다. 기존의 PID 제어기법 등은 정상편차가 적어 과도응답의 문제점 및 오차누적의 문제점이 있고, 퍼지제어 기법은 최적화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퍼지추론 기법을 이용한 선체자세 제어기법으로 운동체에 관한 전문가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퍼지집합과 퍼지규칙을 설정하고 설계된 퍼지 추론을 통해 현재의 운동상황을 판단함으로써 효과적인 최적화와 자세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퍼지추론을 이용한 자세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실시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시험한다.

  • PDF

선박의 최적 운항 자세 도출 및 수직 몰수 익형 주위 유동 해석을 위한 EDISON 해석자 활용

  • Kim, Yeon-Ju;Jo, Hui-Ju;Park, Sang-Mi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11a
    • /
    • pp.35-4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EDISON의 해석자를 활용하여 선박의 최적 운항 자세 도출과 같은 실용적 문제 해석뿐 만 아니라 자유 수면 및 대칭 경계 조건이 수직한 몰수 익형 주위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학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박의 자세에 따른 저항 변화를 분석한 결과 0.5m 선수 트림에서 선체 저항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동 가속에 의한 선수 어깨부의 낮은 압력 및 선미부에서의 압력 회복에 의한 것이다. 반면, 1.0m 선미 트림에서 선체 저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평형 상태보다 선미부의 압력 회복이 약하기 때문이다. 또한 자유 수면과 대칭 경계 조건이 날개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비현실적 대칭경계 조건으로 인해 날개 양력이 13%~16% 크게 나타났으므로 대칭경계조건을 사용할 경우에는 이러한 오차를 감안해야 한다.

  • PDF

A Prediction on Running Attitude of High Speed Planing Craft (고속 활주선의 항주자세 추정)

  • Oh, Kwang-Ho;Yoo, Jae-Hoon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33
    • /
    • pp.12-31
    • /
    • 2012
  • 수치 계산으로 고속 활주선의 저항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활주 상태에서의 항주자세 예측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항주자세의 변화가 큰 고속 활주선의 경우에는 활주 자세에 따라 선저 바닥면에서 나타나는 압력 변화에 의한 동적 부양력 변화가 크므로 단순히 정지 중 흘수를 기준으로 계산되어진 유체력으로 항주자세를 예측하기 보다는 자세 변화에 따른 동적 부양력의 변화와 이에 의한 자세 변화를 반복 계산을 통해 수렴시키는 것이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선형화된 자유수면 조건의 포텐셜 수치 계산으로 유체 동압력인 부양력을 계산해내고 이를 유체 정역학적 힘으로 간주하여 부력과 선체중량과의 힘과 트림 모멘트 평형 관계를 만족시키는 방법으로 반복적인 계산을 통해 수렴된 활주 자세를 얻어내었다.

  • PDF

초고속선 점성유동

  • 김형태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2 no.1
    • /
    • pp.21-27
    • /
    • 1995
  • 초고속선에 관련된 점성유동은 저한성능 향상과 운항자세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선체부 가물의 저항 예측과 초고속선에 많이 사용되는 물분사 추진장치 입구 형상의 설계 그리고 임펠 러에 이르는 덕트 유동의 예측을 중심으로 관심을 받아왔다. 본 소고에서는 통상적인 선박의 경우와는 구별되는 초고속선 고유의 점성유동 특성에 관하여 간략히 논의하기로 하고 내용을 크게 선체-부가물 점성유동과 물분사 추진장치에 관련되어 있는 덕트유동으로 나누어 기술하 였다.

  • PDF

Development of Marking Robot by using Arc Welding for Shipbuilding (조선 적용을 위한 문자마킹 자동용접장치 개발)

  • Park, Chul-Sung;Park, Jin-Whi;Ryu, Young-Soo;Lee, Jeong-Soo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3-3
    • /
    • 2009
  • 선박의 건조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선체 외판에는 선박의 안전과 운항 및 정비 등에 필요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마크 및 문자가 마킹되어진다. 하지만, 단순한 도장 작업만으로는 해상과 같은 부식 환경에서 마크 및 문자가 쉽게 지워지거나 손상되기 때문에 마크 및 문자를 용접 비드(welding bead)로 표시하거나 미리 절단된 강판(steel plate)을 수동으로 용접한 뒤 도장을 함으로써 마크 및 문자의 손상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문자마킹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기준선과 마크 및 문자의 위치를 먹줄 등을 이용하여 마킹을 하고, 해당 마크 및 문자의 템플렛(template)을 이용하여 펀칭을 실시한 후 수동으로 용접을 실시한다. 하지만, 수작업을 통한 선체외판 문자마킹 작업은 작업자의 기량에 따라 품질이 상이하여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된다. 또한 대조립 및 탑재 단계에서 문자 마킹 작업시 수직자세의 용접을 요구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사고에 노출되어 있으며, 선박의 각 단계별 주요 공정보다 작업시간이 길어져 전체 선박 건조공정을 지연시키는 문제점 등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조선업계에서는 선체 외판의 마크 및 문자를 자동으로 용접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해왔으며, 몇몇 개발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그 실효성 부분에서는 아직까지 해결하지 못한 문제점들로 인해 현장 적용에는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외판 문자 자동용접장치의 기능성뿐만 아니라 현업 적용성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문자마킹장치(Marking Robot for Shipbuilding) 개발을 진행하였다. 우선, 적절한 용접 재료를 선정하기 위해서 솔리드 와이어(Solid Wire)와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Flux Cored Wire)에 대한 비드온 용접(Bead-On Welding)을 아래보기자세와 수직자세에 대해서 실시하여 적절한 용접 조건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문자마킹 자동용접장치는 3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축들을 분리할 수 있도록 개발하여 이동성을 향상시켰으며, 작업면과 용접토치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용접전류 센서(Welding Current Sensor)를 이용하여 토치 높이(Wire Extension)를 제어함으로써 균일한 품질의 용접비드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문자마킹 자동용접장치는 본체 구동부와 제어부(Touch Screen)가 쉽게 분리되고 장착이 가능한 구조로 개발되었으며, 용접시 각 용접자세별로 용접전압, 전류 그리고 용접속도 설정이 가능하여 아래보기 자세뿐만 아니라 어떠한 자세에서도 같은 모양의 비드형상을 가지는 문자마킹용접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으며, 이는 실험과 현장적용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

이중 모형 해석을 통한 선박의 최적 운항 자세 도출

  • Lee, Jong-Hyeon;Ha, Seong-Yong;Lee, Dong-Min;Choe, Sang-Gyu;Sin, Jae-Gu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03a
    • /
    • pp.588-592
    • /
    • 2016
  • 선박의 최적 운항 자세를 찾기 위해 자유 수면을 포함한 저항 해석을 수행할 경우 많은 격자를 이용한 비정상 해석으로 인해 계산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하여 이중 모형을 이용한 정상 해석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선박의 최적 운항 자세를 도출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KCS를 대상선으로 선정하여 설계속도(24knots)와 저속(15knots)인 경우에 대하여 평형 상태 및 선수/선미 트림 상태에서 이중 모형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자유수면 유무와 속도에 상관없이 선체 자세에 따른 저항 값은 동일한 경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저속일 경우 트림조건에 따른 저항의 변화의 폭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압력저항에 기인한 것이다. 따라서 이중 모형을 이용한 저항 해석은 압력저항의 변동이 큰 경우에는 적용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하지만 마찰 저항이 주요한 경우에 적용되어 계산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정성적인 경향을 제시할 수 있는 타당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 PDF

Effects of Trim Conditions on Ship Resistance of KCS in Short Waves (단파장 영역에서 운항 자세가 KCS의 선체 저항에 미치는 영향)

  • Kim, Yeoun Joo;Lee, Sang Bo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54 no.3
    • /
    • pp.258-266
    • /
    • 2017
  • Numerical simulations of turbulent two phase flows around KCS have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trim conditions on ship resistance of KCS in short waves by utilizing waves2foam. The wave lengths of LPP/2 and LPP/4 with 1m and 2m wave heights were imposed at inlet boundary. The resistance reduction at 2m trim by head and the increase of resistance at trims by stern were observed regardless of wave lengths and wave heights. The hull pressure on fore-and-aft rather than wave patterns around bulbous bows was mainly responsible for the total resistance coefficients of KCS in short waves. A phase diagram of contribution of hull pressure to the total resistance coefficients disclosed that the phase of representing the maximum resistance in time histor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effect of trim conditions on ship resistance of KCS in short waves.

Development of Motion Control Techniques and Sea Trials of The Test Ship $\ulcorner$NARAE$\lrcorner$ (시험선 $\ulcorner$나래$\lrcorner$의 자세 제어 기술 개발 및 실해역 시험)

  • J.W. Kim;Y.G. Kim;G.J. Lee;C.Y. Lee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5 no.3
    • /
    • pp.26-37
    • /
    • 1998
  • In this study, the motion control techniques allied to the test ship NARAE are summarized and the results of sea trials are resented. NARAE adopted a hybrid hull form with lower hull and submerged foils. This type of ship has a substantial instability in heave, pitch and roll modes at the foil-borne stage due to little restoring force, so an active control is indispensable to keep the stability. 4-hydraulic actuators with servo valves were installed to drive foils, and several sensors were used to measure the motion of the ship. PID controller was adopted as a motion controller, and for the real-time control, Pentium-class industrial PC was used. Sea trials including take-off, landing, and banked turn maneuvering were carried out for a period of over 3 months and quite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Hull Appendages of High-Speed Catamarans with Modified-reverse bow on the Running Performance (반전형 선수부 형상을 갖는 고속 쌍동선의 부가물이 주행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Do-jung;Na, Hyun-ho;Kim, Jung-eun;Oh, Do-won;Choi, Hong-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5 no.5
    • /
    • pp.601-608
    • /
    • 2019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hull appendages on the high-speed catamarans with reverse bow shapes is compared and analyzed by numerical analysis and circulating water tank model test. The reverse bow shape showed an improved wave shape by shifting the generation position of forward divergent wave to the stern direction and was effective in resistance and stable running posture (Kim et al., 2019). In the model test results of the running performance as the wave patterns and the change of the running posture due to the fin fitted with the inner side of the inverted bow and the interceptor, 1) Trim characteristics of the inverted bow 2) Improvement of superposition of inner wave by Fin 3) The trim control by the fin and the interceptor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the impact of the two hull connection decks (wetde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