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박 내부 통신

Search Result 5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금속 표면파 기반 비 전파 무선통신을 이용한 선내 무선통신 신뢰성 확보 방안

  • 심우성;김부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11-112
    • /
    • 2022
  • 자율운항 선박, 무인선 개발과 동 분야 디지털트윈 구현을 위해서는 선박 내부 데이터의 수집을 담당할 고신뢰성 선내 통신망 확보가 필수적이다. WiFi와 같은 전파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은 금속 구조물로 구성되는 선박 내 환경 자체가 원활한 통신의 장애 요소이다. 이러한 극한 환경 극복을 위해 자기장을 금속 표면에 유기하여 비 전파 기반으로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표면파 통신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선박 전체의 일반 배치 관점에서 표면파 통신은 상갑판을 통해 크게 거주구역, 화물구역, 선수구역 및 기관구역 간 백본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으며 각 구역 별로는 부재의 개구부를 통해 금속 표면의 연속면을 확보하여 통신할 수 있다. 수밀 격벽의 표면파 통신 관통을 위해 비 도전체로 수밀은 유지한 채 아주 미세한 구멍을 확보하는 것으로도 금속 표면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파 통신을 활용하면 전파 기반의 무선통신, 비 전파 기반의 무선통신을 통합적으로 구성하여 선박 전체로는 선내 무선 백본망 구성, 그리고 각 구역 별로는 IoT 센서 네트워크 등의 선박 내부 고신뢰성 무선통신 확보가 가능하다.

  • PDF

Development of Multi-channels NMEA0183 Indicator System (다체널 NMEA0183 인디케이트 시스템 개발)

  • Kim, Gwan-Hyung;Oh, Am-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10a
    • /
    • pp.185-187
    • /
    • 2011
  • 최근 선박 및 물류 자동화는 물류 증대와 함께 선박의 운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으며, 선박 내부의 통신 장비 및 통신 시스템의 구성 또한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다. 때문에 지금 현재의 통신장비의 내부 통신 프로토콜은 일반적인 RS-422,485 기반의 NMEA-0183과 CAN 통신 기반의 NMEA-2000 기반으로 해상전자장비의 인터페이스 표준으로 법제화 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NMEA-0183 프로토콜을 7-체널의 NMEA-0183 시리얼 통신 데이터를 지원하도록 설계하였으며, 그 외에 SPI 방식의 3-체널 16비트 ADC(Analog Digital Converter)와 SPI 방식의 2-체널 펄스(pulse)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특히, 선박용 통신장비의 중요한 7가지로 한정하여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소형화를 통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그 편리성을 제공하고, 소형 PC 기반의 중앙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여 다체널 인디케이트 시스템의 효율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Ship Area Network NMEA protocol Bridge Based on Power Line Communication (전력선통신 기반의 선박용 M모A 프로토콜 브릿지 구현)

  • Kim, Gwan-Hyung;Kang, Sung-In;Jeon, Jae-Hwan;Kwon, Oh-Hyun;Oh, Am-Suk;Cho, Hyun-Cheo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4 no.11
    • /
    • pp.2419-2422
    • /
    • 2010
  • The current marine internal communication systems are usually composed of NMEA0183, NMEA2000, and MiTS protocols which are located on the physical layer based on RS-422, RS-485, CAN, and EtherNet. However, general vessel communication method have a weak point that must establish the extra private line. But,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has advantage over general vessel communication method as it uses AC220V/DC24V without changing line. Therefore, we will propose a new bridge based on the DC-PLC(power Line communication) technique which support the NMEA0183 protocol inside vessel network systems.

External Noise Reduction with LSTM-Based ANC (LSTM 기반 ANC를 이용한 외부 소음 저감에 관한 연구)

  • Jun-Yeong Jang;Hyun-Jun Cho;Hwan-Woong Kim;Seung-Hun Kang;Jeong-Mi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1108-1109
    • /
    • 2023
  • 본 논문은 선박 내부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ANC(Active Noise Cancellation)및 인공 지능 (AI) 결합 시스템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를 다룬다. 선박 환경에서의 소음은 승원의 스트레스 증가와 불편을 초래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외부 소음과 내부 소음 데이터를 수집하고, STFT(Short-Time Fourier Transform)알고리즘을 통해 소음 데이터를 분석 가능한 형태로 전처리한다. 그 후, LSTM(Long Short-Term Memory)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선박 외부에서 발생한 소음을 입력으로 받아 내부에서 들리는 외부 소음을 예측하고 제어하는 모델을 훈련시킨다. 이후 최적화 과정을 거쳐 예측 소음의 반대 파형을 생성 및 출력을 통해 ANC 를 구현한다.

The Implementation of wire and wireless Integration Module of Zigbee and Optical Communication for Ship Area network(SAN) (Ship Area Network(SAN)를 위한 Zigbee 및 광 통신 유무선 통합 모듈 구현)

  • Moon, Yong-Seon;Bae, Young-Chul;Park, Jong-Kyu;Roh, Sang-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5 no.5
    • /
    • pp.428-434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intelligent SAN(Ship Area Network) which is reliable transmission by integration of optical network of wire communication and Zigbee of wireless communication. We also implement module for remote control and constitute, managing for a various sensors and a controllers which are connected SAN integration network It will be help to prevent accident of ship to monitor work environment, real time monitoring of a equipment and main compartment of a poor ship inside. And it will be also available to enhance labor reduction, sailing safety and sailing economical efficiency of ship inside.

자율운항선박 선내 테이터 획득 및 모니터링

  • 이재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29-130
    • /
    • 2022
  • 선박 상태를 모니터링 함에 있어, 선내 내부망의 보안을 해치지 않는 상황에서 선내의 데이터를 획득하여 별도의 통신망으로 원격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데이터 습득 방법 연구하고, 데이터 지연시간을 분석한다.

  • PDF

자율운항선박을 위한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 연계 및 상호운용성 확보 방안 고찰

  • 우석;김부영;심우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01-103
    • /
    • 2022
  • 자율운항선박은 센서, IoT, 빅데이터, AI, 플랫폼 등 고도의 ICT 요소 기술이 필요한 미래 유망 산업 분야이다. 특히 선박 내부장치로 부터 수집된 정보와 선박 주변의 해상 데이터가 증가될수록 선박 대 선박 및 선박 대 육상 간 정보 교환 체계인 해상통신망의 중요성은 커질수 밖에 없다. 해양수산부는 2020년 세계 최초로 대한민국 연안으로부터 최대 100km 까지 해역을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체계로 구축한 바 있다. 본 논문은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LTE-Maritime)이 자율운항선박의 주요 통신 기술로써 활용되기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할 사항을 타 해상 무선통신 기술과의 연계, 업링크 및 항내 통신품질의 향상 관점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LTE-M. 망의 무선설비 다각화 사업으로 추진중인 해양 드론용 송수신기의 실해역 성능 시험을 통해, 선박과 육상 간 정보 교환에 있어 상호운용성 시험의 중요성을 재고해 보고, 해상 무선통신 체계의 신뢰성 및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무선품질지표, 상호운용성 시험 방법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System Design for Location Determination Inside the Ship (선박 내부 위치 측위를 위한 시스템 설계)

  • Park, Jin-Gwan;Jung, Min A;Yoon, Seokho;Lee, Seong R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8C no.2
    • /
    • pp.181-188
    • /
    • 2013
  • In this paper, we present a system design for location determination inside the ship. Since the GPS signal can not be received in the interior of the large vessel, we use the vessel wireless AP (Access Point)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to accurately measure the position. We convert the RSSI for the 3 AP's into distance through the Friis formula and get the location through triangulation. The signal strength varies irregularly due to noise making it difficult to obtain the exact location. Thus Kalman filter is used to real-time position correction, that is store in a server database.

Experimental study of the Flexible surface wave Resonator for metal surface with radius of curvature (선내 곡률 반경에 적용 가능한 플렉서블 표면파 공진기 실험 연구)

  • Jin-Woo Kong;Hak-Gon Lee;Hak-Sun Kim;Bu-Young Kim;Woo-Seong Sh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13-114
    • /
    • 2022
  •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erformance of flexible surface wave resonators in spaces on a ship to overcome environmental limits like non-metallic walls where conventional surface wave resonators cannot installable. Although test results in plane structure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conventional surface wave resonators are better than the flexible ones, the results are reversed in curved structures. Flexible surface wave resonators can be installed on metal-pipes that connects all spaces in a ship, and this will allow to build ultimate communication network all over the ship including the rooms like cabins or bridges that are enclosed in non-metallic walls.

  • PDF

The development of Encoder for large Marine Engines (대형 선박 엔진용 엔코더 개발)

  • Kim, Gwan-Hyung;Jeong, Hoi-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917-918
    • /
    • 2013
  • 세계 대형선박의 저속엔진(주엔진) 제어시스템이 유류비 절감과 성능 향상을 위하여 기존의 수동엔진을 대신하여 전자엔진으로 대체됨으로 따라 효율적인 엔진제어를 위하여 다양한 센서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선박엔진에 있어서 효율을 떨어지게 하는 것은 크랭크샤프트 디플렉션(deflection)에 의해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디플렉션 현상에 의하여 선박엔진에 진동이 발생하거나 선박엔진의 비동기적 운동에 의하여 선박엔진 내부의 캠(CAM) 운동의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크랭크샤프트의 상태와 움직임을 계측할 수 있는 정밀한 선박엔진용 크랭크샤프트 각도 측정 용 정밀 엔코더(Encoder)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