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박화재안전

Search Result 11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n Grid Size and Generation Method for Fire Simulations for Ship Accommodation Areas (선박 거주구역 화재시뮬레이션을 위한 격자크기와 생성방법에 관한 연구)

  • Kim, Byeol;Hwang, Kwang-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3 no.7
    • /
    • pp.791-800
    • /
    • 2017
  • For fires in ship accommodation areas, if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pattern in which fire will spread and suggest proper countermeasures according to a situation using a fire simulation tool, fire damage may be reduced. However, fire simulations have a practical limit: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is required to analyze the results due to the size of the computational domain and the number of grids. Therefore, in this study, applicable grid size for fire simulations to predict fire patterns in ship accommodation areas was analyzed, and a generation method was conducted to predict fire behavior in real time. As a result, a value within 0.25[m] was judged appropriate as an applicable grid size for ship accommodation areas. Also, in comparison with studies using a single mesh generation method, the visibility value was similar, within 4.3 %, as was the temperature value, within 8.3 %, when a multi mesh generation method was used, showing a decline of 80 % in analysis tim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composing a grid using multi mesh was effective for reducing analysis time.

A Study on the Safety Evacuation of Onboard Fire (선박화재시 피난 안전성 연구)

  • Kim, Won-Ouk;Kim, Chang-Jae;Chae, Yang-B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04a
    • /
    • pp.59-60
    • /
    • 2010
  • Unlike cases of fire on land where experienced fireman and various fire fighting equipment are present, onboard fires need to be independently extinguished, making it a complex process. The primal objective of getting quick control of a fire is to prevent casualties which generally occur from inhalation of toxic fumes rather than the fire itself. However, if for some inevitable reason the fire cannot be contained, everyone in that particular area must evacuate to avoid any possible casualties. In this research, through a simulation of the CFD, we will observe the soot density concentration which affects evacuation within an onboard fire in relation to the possible evacuation time to conclude a time zone for a safe exit.

  • PDF

A Study on the Fire Safety of the several Oils for the Vehicles (차량용 오일의 화재안전성에 관한 연구)

  • Lee, Hae Pyeong;Park, Young Ju;Lee, Seung Chul;Kim, Hae Rim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94-194
    • /
    • 2011
  • 현대 사회에서 차량을 비롯한 선박, 항공기와 같은 각종 수송수단들은 그 용도와 형태도 다양하고 널리 보급되어있을 뿐만 아니라 각 분야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 되어 있다. 그러나 수송수단의 수와 활용빈도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로 인한 차량화재, 선박화재 그리고 항공기화재 등과 같은 특수화재의 발생에 따른 재산 및 인명피해의 문제점들도 함께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2009년 기준, 1년 동안의 전체 화재발생건수 47,071건 가운데 차량화재의 발생건수가 5,958건으로서 전체의 12.6% 정도를 차지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차량 내장재의 주 재질은 가연성을 지닌 열가소성 합성수지들로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다량의 가연성 가스 및 독성가스를 방출하기 때문에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이와 같은 수송수단에 대한 화재를 예방하거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화재진압대책 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과학적이며 체계적인 대응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통한 수송수단의 화재안전성을 분석하고자 각종 수송수단에서 사용되는 오일을 대상으로 연소특성 분석 및 화재하중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 오일은 연료용과 부속용 오일로 크게 분류되며, 연료용 오일로는 차량용 경유와 휘발유 그리고 군용차량용 경유, 항공기용 백등유와 제트유, 선박용 고유황경유 등을 선정하였다. 부속용 오일로는 브레이크오일, 파워오일, 엔진오일, 자동변속기오일, 수동변속기오일을 대상으로 각각 일반용과 고급형 2가지씩 시료를 선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방법은 대상오일들의 기초물성을 고찰하기 위해서 비중계를 이용하여 각 시료들의 비중을 측정하였으며, 문헌으로부터 끓는점, 어는점 및 점도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대상오일들의 착화특성을 살펴보고자 콘칼로리미터와 인화점 측정기 및 발화점 측정기 등을 이용하여 발열량, 착화시간, 발연량, 발화점, 인화점 등을 측정하였다. 대상오일들의 물성 및 착화특성에 대한 측정결과를 살펴보면, 비중은 $725.8{\sim}1072.0kg/m^3$ 정도의 값을 나타냈고, 인화점은 영하의 인화점을 갖는 휘발유의 경우, 장비의 특성상 분석이 곤란하여 측정하지 못하였으며, 다른 시료들은 $45.3{\sim}266.6^{\circ}C$정도의 값을 나타냈다. 발화점은 $325.7{\sim}600.6^{\circ}C$정도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들을 활용하면 차량, 선박, 항공기 등에 대한 화재발생과 관련된 화재안전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수송시스템의 화재에 대한 예방 및 대응 방안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rends in safety improvement technologies for an electric propulsion system of eco-friendly ships (친환경 선박용 전기추진시스템 안전성 향상 기술개발 동향)

  • Kim, Sehwan;Choi, Gilsu;Lee, Jae Suk
    • Journal of IKEEE
    • /
    • v.25 no.3
    • /
    • pp.556-564
    • /
    • 2021
  • This paper presents trends of safety improvement technologies for an electric propulsion system of eco-friendly ships. As an effort to reduce a green house effect, demands for eco-friendly ships have been increased. An energy storage system (ESS) is one of key systems in an eco-friendly ship and a lithium-ion battery generally used in an ESS system due to its high power density and efficiency. However, a lithium-ion battery is considered as one of reasons for ESS fire hazard. Since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is especially limited in the ocean, safety issue in an eco-friendly ship is important. In this paper, recent safety improvement technologies for traction motors, ESS batteries and structures for eco-friendly ships are presented.

여객선 안전귀항(SRtP)을 위한 시스템 평가에 대한 고찰

  • Na, Seong;Park, Jae-Hong;Heo, Eu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43-345
    • /
    • 2011
  • 대형 여객선은, "a ship is its own best lifeboat"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여객선의 안전성(survivability) 향상을 위한 설계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선박의 자체 추진력으로 안전하게 항구까지 귀항하여야 한다는, 여객선의 안전귀항(SRtP) 이라는 개념을 IMO SOLAS에 적용시켰다. SOLAS의 여객선 안전귀항 관련 조항은, 길이 120m 이상인 선박 또는 3개 이상의 주 수직격벽을 가진 선박으로서 2010년 07월 01일 이후 건조되는 여객선에 적용된다. 여객선 안전귀항 관련 조항은 화재와 침수사고에 적용되며, 사고분계점을 넘지 아니하는 사고가 발생할 경우 자체 추진력으로 여객선의 안전한 귀항을 위하여 사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시스템들에 대한 설계 기준, 사고분계점을 초과하는 화재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질서 정연한 탈출 및 퇴선을 지원하기 위하여 작동상태의 유지가 요구되는 시스템 설계 기준, 사고분계점에 대한 정의, 사고 발생 후에도 여객 및 승무원의 건강을 유지 확보하기 위한 안전구역에 대한 기준들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객선 안전귀항 관련 법규들을 검토하고, 여객선 안전귀항을 위한 시스템들의 능력 평가 방법과 안전귀항 관련 조항 만족을 위한 시스템들의 요구사항들을 검토하였다.

  • PDF

Fire test procedures for flammability of bulkhead, ceiling and deck finish materials (선박의 격벽, 천정, 내장재 및 표면바닥재의 화재안정성 평가방법)

  • Kim, S.Y.;Kim, D.S.;Ahn, B.H.;No, H.S.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7.05a
    • /
    • pp.157-159
    • /
    • 2007
  • It is very important to protect life, property at sea from any fire. Recommendation on improved fire test procedures for surface flammability of bulkhead ceiling and deck finish materials specifies a procedure for measuring fire characterizing their flammability and thus their suitability for use in marine construction.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positive expected by fire test procedures for flammability of bulkhead ceiling and deck finish materials. Also, unusual materials were analyzed. Finally, we suggest methods to solve several problems related to unusual materi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