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박화재안전

Search Result 119,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사고 시나리오 위험도 모델 개발

  • 이동준;나성;김선진;정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222-224
    • /
    • 2023
  • 자율운항선박의 해상 운용은 인간의 개입 최소화 등 새로운 운용 방식의 적용과 첨단 디지털기술의 적용으로 기존 선박의 운용과 다른 형태의 다양한 새로운 위험요소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위험을 분석하기 위한 적절한 위험도평가 방법론의 적용이 요구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선박과 달리 인간의 개입이 최소화된 상태로 운용되는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사고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한 실시간 위험도 모델의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자율운항선박 화재 위험도 모델 개발을 위하여, 먼저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감지 및 제어, 비상대응 기능들을 분석하고, 기능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화재 감지 및 제어 시스템들에 대한 Fault Tree Analysis를 수행하였다.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시나리오 표현을 위하여 기관구역 화재와 화물구역 화재로 분류하여 Event Tree Analysis를 수행하였다. 또한, 자율운항선박 운용 외부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변수들을 식별하여 각 변수들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자율운항선박 화재 위험도 변화량을 검토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afety Evacuation of Onboard Fire (선박화재시 피난 안전성 연구)

  • Kim, Won-Wook;Kim, Chang-Je;Chae, Yang-Beom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29
    • /
    • pp.16-25
    • /
    • 2010
  • 선박화재는 육상과 달리 숙련된 인원과 다양한 장비에 의한 소화활동이 곤란하며 거의 자체적인 진화작업을 수행해야하므로 소화가 쉽지 않다. 화재는 일반적으로 화염에 의한 인명사고 보다 매연에 의한 질식사의 확률이 높으므로 인명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초기 진화가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부득이 소화가 지연되거나 불가능할 경우에는 화재 구역으로부터 신속한 탈출만이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CFD기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선박화재시 탈출에 지장이 되는 매연농도를 측정하고 피난시간과 비교하여 적절한 피난이 가능한지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Comparison Analysis on Status of Domestic & Overseas Vessel Fire Accident and Relevant Standards for the Fire Retardant Structure (국내외 화재발생현황 및 관련 방화구조 기준 비교 분석)

  • Um, Han-Chan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38
    • /
    • pp.12-21
    • /
    • 2015
  • 유리강화섬유(FRP,Fiber Reinforced Plastic)은 가볍고 내구성등이 우수하여 가공하기 쉬워 선박건조, 특히 어선의 건조재료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FRP의 재료인 매트와 로빙이 인화성을 가진 수지와 접합되어 화재에는 매우 취약한 특성을 가지는 특성을 가진다. 최근 10년간의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의 어선화재 재결서 분석결과 전체의 약80%에 해당하는 화재사고가 기관실에서 발생하였다. 이에 새로 출범한 해양수산부는 FRP선박의 구조기준을 개정하여 총톤수10톤 이상 선박의 기관실에 대한 방화조치를 그 이하선박까지로 적용 확대하였으며, 어선구조기준 역시 행정규칙 행정예고를 통해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본 지에서는 국내외 화재사고 발생현황 및 관련 규제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제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일반선박의 방화조치에 대한 규제는 거의 유사하였으나 어선관련 규제의 경우, 영국의 규제가 가장 강화되어 있었으며 관련 화재사고 발생현황도 국내 및 일본과 비교해 보았을때 같은 기간 발생한 일반선의 화재발생척수 대비 어선의 화재발생척수가 적은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자율운항선박 손상 및 화재 대응 시스템 전시 모듈 개발

  • 이상만;이대학;최정웅;이민규;김승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276-278
    • /
    • 2022
  • 자율운한선박에 설치되는 침수 및 화재 센서들의 정보를 활용하면 위기대응 상황 판단 및 안전성 분석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선박에 설치된 센서 정보와 대상 선박의 시뮬레이션 해석정보를 활용하여 손상 및 화재로 인한 위기 상황을 자동으로 인지하고 승조원에게 대응과 안전에 관한 정보를 전시하여 제공하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 PDF

Case Study of the Identification of Ship Zone for Generalize of Fire Safety Module in Korean e-Navigation System (한국형 e-Navigation 시스템에서 화재안전모듈 범용화를 위한 선박구역 식별에 관한 사례연구)

  • Kim, Byeol;Hwang, Kwang-Il;Moon, Ser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46-347
    • /
    • 2018
  • This study is a case study on ship zone identification for the generalization of fire safety module in Korean e-Navigation system and assessed the method of dividing the area of the ship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fire detector of the target ship.

  • PDF

선박의 환기구가 연기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적 연구

  • Kim, Won-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24-2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선박의 환기구가 화재 발생시 선박승무원의 인명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기법은 CFD을 이용한 화재시뮬레이션이다. 향후 이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선박승무원의 생존율 향상에 필요한 여러 가지 조건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주요활동

  • Korean Society of Ship Inspection and Technology
    • 선박안전기술공단 소식
    • /
    • s.5
    • /
    • pp.4-5
    • /
    • 2006
  • 한국∙알제리 선박안전 기술세미나 개최/ 기술교류 다변화를 위한 중국출장/ 강원도립대학과 기술교류협력 협정체결/ 신한은행과 MOU체결/ “FRP선박의 화재안전성 및 방화구조연구”관련 일본방문

  • PDF

A Study on the Life Risk Assessment of Ship's Engine Room Fire (기관실화재 인명위험성평가에 관한 연구)

  • Han, Sang-Kook;Cho, Dae-Hwan;Park, Chan-Soo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6.11a
    • /
    • pp.283-289
    • /
    • 2006
  • This study is a preparation for the application of FSA (Formal Safety Assessment) to the fire safety of ships. FSA is the new-fashioned methodology proposed to prevent ships from the accidents. To make a base of the fire safety assessment about ship's fire protection design and Classification Society rule, statistical informations for the fire safety engineering are investigated. From results, the necessity of new criterion for ship's fire safety design, the need to study the human behavior in the evacuation from fire, and the development of new fire progress model considering special situations in ships are acknowledg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