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박자동식별장치

Search Result 9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Using the AIS Plotter in the Safety of Coastal Passenger Ship (내항여객선 안전과 AIS 플로터 활용방안)

  • Kim, Y.M.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6.11a
    • /
    • pp.75-83
    • /
    • 2006
  • The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will provide valuable navigational information to the coastal passenger ship to which RADAR did not cover until now. 112 skippers of coastal passenger ship who are using AIS plotter responded that the AIS is very useful to their safety and they are using the AIS effectively regardless of number of seafarers, ship's speed and navigation time. It is required that all coastal ships should install the AIS to improve the safety navigation in the coastal navigation area.

  • PDF

A Study on the Revised International Standard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선박자동식별장치(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서비스 확대에 따른 기술적 특성 연구)

  • Jang, Dong-Won;Lee, Yo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149-152
    • /
    • 2007
  • AIS는 선박국과 선박국, 선박국과 해안국간의 선박 항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으로 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항행원조, 조난구조, 소형 선박 등에 탑재되어 해상 안전 확보를 위한 범위를 확대하고 있으며 차세대 해상 항행 시스템인 Electronic-Navigation을 구축하기 위한 핵심 통신 장비로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다. 또한 위성을 이용해서 기존 가시권 통신 범위를 벗어나 장거리 통신도 가능하도록 보완되고 있으며 연근해에서도 산란이나 덕팅 등 전파 현상을 활용해서 통신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인 연구 결과들이 ITU, IEC 등 관련 국제 표준에 반영되고 있다. 본 눈문에서는 최근 ITC, IEC 등에서 AIS 관련 국제 표준 개정 현황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특히 ITU-R M.1381 개정에서 변경 및 추가된 기술 항목에 대해서 분석하고 기술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Observation Days of Maritime Traffic Investigation (해상교통조사 관측일수에 관한 연구)

  • Yoo, Sang-Lok;Park, Seong-Book;Park, Young-Soo;Jeong, Jae-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1 no.4
    • /
    • pp.397-402
    • /
    • 2015
  • This study is to compare variation indexes by monthly, weekly and hourly using AIS data, which was collected for 365 days from January 1st to December 31st, 2013 at Mokpo Port and then, computed the maximum standard error by observation days. The comparison of monthly variation indexes showed that the monthly variation indexes for September and February were 1.11 and 0.84, respectively, in turn revealing that the maritime traffic in September was about 32.1 % larger than February. Also, the daily variation indexes for Tuesday and Sunday were 1.05 and 0.92, respectively, in turn revealing that the maritime traffic in Tuesday was about 14.1 % larger than Sunday. When the maritime traffic investigation is executed for at least 1 week in consideration of the daily variation index,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ximum standard error rate to be within 21 %. Therefore, if the maritime traffic investigation is made in the month and week with low maritime traffic, each variation index should be applied to reflect the actual maritime traffic.

맞춤형 관제지원시스템의 개발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Song, Hyeon-Ung;Park, Heung-Ryeol;Ji, Mi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542-544
    • /
    • 2012
  • 조선기술의 발달과 해운업체의 요구로 선박이 점차 고속화 대형화됨에 따라 선박의 통항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해양사고의 위험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어선이나 예선 등 소형선도 AIS(선박자동식별장치)를 설치하면서 관제대상 선박은 날이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선박이 항만으로 진입하기 이전 단계에 해양사고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하여 항만관제의 범위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관제사의 업무량 및 스트레스도 증가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사용중인 관제시스템은 모두 외국 제품으로 관제사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반영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여러 기종이 혼재해 있어 VTS 간 연계도 불가능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제장비를 통합 연동하여 관제사의 업무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전국 VTS 및 관련 기관 업체와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맞춤형 관제지원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 및 개념, 주요기능, 활용방안 등을 모색하여 보았다.

  • PDF

Analysis of AIS Problems in Broad Communication Coverage (광역 통신권에서의 AIS 문제점 분석)

  • Kim, Byu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430-432
    • /
    • 2013
  •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is a radionavigation equipment for exchanging safety related information between ships as well as ship and shore station, introduced by SOLAS convention and widely used especially in vessel traffic service. However, in an area of broad communication coverage of coast station, various problems may appear in receiving AIS data from ships. In this paper, AIS problems that may happen in broad communication coverage of coast station are analyzed using received data.

  • PDF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관제정보 DB 구축 및 활용 방안: 장안서 해역을 중심으로

  • Song, Hyeon-Ung;Lee, Sang-Rok;Jeong, Dae-Deuk;Gang, Nam-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391-394
    • /
    • 2013
  • 조선기술의 발달과 해운업체의 요구로 선박이 점차 고속화 대형화됨에 따라 선박의 통항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해양사고의 위험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어선이나 예선 등 소형선도 선박자동식별장치(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를 설치하면서 관제대상 선박은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관제사의 업무량 및 스트레스도 증가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관제센터에서 관제운영을 위해 사용중인 관제시스템을 제외하고는 관제사의 업무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은 연구된 바가 없다. 이 연구에서는 전자해도 기반의 관제사 지원 시스템의 주요 기능 중 관제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해양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관제통계분석 기능에 대한 개념, 주요기능 및 활용방안에 대하여 모색하여 보았다.

  • PDF

정박선 주묘판별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Gwang-Il;Jeong, Jung-Sik;Park, Gye-Gak;Choe, Un-Seong;Kim, Wan-Uk;Lee, In-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371-373
    • /
    • 2013
  • 정박중인 선박의 안전을 위하여 항해사 및 선장, 해상교통관제사(VTSO, Vessel Traffic Service Operator)는 수시로 선박이 주묘가 되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정박선의 주묘여부 판별은 선위측정에 의한 방법과 선체움직임을 감지하여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VTSO는 실제 선박의 구체적인 정박상황 파악이 어려우므로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주묘여부를 판별해야 한다. 본 연구는 VTS에서 AIS에 의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VTSO의 경험적 주묘여부 판별 알고리즘을 토대로 VTS에서 활용가능한 정박선 주묘판별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구성된 프로그램을 완도주변해역에 적용하여 선박주묘여부를 판별하였다.

  • PDF

Algorithm Implementation for Detection and Tracking of Ships Using FMCW Radar (FMCW Radar를 이용한 선박 탐지 및 추적 기법 구현)

  • Hong, Dan-Bee;Yang, Chan-S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6 no.1
    • /
    • pp.1-8
    • /
    • 2013
  • This study focuses on a ship detection and tracking method using 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FMCW) radar used for horizontal surveillance. In general, FMCW radar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maritime surveillance, because it has many advantages such as low warm-up time, low power consumption, and its all weather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effective method for data and signal processing of ship's detecting and tracking using the X-band radar. Ships information was extracted using an image-based processing method such as the land masking and morphological filtering with a threshold for a cycle data merged from raw data (spoke data). After that, ships was tracked using search-window that is ship's expected rectangle area in the next frame considering expected maximum speed (19 kts) and interval time (5 sec). By using this method, the tracking results for most of the moving object tracking was successful and tho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for ships posit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is detection and tracking method using FMCW radar improve the maritime safety as well as expand the surveillance coverage cost-effectively. Algorithm improvements are required for an enhancement of small ship detection and tracking technique in the future.

A Development of AIS Vessel Monitoring System on online map using HTML5 (HTML5를 활용한 온라인 지도 기반 AIS선박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 Lee, Seo-Jeong;Lee, Jae-Wook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5 no.6
    • /
    • pp.463-467
    • /
    • 2011
  • As the increasing of requirement for safety navigation, IMO has enforced the mandatory installation of vessel AIS equipment by SOLAS regulation. The AIS transceiver broadcasts various vessel information which can be gathered by the receivers on-board or on-shore. And, recently, as web-based application developments on various devices have been increased, there are more and more requirements of AIS information presentation on internet. To meet these web-based application requirements, this paper shows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AIS display system, which is on the Google maps as online commercial map and adopts the HTML5 as a web standard.

서해권 항로표지용 AIS 관리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Guk, Seung-Gi;Jeong, Tae-Gwon;Park, Hye-R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169-171
    • /
    • 2012
  • 근래 각국에서는 기존의 항로표지(AtoN)와 선박자동식별장치(AIS)를 혼합한 형태의 AtoN AIS를 도입하여 해상 상태 및 위치 등의 정보를 수집 전달하는 방식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국제 동향에 맞춰 AtoN AIS를 채택하여 활성화시키기는 단계에 있다. 그 중 서해안은 해양교통 환경이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곳으로, 이미 설치된 AtoN AIS 시스템의 관리 실태조사 및 연구를 통한 재평가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AtoN AIS 시스템을 국내 표준화 시스템으로 구축하기 위한 실용화 및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선진국의 AtoN AIS 시스템 구축 사례 및 관련 국제 규정을 검토하여 현재 서해안의 시스템과 비교 분석한다. 또한 실제 선박 AIS와 AtoN AIS 시스템의 상호 연계성을 연구하여 실제 운항하는 선박의 항해사들이 AtoN AIS 시스템을 선박 AIS와 같이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