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내시스템 원격모니터링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한국형 e-Navigation 선내시스템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의 연구개발 현황

  • Lee, Seung-Hyeon;Park, Jin-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158-161
    • /
    • 2019
  • 한국형 e-Navigation의 선내시스템원격모니터링시스템(SV20)은 선박의 이상 상태와 긴급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위기상황을 신속히 극복하는데 필요한 위기대응 가이던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된 시스템이다. 선내시스템에서는 육상의 기상정보와 선박의 실시간 해상정보 등을 바탕으로 선박의 실시간 복원성 정보를 제공하고, 항해 주요장비의 상태정보와 화제정보를 알람과 가이던스로 제공된다. 이들 선박에 설치된 선내시스템 정보는 LTE-M 통신기반의 MCP를 통해 전송되어 육상의 선박모니터링시스템에 동기화 되어 표출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내시스템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의 표준화 모델과 적용사례 및 연구개발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선내시스템 원격모니터링 서비스 사용자 UI 개발

  • Choe, Beom-Gyu;Kim, Tae-Jong;Gang, Gu-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42-43
    • /
    • 2017
  • 선내시스템 원격모니터링 서비스는 원격지 해역을 항행하고 있는 선박의 주요정보(화재, 경사, 탱크레벨, 기관 및 항해장비 등) 데이터를 이용하여 항행/화재/내항성 등의 선박의 이상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선박 운항자에게 서비스하는 시비스로서 선박 사용자와 육상의 이네비 센터 운용자가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UI를 개발하고 있다.

  • PDF

선내시스템 원격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수집 및 전송기술 개발

  • Jeong, Hui-Seok;Kim, Cheol-Min;Park, Jin-Hyeong;Lee, Seu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168-169
    • /
    • 2019
  • 여객의 안전운행을 위해, 선내 센서데이터 수집장치를 설치하여 선박의 항해/기관 데이터를 국제표준을 준수하여 수집한다. 노후 선박의 장비들 중 IEC 61162 표준으로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는 장비의 경우 접점신호를 수신하여 자체 정의된 NMEA0183 표준으로 재정의하여 표준화 개발을 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내부 프로토콜 및 S-100 표준을 이용하여 육상으로 전송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 PDF

한국형 e-Navigation 선내시스템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의 항해안전모듈 개발

  • Lee, Sin-Geol;Gwon, So-Hyeon;Mun, Seong-Bae;Lee, Seung-Hyeon;Park, Jin-Hyeong;Song, Jae-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162-164
    • /
    • 2019
  • 해양사고 발생이 잦거나 그 사고 여파가 매우 큰 위험물 운반선, 여객선 등 사고 취착선박의 경우 선내 장비 이상으로 인한 사고 또한 미연에 예방할 필요가 있다. 이에 항행 관련 사고를 미연에 예빙하기 위해서 선내시스템의 정보를 이용하여 선박의 이상 유무를 파악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 PDF

한국형 e-Navigation SV20 항행안전모듈 범용화에 관한 사례 연구

  • Choe, Won-Jin;Kim, Yeong-Rong;Jeon, Seung-Hwan;Mun, Se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43-345
    • /
    • 2018
  • 한국형 e-Navigation 중 SV20은 국적선 중 여객선(연안/국제) 및 서비스 요청 선박을 대상으로 선내시스템 원격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여 해상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해상에서 선박의 안전을 증진하기 위해 개발 중인 시스템이다. 이러한 SV20 시스템을 모든 서비스 대상 선박에 적용하기 위해서 범용화가 필요하다. 그러나 선박마다 선형, 조종성능, 각종 장비 등의 차이점이 많아 범용화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진행 중인 한국형 e-Navigation 서비스 대상 선박의 사례 연구를 통해 선박이 가지는 특성을 비교하고 분류하여, SV20 항행안전모듈 범용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한국형 e-Navigation 선내시스템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의 복원성 및 화재 판정 모듈 개발

  • Lee, Dae-Hak;Lee, Sang-Man;Choe, Jeong-Ung;Lee, Seung-Hyeon;Park, Jin-Hyeong;Kim, Seu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165-16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e-Navigation 선내시스템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SV20) 중 복원성 및 화재 판정 모듈의 개발과 운용개념에 대해서 소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선박의 복원성(안정성)과 관련된 메타센터 높이(GM), 복원성지수, 운동성지수 그리고 선체-파랑 동조위험성의 산출 및 표출에 대한 방안과 선내 화재정보의 표출 방안을 설명하고, 개발 진행사항 그리고 향후 연구 등을 기술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mergency Response Guidance by Safety Index of Seakeeping Performance (내항성 안전지수별 위기대응가이던스 개발에 관한 연구)

  • Moon, Serng-Bae;Jeong, Eun-Suk;Jeong, Woo-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48-49
    • /
    • 2017
  • This study is about the development of emergency response guidance by safety index of seakeeping performance which is based on emergency response procedures in the ship through HAZID. These emergency response guidances will contribute to respond ship's abnormal conditions related to seakeeping performanc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o reduce marine accidents.

  • PDF

한국형 e-Navigation의 통합 UI 및 항차 기반 위기대응 가이던스 연구

  • Ok, Gyeong-Seok;Lee, Seung-Hyeon;Park, Jin-Hyeong;Lee, Gwang-Yeol;Jeong, Gil-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170-172
    • /
    • 2019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해양사고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하여 구축 중인 한국형 e-Navigation SV20-선내시스템 원격모니터링 서비스에서는 복원성, 화재, 침수, 과도경사, 항해장비의 이상과 같이 선박의 안전 운항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선박의 센서들을 수집, 분석하여 이상 상태와 긴급상황을 자동으로 식별하여 안전운항을 지원하는 기능이 있다. IMO 선박안전관리 시스템의 경우 선원의 인적 과실에 의한 해상에서 안전 및 해양환경 보호를 위한 핵심 요소로서 우리나라는 SOLAS 협약 제9장(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한 관리)및 ISM CODE를 1999년 2월 해사안전법에 수용하여 2002. 7. 1.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 둘의 융합 개념의 기술적 결합을 통한 체계적이고 자동화적으로 선박에서의 안전관리 능력을 제고하여 안전 사고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시스템과 더불어 사고 발생시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표준 토폴로지 기반 UI 및 항차 기반 위기대응 가이던스를 개발 하고자 한다.

  • PDF

Network Design for Effective In-Ship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ion (선박 내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을 위한 클러스터링 및 라우팅 프로토콜의 구성)

  • Kim, Mi-Jin;Jang, J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05a
    • /
    • pp.353-357
    • /
    • 2012
  • 요즘 모든 분야에서 실세계의 상황정보 인지를 통해 전자공간과 물리공간을 결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기반 기술을 사용하여 센서와 무선 통신 기술을 결합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선박에서도 유무선 기술을 융합하여 지능형 선박에 적합한 Ship Area Network(SAN)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 연동 SAN-브릿지 기술, 이종 센서, 제어기기를 자율적으로 구성관리하거나 상호연동, 원격제어 하는 자율 SAN 구성관리 기술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선박에서의 모니터링 분야인 구조적 안전과 화물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외에도 선원을 포함한 모든 주변 환경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후 변화에 대한 감지나 여러 구조물에 대한 온도, 압력 등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설계하기 위해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에너지 효율을 이용한 라우팅 및 데이터 병합을 위한 기술 동향을 파악하고 자기 구성 클러스터링 방법을 분석하여 선내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 구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mergency Response Guidance in Case of Passenger Ship Fire (여객선 화재발생 시 대응가이던스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Byeol;Hwang, Kwang-Il;Jeong, Eun-Seok;Moon, Ser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36-37
    • /
    • 2018
  • This study is about the development of emergency response guidance according to the fire safety index in the fire safety module, which is one of the on-board remote monitoring system. In this paper divided the zone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fire sensor for passenger ship which is one of the service passenger ships and developed on the emergency response guidance by the identified zon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