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석류문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석류씨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omegranate Seed Extracts)

  • 고종호;황명오;문주수;황성연;손종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1-17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석류씨의 물 추출물, 에탄을 추출물 및 석류씨 기름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에 대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석류씨의 물 추출물, 에탄을 추출물 및 석류씨 기름의 추출수율은 각각 28.9, 13.0 및 4.9%이었고 건조물에 대한 총 페놀 함량은 물 추출물은 47 mg/g, 에탄을 추출물은 78 mg/g, 석류씨 기름은 40 mg/g이었다. 1000 ppm에서 이들 추출물들의 전자공여능은 각각 18.8, 28.5 및 $9.7\%$이었다. 리놀레인산 기질에서의 항산화효과는 에탄을 추출물 > $\alpha-tocopherol$ > 물 추출물 > 석류씨 기름의 순이었고 리놀레인산 에멀젼 기질에서의 항산화효과는 $\alpha-tocopherol$ > 에탄을 추출물> 물 추출물> 석류씨 기름 순이었다. 항균효과의 경우, 석류씨 기름은 Micrococcus luteus, Salmonella enteritidis에 대해서, 물추출물은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에 대해서만 항균효과를 보였을 뿐, 에탄을 추출물의 경우에는 모든 균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2,000 ppm 농도에서 물 추출물 $27.5\%$, 에탄올 추출물 $23.7\%$, 석류씨 기름 $39.6\%$이었고, SOD 유사활성은 1,000 ppm의 농도에서 물 추출물 $15.9\%$ 에탄을 추출물 $34.9\%$, 석류씨 기름 $0.10\%$이었다.

서산지역의 변성퇴적암류에 대한 온도-압력 추정 (Temperature-Pressure Estimation of Metasediments in Seosan Area)

  • 송윤구;문희수;이한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22권4호
    • /
    • pp.371-379
    • /
    • 1989
  • 서산지역의 변성퇴적암류에 대한 변성온도 및 압력 조건이 공존하는 변성광물에 대한 분석결과로부터 측정될 수 있었다. 석류석과 흑운모 지온계 (Ferry and Spear, 1978; Ganguly and Saxena, 1984)를 이용한 온도 측정 결과, 서산층에 서는 $620{\pm}40^{\circ}C$이며, 대산층에서는 $520{\pm}20^{\circ}C$인 것으로 나타났다. 석류석-사장석-$Al_2SiO_5$- 석영 지압계 (Newton and Haselton, 1981; Gangul and Saxena, 1984)을 이용한 압력 측정 결과, 두 층 모두 5-6kb로, 유사한 압력 조건을 보여주고 있다. 이같은 결과는 같은 압력 조건 아래에서 서산층이 대산층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변성작용을 받았음을 제시해 준다. 서산층과 대산층에서 Fe, Mg, Mn 등 주원소에 대한 석류석의 chemical zonation은 서로 다른 양상을 보여 주는데, 아마도 두 층이 다른 열적 변성과정(thermal history)을 받아온 결과인 것같다.

  • PDF

고려 초중기 기녀의 고증복식 캐릭터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Gisaeng Costume in Early-Middle Goryeo Dynasty)

  • 최해율
    • 복식
    • /
    • 제58권7호
    • /
    • pp.151-163
    • /
    • 2008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sign Ginyeo's character and costume in the early-middle Goryeo Dynasty which had a few relics, and to make practical cultural contents. The famous Goryeo Ginyeos who had real names are costume characters. Goryeo women dressed in delicate white ramie jarket in "Goryeo-dokyung", and the shape of Jacket can be two kinds: long-wide jacket enough to tie a belt, and long caftan cover the knee. Goryeo women enjoyed wide yellow skirt, but Ginyeo in "Dongguk-isanggutjip" put on pink, flower, pomegranate, red skirt for high class ladies. In the case of Mong-su(a head cloth with black gauze train), it is thought that Ginyeo fold up train like lower class or just hang down like ordinary women, because of their status. As underwear, a ramie jacket and wide underpants were set up. It is needed that many Golden bells and jade trinkets must be attached to Goryeo Ginyeo's waist to stress their characteristics. Ginyeo's hair style can be designed so that a bunch of right hair was dropped down and the rest hair was rolled on reft shoulder. To design a Ginyeo's costume chatacter of the early-middle Goryeo, the richness of wide skirt, delicacy of white ramie, a great deal of trinkets must be emphasized correctly as a characteristic of Goryeo women's costume in that period.

미원-보은지역에서 옥천변성대의 지질구조 (Geological Structure of Okcheon Metamorphic Zone in the Miwon-Boeun area, Korea)

  • 강지훈;이철구
    • 암석학회지
    • /
    • 제11권3_4호
    • /
    • pp.234-249
    • /
    • 2002
  • 옥천변성대의 중북부에 위치하는 미원-보은지역은 주로 규암(미동산층), 변성 탄산염질암(대향산층 화전리층), 변성사질암(운교리층). 변성이질암(문주리층), 변성역질암(황강리층) 등으로 구성된 옥천누층군과 이를 관입하는 중생대 청주 및 보은 화강암류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옥천누층군은 북동 방향의 대상 분포를 보이고 이들의 방향성은 남북 내지 북서 방향의 고각 단층 주변부에서 국부적으로 남북 내지 동서 방향으로 변화한다. 미원-보은지역 옥천누층군에 대한 변형단계별 암석구조를 연구한 결과, 이 지역에 분포하는 옥천누층군의 지질구조는 적어도 네 번의 변형단계를 걸쳐 형성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1) 첫 번째 변형은 상부-남동-이동의 연성 전단변형작용 하에서 발생하여 칼집습곡 내지 A형 습곡, 비대칭 등사습곡, 북서-남동 방향의 신장선구조를 형성시켰다. (2) 두 번째 변형은 북서-남동 방향의 압축작용 하에서 발생하여 그 전기 단계에는 준 수평적인 습곡축을 갖는 북동 방향의 밀착된 직저습곡을 형성시켰고, 그 후기 단계에는 상부-남동-이동의 반취성 충상단층(구룡산 충상단층)과 이에 수반된 뱀-머리 습곡을 형성시켰다 (3) 세 번째 변형은 지각두께의 팽창화와 중력적 불안정에 기인하는 중력적 내지 신장성 붕괴작용에 의해 발생하여 준 수평적인 습곡축을 갖는 횡와 개방습곡을 형성시켰다. (4) 네 번째 변형은 고각 단층운동과 관련하여 중침강, 급경사의 킹크습곡을 형성시켰으며, 고각 단층의 주변부에서 북동 방향의 광역 엽리가 국부적으로 남북 내지 동서 방향으로 변화함은 네 번째 변형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지질, 변성진화과정, 광물화학 그리고 지구조적 환경은 백동-홍성 지역이 산둥반도 수루 충돌대의 연장선일 가능성이 높음을 지시한다. 하지만 백동지역의 변성염기성암으로부터 얻어진 전암-석류석 Sm-Nd 연령인 268.7~297.9 Ma는 중국의 다비-수루 충돌대에서 인지되는 초고압변성작용 시기인 208~245 Ma보다 오래되었다. 이는 Sino-Korea 판과 Yangtz 판의 충돌이 중국보다 한반도에서 먼저 일어났을 가능성을 지시한다. $\mu\textrm{m}$가 얇게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호분층의 두께는 현미의 크기에 일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여겨진다. 두꺼운 호분층.작은립 F$_2$ 개체에 현미의 표현형은 TAL 214과 같은 작은립의 표현형을 보인 것으로 여겨진다. 4. 지질함량의 경우는 3.85 %로 각각의 교배모본 TAL 214 2.92 %, LO 1050 3.01 %에 비하여 0.93 %, 0.84 %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LO 1050의 호분층에 의한 영향으로 여겨지며, 현미의 배의 크기는 LO 1050 만큼 크지는 않아도 두꺼운 호분층의 유전자 집적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질함량이 상승시키는데도 이와 같은 유전자 집적의 효과가 유효할 것으로 여겨진다. 5. 지방산 조성은 있어서는 품종인 Kinmaze와 각각의 교배모본의 계통과 이 들 F$_2$ 개체에는 그 차이가 유의성을 보일 정도는 아니였다. 그러나, oleic acid의 일부 증가와 linoleic acid의 미미한 감소되는 경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