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Design of Gisaeng Costume in Early-Middle Goryeo Dynasty  

Choi, Hae-Yool (Dept. of Fashion Design & Apparel Industry/Institute for better living, Wonkwa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8, no.7, 2008 , pp. 151-16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sign Ginyeo's character and costume in the early-middle Goryeo Dynasty which had a few relics, and to make practical cultural contents. The famous Goryeo Ginyeos who had real names are costume characters. Goryeo women dressed in delicate white ramie jarket in "Goryeo-dokyung", and the shape of Jacket can be two kinds: long-wide jacket enough to tie a belt, and long caftan cover the knee. Goryeo women enjoyed wide yellow skirt, but Ginyeo in "Dongguk-isanggutjip" put on pink, flower, pomegranate, red skirt for high class ladies. In the case of Mong-su(a head cloth with black gauze train), it is thought that Ginyeo fold up train like lower class or just hang down like ordinary women, because of their status. As underwear, a ramie jacket and wide underpants were set up. It is needed that many Golden bells and jade trinkets must be attached to Goryeo Ginyeo's waist to stress their characteristics. Ginyeo's hair style can be designed so that a bunch of right hair was dropped down and the rest hair was rolled on reft shoulder. To design a Ginyeo's costume chatacter of the early-middle Goryeo, the richness of wide skirt, delicacy of white ramie, a great deal of trinkets must be emphasized correctly as a characteristic of Goryeo women's costume in that period.
Keywords
Goryeo Ginyeo; ramie Jacket; yellow skirt; pomegranate pattern; Mong-su; costume chatacter;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조효순, 원혜은 (2004). 사극 드라마 의상제작에 관한 연구 -제국의 아침과 무인시대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7(3)
2 김혜정 (1992). 高麗時代의 妓女服飾에 關한 硏究.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민족문화추진회 (1978). 고전국역총서 130: 동사강목 4. 서울: (주)민족문화문고간행회, p. 188
4 민족문화추진회 (1978). 고전국역총서 130: 동사강목 4. 서울: (주)민족문화문고간행회, p. 242-243
5 서긍 (1123), 조동원.김대식.이경록.이상국.홍기표 공역 (2005). 중국 송나라 사신의 눈에 비친 고려 풍경-고려도경. 서울: 황소자리 출판사, p. 256
6 민족문화추진회 (2008). 동국이상국전집. 자료검색일 2007 .10.01, 자료출처 http://www.minchu.or.kr/index.jsp?bizName=MK)
7 민족문화추진회 (1979). 고전국역총서 170: 동국이상국집 5. p. 239
8 김창현 (2007). 고려의 여성과 문화. 서울: 도서출판 신서원, p. 354
9 이선용 (2005). 佛腹藏物 구성과 직물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26, p. 134
10 민족문화추진회 (1968). 동문선 I. 서울: 민족문화문고간행회, pp. 707-708
11 서긍 (1123), 조동원.김대식.이경록.이상국.홍기표 공역 (2005). 중국 송나라 사신의 눈에 비친 고려 풍경-고려도경. 서울: 황소자리 출판사, p. 252
12 서긍 (1123), 조동원.김대식.이경록.이상국.홍기표 공역 (2005). 중국 송나라 사신의 눈에 비친 고려 풍경-고려도경. 서울: 황소자리 출판사, p. 293-294
13 서긍 (1123), 조동원.김대식.이경록.이상국.홍기표 공역 (2005). 중국 송나라 사신의 눈에 비친 고려 풍경-고려도경. 서울: 황소자리 출판사, p. 364-365
14 국역 조선왕조실록 (2004). 자료검색일 2008.05.10, 자료출처 http://www.koreaa2z.com/sil99/index.html
15 국립중앙박물관 (2000).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통천문화사, p. 243
16 서긍 (1123), 조동원.김대식.이경록.이상국.홍기표 공역 (2005). 중국 송나라 사신의 눈에 비친 고려 풍경-고려도경. 서울: 황소자리 출판사, p. 367
17 서긍 (1123), 조동원.김대식.이경록.이상국.홍기표 공역 (2005). 중국 송나라 사신의 눈에 비친 고려 풍경-고려도경. 서울: 황소자리 출판사, p. 259
1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국역 동국통감 5. 서울: 신흥인쇄주식회사, p 51
19 엠파스 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자료검색일 2008. 08.08, 자료출처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K&i=241238&v=45
20 김문숙 (2000). 고려시대 원간섭기 일반복식의 변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58, p. 87
21 민족문화추진회 (1979). 고전국역총서 170: 동국이상국집 5. p. 185
22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Bon09689. 자료검색일 2007.10. 01, 자료출처 http://www.emuseum.go.kr/pages/portal/search/full.jsp?dbNoArr=3&docNo=00044615
23 常沙娜 主編 (2004). 中國美術分類全集: 歷代服飾 卷 上 中國織繡服飾全集 3. 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485
24 경기도박물관 소장. 소장(소장) 1470. 자료검색일 2008. 03.10, 자료출처 http://www.emuseum.go.kr/
25 서긍 (1123), 조동원.김대식.이경록.이상국.홍기표 공역 (2005). 중국 송나라 사신의 눈에 비친 고려 풍경-고려도경. 서울: 황소자리 출판사, p. 256-257
26 서긍 (1123), 조동원.김대식.이경록.이상국.홍기표 공역 (2005). 중국 송나라 사신의 눈에 비친 고려 풍경-고려도경. 서울: 황소자리 출판사, p. 284-285
27 서긍 (1123), 조동원.김대식.이경록.이상국.홍기표 공역 (2005). 중국 송나라 사신의 눈에 비친 고려 풍경-고려도경. 서울: 황소자리 출판사, p. 257-258
28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Duksu(德壽) 6300. 자료검색일 2007, 10. 03, 자료출처 http://www.emuseum.go.kr/
29 최해율 (2006). 20세기 초 몽골복식유물의 기원과 형태의 상징에 관한 연구. 몽골학, 21, p. 269
30 심연옥 (2004). 至心歸命禮 - 불복장 직물 문양집. 수덕사 근보성역관, p. 36
31 이선용 (2005). 佛腹藏物 구성과 직물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9-90
32 유송옥 (1998). 한국복식사. 서울: 수학사, p. 133
33 임명미 (1993). 高麗王朝代 高麗와 교류하였던 諸國과 高麗의 服飾制度에 관한 硏究. 同大論叢, 23(1)
34 최해율 (2007). 영상물 제작을 위한 고증 의상 디자인 연구: 13-14세기의 고려양과 몽골풍의 귀부녀 복식을 중심으로. 服飾, 57(1)   과학기술학회마을
35 심연옥 (2004). 至心歸命禮 - 불복장 직물 문양집. 수덕사 근보성역관, p. 21
36 민족문화추진회 (1979). 고전국역총서 170: 동국이상국집 5. p. 282
37 서긍 (1123), 조동원.김대식.이경록.이상국.홍기표 공역 (2005). 중국 송나라 사신의 눈에 비친 고려 풍경-고려도경. 서울: 황소자리 출판사, p. 365-366
38 민족문화추진회 (1979). 고전국역총서 170: 동국이상국집 5. p. 269-270
39 김문숙 (2000). 고려시대 원간섭기 일반복식의 변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9-81
40 민족문화추진회 (1978). 고전국역총서 130: 동사강목 4. 서울: (주)민족문화문고간행회, p. 123
41 周汛, 高春明 (1988). 中國歷代婦女妝飾. 台北: 南天書局有限公司, p. 105
42 민족문화추진회 (1979). 고전국역총서 170: 동국이상국집 5. p. 250
43 서긍 (1123), 조동원.김대식.이경록.이상국.홍기표 공역 (2005). 중국 송나라 사신의 눈에 비친 고려 풍경-고려도경. 서울: 황소자리 출판사, p. 260
44 이재일, 박춘순 (1994). 우리나라 기녀복식의 기호학적 접근. 服飾, 22
45 김문자.송미경.이민주.이은주.임재영.조효숙.최은수 (2006). 국사편찬위원회 (편).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서울: (주) 두산동아, p.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