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식조건

Search Result 38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alysis of seasonal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at Han River tributary vulnerability points (한강 지류 취약지점에서의 계절별 환경생태유량 분석)

  • Yeon jung Noh;Seong joon Kim;Eun mi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6-146
    • /
    • 2023
  • 우리나라의 하천은 도시의 급격한 산업화와 공업화로 인해 이수, 치수 목적을 중심으로 관리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의 가속화와 댐과 같은 인공 구조물로 인해 하천의 수질 및 흐름이 위협받으면서 하천 환경개선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하천의 생태기능은 하천에서 살아가는 각종 생물의 서식 조건을 유지함으로써 하천이 환경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하천 환경개선을 위해서는 하천 생태기능 유지를 위한 최적 유량을 확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생태기능을 보존하는데 필요한 최적 유량에 대한 평가에는 USGS(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에서 개발한 어류에 대한 유량과 서식지 가용성사이의 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물리적 서식처 모형 (Pysical HABitat SIMulation, PHABSIM)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PHABSIM은 가중가용면적(Weighted Useable Area, WUA)과 유량의 관계곡선을 산출하여 생태유량을 산정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 동안 어류 건강성 평가에서 낮은 등급을 받은 탄천 대왕교 지점을 대상으로 PHABSIM을 이용한 어류의 계절별 최적 생태유량을 산정했다. 연구에 사용된 유량자료는 2012부터 2021년까지의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탄천의 대표 어종으로는 각 하천에서 우점종으로 선정된 Zacco platypus가 사용되었다. 각 연도별 그리고 계절별 하천 유량의 변화에 따른 환경생태유량 분석을 통해 제시된 각 하천의 최적 환경유지유량에 대한 결과는 한강권역 환경생태유량 산정 및 하천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River Section Analysis Using HEC-RAS in Han River Watershed (HEC-RAS를 이용한 한강권역 하천 단면 분석 연구)

  • Noh, Yeonjung;Kim, Seongjoon;Hur, Junwook;Hong, Eun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77-477
    • /
    • 2022
  • 환경문제가 사회적으로 크게 대두되면서, 환경 보전 및 복원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특히 하천의 경우, 시민들의 레저 활동 및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도 활용되고 있어 청정한 환경 유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하천의 생태기능은 하천에서 살아가는 각종 생물의 서식 조건을 유지함으로써 하천이 환경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는 70년대 이후부터 오염물질로부터의 수량 보장 등의 목적으로 하천 유지유량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순 수질 환경 및 물수요의 충족을 위한 취수량 확보 목적을 넘어 수생태계 보호를 위한 유량인 환경생태 유량의 확보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생태계 기능을 보존하는데 필요한 최적 또는 최소 유량에 대한 평가는 다양한 종의 어류에 대한 하천의 유량과 서식지 가용성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는 서식지 기반 모델에 의해 수행되어왔으며, 이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하천 단면에 대한 수위, 유량, 지반고 등의 하천 고유 특성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한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유량 산정에 앞서 HEC-RAS(하천 분석 시스템)를 이용하여 한강권역내 생태유량 산정을 위한 취약지역 3지점에 대한 하천 단면 정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한강권역 환경생태유량 산정 및 하천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valuation on Functional Assessment for Fish Habitat of Underground type Eco-Artificial Fish Reef using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and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생물보전지수(IBI) 및 서식지 평가지수(QHEI)를 활용한 지하 매립형 방틀둠벙의 어류 서식처 기능 평가)

  • Ahn, Chang Hyuk;Joo, Jin Chul;Kwon, Jae Hyeong;Song, Ho Mye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6B
    • /
    • pp.565-57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expression of both multi-metric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and biological integrity index (IBI) for artificial structures eco-artificial fish reef (EAFR) for fishes asylum and habitat. Especially, both experimental evaluation and biological verification were performed in Water and Environmental Center's outdoor test-bed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located in Andong-city, Gyeongsangbuk-do. The experimental conditions reflecting the situation of domestic river include the flow rate (e.g., $0.0{\sim}1.5m\;s^{-1}$), the width (e.g., 1.0~3.0 m), the depth (e.g., 0.05~0.70 m), and variable bed materials. Both QHEI and IBI were monitored for 8 months from May to December 2010. Whereas QHEI values were highest at experimental points of the E~F with an average of 83.1, those were lowest at B~C with an average of 78.1. However, QHEI values inside EAFR were more than 98.9, regardelss of space and time, and indicated more than the highest good of the state (Good) in the habitat. Overally, IBI values showed similar trend with QHEI, but were 44.2 in the winter dry season, compared to 32.8 of QHEI values. IBI values Also, IBI values inside EAFR were greater than those at the experimental channel by 5.7 to 11.4% and 18.7 to 34.8% in flow and stagnant conditions,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EAFR can secure asylum and habitat for fish during the dry season. For comprehensive aquatic ecosystem assessment, the experimental channel showed generally fair conditions (Fair~Good), whereas EAFR showed good conditions (Good), suggesting that EAFR can be applied to aquatic ecosystem restoration and improvement.

Selection of Domestic Test Species Suitable for Korean Soil Ecological Risk Assessment (토양생태 위해성평가를 위한 국내 서식 토양독성 시험종 선별 연구)

  • Kim, Shin Woong;Kwak, Jin Il;Yoon, Jin-Yul;Jeong, Seung-Woo;An, Youn-J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6 no.5
    • /
    • pp.359-366
    • /
    • 2014
  • For an efficient and reasonable management scheme for protecting the soil environment, a soil ecological risk assessment (ERA) method should be developed prior to utilization, based on the contemporary uses and situations of each country. The Korean environmental policy focusing on soil protection is currently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the soil ecological risk assessment method. The soil ERA requires toxicological data on various trophic levels in the soil environment, and ultimately uses PNEC (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 which is derived from collected toxicological data. Therefore, test species that are used to generate toxicity data are essential for conducting reliable ERA. This study aimed to select domestic test species for potential use in a reliable Korean ERA. Copper (Cu) and Nickel (Ni) were identified as target substances, with toxicity data (Cu, Ni) and standard test methods being collected to determine candidate species. The candidate species were first classified by soil trophic level, and then sorted into final domestic species. Forty out of 166 domestic species were determined as potential standard test species, whereas 17 out of 120 species were determined as potential Cu and Ni test species. Finally, this study presented potential soil test spec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soil environment, and established a preliminary step toward developing a reliable Korean soil ERA method.

Evaluation of Habitat Improvement Using Two-Dimensional Fish Habitat Modeling after the Connectivity Restoration in an Isolated Former Channel (2차원 어류 서식처 모의를 이용한 격리된 구하도의 연결성 복원에 따른 서식지 개선 평가)

  • Kim, Seog Hyun;Kim, Dana;Cho, Kang-Hyu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2 no.2
    • /
    • pp.137-146
    • /
    • 2015
  • Lateral connectivity between a main channel and a former channel plays an integral role in maintaining ecological functions of stream-floodplain ecosystems. This study virtually restored the connectivity of the former channel, which is currently isolated by channelization, in the Mangyeong River, Korea. Fish habitat improvement after the connectivity restoration was evaluated using River2D, two-dimensional depth-averaged hydraulic modeling, depending on normal and flood flow conditions. Target fish species were crucian carp (Carassius auratus), which are known as lentic species, and pale chub (Zacco platypus), known as lotic species. The weighted usable area (WUA) of the two species was increased after the connectivity restoration: the two-way connection between the main and formal channels was more effective than the one-way connection. The result of the physical habitat simulation at a flood flow condition demonstrated an increased rate of the WUA than during a normal flow condition. In particular, the WUA of pale chub increased about four times on the two-way connectivity restora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habitat availability of both lentic and lotic fish species will increase after a connectivity restoration, and a two-way connectivity restoration may be more effective. In addition, the restored formal channel would function as a shelter for fish during the flood season.

Habitats and Abundances of Korean Phytoseiid Mites (한국산 이리응애의 서식식물과 발생 빈도)

  • 류면옥;이원구;김태흥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36 no.3
    • /
    • pp.224-230
    • /
    • 1997
  • A~nblyseius eharui and A. firllat~dic~w~esr e most abundant among Korean phytoseiid mites. The most favored plant\ chosen for habitats by Korean phytoseiid mites were Castanetr CI-enatcia nd P ~ L ~ ~.sIerLruIlaSt( i var. spontruleo. A. ehcirui, A. finltrr~(lic.us.a nd A. rc~omrrvleyia re most common and found on majority of plants observed.

  • PDF

Distribution of $C_4$Type Grasses in Korea (한국의 $C_4$형 식물의 분포 조사)

  • 장남기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7 no.2_3
    • /
    • pp.103-112
    • /
    • 1993
  • 한국에서의 $C_3$$C_4$CAM 식물의 지리적 분포를 알아보았다. 한국 전체에서 258 군데의 지역에서 모든 초본식물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각 식물들의 중요값을 통해 우점종을 결정하였으며 이들 식물의 분류에는 크란츠 해부구조의 존재 관찰을 비롯한 여러가지 방법들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C_4$형 초본식물은 총 7개과 92종이었으며 $C_4$식물의 대부분은 화본과 식물이었다. 대한민국에서의 $C_3$$C_4$형 초본식물의 분포는 초본식물의 서식지와 관련되어 나타났다. 야외 및 해변의 건조지역에서는 $C_4$형 초본과 조건적 CAM 식물이 주로 서식하고 있는 반면, 습윤 지역에서는 주로 $C_3$형 초본식물이 많이 나타났다. 조사된 총 258개 지역 중에서 잔디가 우점종인 지역은 6개 지역이었다.

  • PDF

Study on the elimination of heavy metal pollutants in the soil by plant (식물을 이용한 토양내의 중금속 오염원 제거에 관한 연구)

  • 강경홍;김인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6.09a
    • /
    • pp.61-76
    • /
    • 1996
  • 본 연구는 하천유역의 중금속을 제거하는데 식물을 활용하기 위해 1994년 7월부터 10월까지 전라북도에 위치한 전주천과 그 주변하천에서 7개 지점을 선정하여 토양층과 물의 Pb, Cu, Zn 및 Fe 등의 함량을 조사하였고 그 주변에 자생하는 고마리, 마름 및 노랑어리연꽃의 중금속 농축량과 부위별 중금속 농축량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재료식물내의 중금속 농축량과 서식지 토양의 중금속 함량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재료식물내의 중금속 함유량과 토양의 중금속 함량간의 상관계수를 조사하였다. 실험실 조건하에서 재료식물의 중금속 흡수경향을 조사하기 위해 재료식물 중 고마리를 선정하여 Pb, Cu 및 Zn 등을 여러 농도로 처리한 용액에 고마리의 뿌리부분을 침수하여 재배한 후 그농축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7개 채집지에서 자생한 고마리의 중금속 농축량의 측정치와 비교 분석하였다. 7개 채집지에서 자생한 고마리의 부위별 중금속 농축량은 Pb와 Zn의 경우 줄기<잎<뿌리의 순서로 증가하였고 Cu와 Fe는 잎<줄기<뿌리의 순서로 증가하였으며, 중금별 농축량은 Pb$\leq$Zn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고마리의 배양 실험 결과, 서식지에서 조사된 결과인 잎과 줄기에서 Pb

  • PDF

The Factors of Local Disappearance and a Plan of Restoration for Parnassius bremeri from Okchon-gun, Korea (옥천군 지역의 붉은점모시나비(Parnassius bremeri)의 소멸 원인과 복원 방안)

  • 김도성;조영복;고재기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17 no.4
    • /
    • pp.467-479
    • /
    • 1999
  • The factors of local disappearance and a plan of restoration fer Parnassius bremeri from Okchon-gun, Chungchongbukdo, Korea, were investigated. The population of this butterfly from Okchon-gun was much more abundant than the other areas of Korea in the past. But only two adults were observed in 1997 at this site and no more observation was made in 1998. So we considered that Parnassius bremeri is disappeared from this area. To know the factors of local disappearance of this species, we analyzed data of the monitoring from seven localities of Okchon-gun from 1990 to 1998 and also checked 252 specimens from this area by several collections. As a result of it, the habitat changes by recent road constructions and the frequent collecting activity around this area are shown as the factors for the local disappearance of this species. We are intending to establish the programs for restoration of Parnassius bremeri in Okchon-gun. Firstly, the breeding plan of this species was designed by investigation on life cycle. Secondly,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mong seven localities were compared and the suitable places of the restoration were selected. The most suitable localities for restoration by this study were of two localities, Dongrakjeong and Jangwahri, which are considerd as highly successful breeding places in the view of growth condition of host plant.

  • PDF

Impact of Water Temperature Fluctuation due to Hydropeaking on the Downstream (발전방류로 인한 수온의 변동이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hoi, Byungwoong;Choi, S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18-122
    • /
    • 2016
  • 하천은 하천에 서식하는 동 식물뿐만 아니라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활동과 산업화에 의해 많은 인위적인 교란을 받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수자원의 이용/발전에 의해 건설된 댐과 저수지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댐과 저수지는 하천 상 하류간의 생태학적 단절을 초래하여 생물 서식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하류하천에 서식하는 생물들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건설되는 실정이다. 특히, 발전방류로 인한 급격한 유량의 변화와 온도의 변화는 댐 하류하천의 수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댐에서의 온도 차이를 가지는 방류로 인해 국내에서의 운문댐, 보령댐 등 일부 댐에서는 벼 수확량 감소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댐 발전방류로 인한 수온의 변동이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발전방류로 인한 하류하천의 수리분석과 수온 변화를 모의하기 위하여 CMS-Flow 모형을 사용하였다. 괴산댐 하류에 위치한 달천의 2.3 km구간을 대상구간으로 하였으며, 달천 상류에 위치한 괴산댐은 빈번하게 발전방류를 발생시키고 있다. 발전방류로 인한 수온의 변동이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1년 동안의 발전방류 조건에 대하여 모의를 수행하였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총 4계절로 구분하여 발전방류로 인한 수온의 변동이 미치는 범위를 거리에 따라 분석하였을 때, 봄은 1.73 km, 여름은 1.92 km, 가을은 1.74 km, 겨울은 2.01 km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류되는 수온과 하류하천의 수온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여름과 겨울의 경우가 봄과 가을에 비해 영향을 미치는 범위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댐 발전방류로 인한 하류하천의 수온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댐 하류하천에서 서식하는 생물들을 고려한 댐 운용 계획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