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비스 이용만족도

Search Result 1,17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Effects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s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Presence of Chronic Illnesses (노년기 의료서비스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만성질환 유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Jeon, Hae-Sook;Kahng, Sang Kyoung
    • 한국노년학
    • /
    • v.31 no.4
    • /
    • pp.1247-1263
    • /
    • 2011
  • The rapidly aging society entails the increases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s among the elderly. Medical services utilized by the elderly influence their life satisfaction.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s on life satisfaction. Much less is known about whether the effects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s on life satisfaction tend to vary by the presence of chronic health conditions. Including 3,944 individuals aged 65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3rd wave of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1) the relationships between medical service utilizations and life satisfaction and (2) whether the effects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s on life satisfaction vary by the presence of chronic health conditions. Data were process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multi-group SEM. Results indicate that (1) levels of both outpatient and inpatient service utilizations are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whereas levels of health monitoring service utilizations are not and (2) the effects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s varied by the chronic health condition status of the elder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order to enhance levels of life satisfaction, medical services should be strategically utilized by the elderly depending on their chronic health condition status.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policy, sugges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The Development and Rehabilitation Servi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Effect of Parents' Service Satisfaction (장애 아동의 발달재활서비스가 부모의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Ju, Ok-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2
    • /
    • pp.382-39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usability of parents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disabled children. To that end, 120 disabled children and 120 parents were surveyed in 17 cities, including nine cities in Gangwon Province, welfare centers and private institutions in the military. Data analysis used SPSS Statistics 18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 of supply and demand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ents using the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Second, the service us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rvice satisfaction of the private care institution, and third, the process and effect of the service provision of the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in the service satisfaction level. Fourth, the effect of choice on servic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shown in the accessibility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results is to confirm that the service provision and access to the services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increases the satisfaction level of disabled children's parents. Accordingly, the discussion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use of parents using the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were presented.

Factors Affecting Overall Satisfaction on Car Sharing Service: Satisfaction 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on Service Product, Satisfaction on Service Experience (카쉐어링 서비스 종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비스품질 만족도, 서비스상품 만족도, 서비스체험 만족도를 중심으로)

  • Kim, Minjeong;Rhee, Hyongjae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9 no.3
    • /
    • pp.17-38
    • /
    • 2019
  • With recent dispersion of sharing economy, consumption culture of sharing, instead of ownership, gets wide spread in the age groups of 20-30. Even though the market of car sharing expands rapidly,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in the area of service quality and consumer behavior regarding car sharing services. Given that future market potential gets larger, it seems highly meaningful to conduct research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ir usage behavior regarding car sharing services.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main factors affecting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on car sharing services; satisfaction o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on service product, and satisfaction on service experience. Each dimension of the three factors is also analyzed to see if there is any differences between major three brands. Further analysis has been done for checking any effects of gender and usage purpose of customers on the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Key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all the three main factors have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Each dimension of service quality has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on service quality. Dimensions of parking lot accessability and vehicle maintenance in service product evaluation, have greater effect on satisfaction on service product. In service experience, positive affect have greater effect than negative affect on satisfaction on service experience. Women users perceive larger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on car sharing services than men users. On the types of usage purpose, Users with purpose of tour and dating/meeing friends perceive larger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on car sharing services than user without it. Further managerial implications of car sharing services are also provided.

The Effect of Experience of Abuse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노인요양 시설내 학대경험이 이용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Bae, Jin-Hee;Jung, Mee-S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6
    • /
    • pp.591-599
    • /
    • 2017
  • With the introduc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the number of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the elderly using it is increasing. Nevertheless, there was a lack of concern and research on elderly abuse and how to affect the life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e study analyzed the data collected from 278 senior citizens of 44 long-term care facilities in two regions.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elderly abuse, service quality, servic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 analysis showed that some of the elderly experienced elderly abuse, especially sexual abuse. The experience of abuse affect the perception of the service quality, servic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elderly experienced abuse was undervalued in service quality, servic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to prevent elderly abus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are suggested.

A Study on the Satisfactions of Tourism Information DB Services in HiTEL (HiTEL의 관광정보 DB서비스 정보만족도에 관한 연구)

  • 박희석
    • 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Database
    • /
    • v.1 no.2
    • /
    • pp.71-102
    • /
    • 1994
  • 현대는 고도 정보화사회(information society)로서 DB의 가치는 점점 증가하고 전반적인 DB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많이 발전하여 우수한 정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관광정보 DB서비스의 가치는 아직까지 거의 인식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보단계에 있는 관광정보 DB서비스의 만족도를 측정함으로써 국내 관광정보 DB서비스의 수준을 파악하고 관광정보제공자에게 개선해야 될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관광정보 DB서비스의 개념을 정립하고 관광정보 DB서비스의 현황을 고찰하고자 Bailey와 Pearson의 연구에서 제시한 39가지 요인 중에서 관광정보 DB서비스와 관련된 요인을 추출하고 의미를 재정의하여 HiTEL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첫째, 정보서비스의 메뉴별 선호도 둘째, 관광정보 DB서비스의 만족도 셋째, 관광정보 DB서비스의 각 메뉴별 선호도와 만족도 넷째, 이용자 특성별로 각 메뉴의 선호도를 비교분석 다섯째, 관광정보 DB서비스의 만족요인을 분석하였다. 관광정보 DB서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평균치(4.0)보다 저조한 3.85로서 저조하게 나타나고 있다. 즉, 관광정보의 이해도(4.55)는 평균보다 다소 좋은 반면, 다른 관광정보의 만족도는 평균치 보다 저조하다. 특히 관광정보의 연결사정(3.68)과 관광정보의 제공속도(3.44)가 아주 낮게 나타났다. 한편 HiTEL이 제공하는 관광정보 DB서비스의 각 메뉴 중에서 가장 자주 이용되는 메뉴는 알림나라(40.2%)이며, 아시아나항공(22.5%), 농협일렉트로뱅크(13.7%), 대한항공(9.8%), 위너스 OK서비스(6.9%), MEET/매경SCOUT(6.9%)의 순으로 관광정보는 전반적으로 골고루 이용되고 있다. 또한, 메뉴별 관광정보 DB서비스의 만족도가 평균만족도보다 낮은 것은 알림나라(3.48), 농협일렉트로뱅크(3.84), 대한항공(3.90), 위너스OK서비스(3.95)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메뉴별 이용자의 계층별 선호도는 첫째, 남성은 알림나라(40%), 아시아나 항공(23.16%), 농협일렉트로뱅크(12.63%)를 많이 이용하나, 여성은 알림나라(42.86%), 농협일렉트로뱅크(28.57%)를 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별 선호도는 나이가 많을수록 단순 관광안내정보인 알림나라, 농협일렉트로뱅크보다는 보다 항공관련 정보를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별 선호도는 학생과 사무직에 종사하는 사람이 가장 많은 메뉴를 이용하며, 전문직, 관리직, 기술직은 대체적으로 항공관련정보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학력별 선호도는 고학력자일수록 많은 메뉴를 이용하고 있으며, 다섯째, 가입시기별 선호도는 가입한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항공관련정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Subject Service in the University Library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Min, Da-hy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8.08a
    • /
    • pp.61-6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주제전문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만족도와 이용자특성에 따른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대학도서관 이용자 서비스 제공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K대학도서관 서비스를 이용하는 학부생 40명, 대학원생 40명, 교직원 20명, 총 100명을 대상자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대학도서관 주제전문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인식에 관한 문항 설문지로 하였다. 이용자 특성에 따라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도서관 주제전문서비스를 이용하는 학부생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대학도서관 주제전문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학원생, 교직원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가 선호하는 서비스 방법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받는 방식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종합해보면 향후에는 본 연구를 바탕으로 주제전문서비스를 처음 시행하는 대학도서관이 주제전문서비스를 시행할 때 목표달성에 기여하고,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좋은 귀감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 PDF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Library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대학생의 도서관 이용 만족도가 대학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Yu, Grace B.;Park, So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4 no.3
    • /
    • pp.67-87
    • /
    • 2017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library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test this relationship, two surveys were conducted involving 360 college students at two universities in Seoul. The results of the first survey show that after controlling for the educational service satisfaction and facilities satisfaction, there is a significant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library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second study added variables for the three components of library service quality (librarian service quality, library resources and service quality, and library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quality). The results of the second survey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fluence of library service quality on college library satisfaction, and again a significant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library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Moreover, the results of two group analysis show that the influence of college library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is stronger in high usage group than low usage group.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서비스기반 B2B전자시장의 지속적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 Park, Jae-Seong;Jeong, Gyeong-Ho;Kim, Jae-Jeon;Jo, Geon;Go, Jun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190-197
    • /
    • 2007
  • 급속한 성장세에 있는 서비스기반의 B2B전자시장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이용기업의 서비스 지속적이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요인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우리나라 대표적인 ASP 방식의 Web analytics 회사의 서비스 이용기업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존채널 교체에 관한 전환비용은 의존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신규채널 수용에 관한 전환비용과 사용기간은 의존도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품질은 ServQual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중 신뢰성과 공감성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지만, 응답성에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만족도는 의존도에 유의하게 나타났고, 만족도와 의존도는 서비스의 지속적이용의도에 유의하였다.

  • PDF

공간대여 서비스와 소비자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 Lee, Il-Han;Han, S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57-62
    • /
    • 2019
  • 공간서비스 그룹을 구성하는 업체들이 공간이라는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이용목적과 생애주기에 맞춘 용도로 그 사업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간대여 서비스는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학습효과를 제공하며, 스터디 센터와 스마트 워크에 초점을 많은 업체들이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공간대여 서비스와 소비자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간대여 서비스에 대한 개념을 분석하여 공간에 대한 접근성, 내부환경요인, 서비스 내의 시설이 시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의 자아이미지 일치성, 기능적 일치성, 가치 일치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시설만족도와 고객만족이 이용공간에 대한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공간대여 서비스의 구성요소인 접근성, 내부환경요인, 서비스내의 시설과 시설 만족도와의 인과관계에 대한 실증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접근성과 서비스내의 시설은 시설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내부환경요인은 시설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User Satisfaction of 'The Presidential Web Records Service' ('역대 대통령 웹기록 서비스'의 이용자 만족도 분석)

  • Choi, Jae-Hyuk;Kim, Heesop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9 no.1
    • /
    • pp.77-98
    • /
    • 2009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user satisfaction of 'the Presidential Web Record Service' using a proposed model of the user satisfaction index which consists of contents quality, service quality, and system quality. In addition, user's royalty and compliant are also measured in this study. This study shows that satisfaction of contents quallity and system quality influence significantly on the user satisfaction. And contents quality, service quality, user satisfaction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s to user's royal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