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비스 융합 시나리오

Search Result 10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자율운항지원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및 인프라 구축

  • 최원진;전승환;문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449-450
    • /
    • 2022
  • 자율운항지원 서비스는 자율운항선박의 항만내 입/출항, 화물 적/양하 및 검사 등의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개발중이다. 서비스 개발의 실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육상 시범운영 인프라를 구축하고, 성능검증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성능검증 시나리오는 기능적 테스트 방법과 비기능적 테스트 방법에 맞춰 개발되었으며, 육상 시범운영센터를 운영하기 위해 선상 장비, 육상 장비, 네트워크 통신환경 등의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 PDF

자율운항선박 안전지원 서비스 성능 검증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에 관한 연구

  • 이신걸;송재욱;문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216-218
    • /
    • 2021
  • 자율운항선박은 다양한 첨단기능을 활용하여, 선원의 의사결정없이 운항할 수 있는 선박으로 국내에서는 2020년부터 2025년까지 기술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연구에는 자율운항선박의 안전 운영지원을 위한 6종류의 서비스도 동시에 개발 중이다. 자율운항 안전 운영지원 6종 서비스의 개발 내용이 미래 선박 운항환경에 적합하도록 개발자 및 사용자 관점에서 서비스의 성능 및 기능을 검증할 수 있는 시나리오가 필요하다.

  • PDF

A case study on Scenario based information & communication vision (시나리오기반 정보통신 비전사례연구)

  • Ryu, Dong-Hyun;Lee, Woo-Ji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79-84
    • /
    • 2008
  • 전세계 국가는 21세기 메가 트렌드인 기술 융합(Technology Convergence) 추세에 발 맞춰 미래비전 및 전략수립에 몰두하고 있다. 그리고, 공통적으로 정보통신(IT)기술 및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자국의 국부 증대와 신산업 창출을 시나리오 기법을 활용하여 이야기 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비전연구 및 전략수립에 대한 연구가 초보단계로 기존의 IT 단독 기술에 의한 연구개발 방법을 그대로 활용할 경우, 기술 융합 메가 트렌드 연구개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에는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나리오 기법을 활용한 비전연구 사례를 분석하고, 향후 시나리오 비전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 PDF

Telematics Service Scenarios over NGN (NGN환경에서 텔레매틱스 적용 시나리오)

  • In, Min-Kyo;Lee, Seung-Yun;Choi, Young-Hwan;Kim, Sang-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2
    • /
    • pp.1058-1060
    • /
    • 2005
  • 현재 통신 서비스 및 인터넷 서비스들은 각기 독립적인 형태의 서비스를 재공하고 있으며, 고유의 서비스 체계를 유지하면서 발전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들은 향후 통합 및 융합과정을 거처 차세대 네트워크 망 즉, NGN(next generation network)에 통합되어 나가게 될 것이며 기존의서비스에 다양한 서비스를 부가하여 새로운 서비스가 창출 될 것이다. 된 논문은 이러한 추세를 고려하여, NGN에서 요구되는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인 텔레매틱스에 대한 NGN 서비스 시나리오를 보일 깃이다. 텔레매틱스는 정보기술과 자동차기술의 융합으로 이루어진 서비스로 위치측정시스템과 무선통신량을 이용하여 교통정보, 응급구조 구난, 인터넷 이공 및 전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을 수 있는 시스템으로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로 각광 받고 있다. 그리나 아직까지 NGN에서의 활용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으로 본 논문에서는 텔레매틱스에 대한 NGN 망 및 기존의망과의 접속 시나리오와 서비스 시나리오에 대할 방법을 제안 한다.

  • PDF

A Case Study on Cloud Service Business Model based on Customer Scenario (고객 시나리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사례 연구)

  • Seo, Gwang-Gyu;Choe, Da-Yeong;Kim, Byeong-Mu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1.11a
    • /
    • pp.491-498
    • /
    • 2011
  • 산업은 컨버전스라는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로 발전하고 있으며, 산업간 융합 환경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전통산업의 새로운 경쟁력을 제공하는 원천으로 활용되고 동시에 산업 간의 융합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유용한 솔루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클라우드 컴퓨팅이 일반화되고 그 서비스가 재편됨으로써 기존의 다른 응용 기술과의 융 복합된 서비스 구조 및 형태를 예측하고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필수적인 일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융합형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을 위해 효율적인 서비스 모델링을 위하여 활용되었던 방법론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고객 서비스 시나리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사례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특정 산업영역내에서 혹은 서로 다른 산업 영역간의 서비스 융합을 통하여 새로운 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융합형 클라우드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위한 사례연구로써 활용되길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Fixed/Mobile Hybrid 3DTV Broadcasting Service Scenario based on ATSC3.0 (ATSC3.0 기반 고정/이동방송 융합형 3DTV 서비스 시나리오에 관한 연구)

  • Kim, Sung-Hoon;Ki, MyungSeok;Kim, Hui Yong;Bang, Min-Suk;Jung, Kye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474-47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ATSC3.0 기반 UHD 급 고정/이동방송 융합형 3DTV 서비스 시나리오에 대한 내용을 기술한다. ATSC3.0 은 북미지상파 표준화 방송방식의 차세대 지상파서비스 표준으로 2016 년 까지 기술표준 논의완료를 목표로 물리계층, 전송프로토콜계층 및 4K-UHD 서비스를 포함한 응용서비스계층으로 분류하여 표준화 논의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스코픽 콘텐츠의 좌/우영상을 각각 고정 TV 채널 및 모바일 TV 채널로 나누어 전송하고 이를 융합형 3DTV 방식을 지원하는 수신기에서 동시에 좌/우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3D 영상을 합성하는 방법으로 지상파 DTV 한 채널(6MHz 대역)내에서의 4K-UHD 고정 TV 서비스, 모바일 HD 서비스 및 UHD 3D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고정/이동방송 융합형 3DTV 서비스 방법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융합형 3DTV 서비스는 추가적인 3D 부가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4K-UHD, 모바일 HD 및 UHD 3D 서비스를 시청자에게 제공 가능하다.

  • PDF

NGN Service Convergence Scenarios (NGN환경에서 서비스 융합 시나리오)

  • IN, Min-Kyo;Lee, Kang-Chan;Lee, Seu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1
    • /
    • pp.732-734
    • /
    • 2005
  • Current Internet services do not consider the service level interoperability because each service is developed with its own interface, which is not compatible with other services. This means that characteristics of Internet services are autonomous and heterogeneous. Moreover each service has its own access method, data representation, and data structure. This will make it difficult for NGN services to be converged. For the convergence scenarios of NGN services, interoperability among different applications shall be supported in service layers in various network environments. In order to realize this, integration function in applications is necessary. And, it is also required that NGN services shall consider to adopt the conventional E-business framework such as ebXML in order to create value added services.

  • PDF

자율운항선박 지원 서비스 검증 방안 연구

  • 최원진;문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39-240
    • /
    • 2023
  • 자율운항선박 지원 서비스는 자율운항선박이 항만 내에서 안전하게 항해하고, 입/출항 및 화물 적/양하를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 중인 6종 서비스를 의미한다. 개발된 서비스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육상 시범운영 인프라인 자율운항선박 기술연구센터를 구축하였으며, 성능검증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성능검증 시나리오는 개발된 서비스가 실제 운용 환경에서 올바르게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성능검증은 실제 서비스 사용자를 중심으로 하는 사용자 기반 방식으로 진행된다. 실제 선박에서의 서비스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실습선을 이용한 실선박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 PDF

Scenario Design and Prototype Development to Support R&D Process (R&D 전주기 지원을 위한 시나리오 설계 및 프로토타입 개발)

  • Hanmin Jung;Youngjin Jang;Gihyeon Choi;Harksoo Kim;Jung Hoon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131-132
    • /
    • 2023
  • 본 연구는 R&D 전주기 지원을 위해 과제 기획 및 수행과 연구성과 창출 시나리오를 통합 설계하고, 연구자 관점에서의 실효성과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으로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 연구가 R&D 전주기를 몇 가지 활동으로 세분화하고 모형화하였지만, 개념적 설계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산업계 및 학계 전문가와 협력하여 R&D 경험을 시나리오에 반영하고 이를 프로토타입으로 실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