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비스 상호운용

Search Result 61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Development of Domestic Standard of VoIP for Inter-Domain Interoperability based on H.323 (국내 H.323 기반 도메인간 상호운용 표준개발)

  • 이일진;이종화;강신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1.10a
    • /
    • pp.430-433
    • /
    • 2001
  • Voice of IP(VoIP) technology Provides voice service as well as data service via Internet. It has been a promising technology as Internet grows fast and the requirements are increasing. Among the standardized protocols for VoIP, H.323 has been one of the most developed technologies and widely used. Recently, the requirements for standardization of inter-domain interoperability is raised, since it has been developed by focusing on intra-domain service. To meet such requirements, IMTC(International Multimedia Telecommunications Consortium. Inc.) and VoIP Forum have elaborated on interoperability standard based on H.323, respectively in international and domestic markets.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call model and specify required functionalities of inter-domain interoperability based on H.323.

  • PDF

Design of an IoT Middleware to Provide Novel IoT Services (다양한 사물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IoT 미들웨어 설계)

  • Back, Moon-Ki;Oh, Jung-Hoon;Lee, Kyu-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327-328
    • /
    • 2015
  •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으로 다양한 장치가 등장하였으며 장치 간 상호운용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 시나리오가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서비스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단순히 장치 간 상호연동을 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의 요구사항을 만족해야 한다. 본 논문은 이질적인 장치의 상호운용의 실시간성, 신뢰성을 부여하여 새로운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IoT 미들웨어를 제안한다.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 무선설비 상호운용성 시험 방안

  • 우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16-118
    • /
    • 2021
  •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LTE-Maritime)은 바다 어민의 안전과 항해 중인 선박의 편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대한민국 연안으로부터 최대 100km 까지 해역을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체계로 구축한 세계 최초의 해상 무선통신망이다. 본 논문은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다용한 용도로 개발된 무선설비의 호환성, 신뢰성,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호운용성 시험 방안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종 통신장비 및 이종 무선설비 간의 상호운용성을 단말(무선설비)과 시스템의 종단간 통신품질 측정을 통해 서비스 커버리지 성능, 무선데이터 전송 속도 및 전송성공률 등을 검토해 보고, 각 품질 지표를 검증할 수 있는 시험 구성 방안, 시험 항목 및 절차, 측정 결과 분석 방법 등을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CI-DRM: Cloud based Interoperable DRM System (CI-DRM: 클라우드 기반의 상호운용이 가능한 DRM 시스템)

  • Lee, Hoonjung;Eun, Hasoo;Oh, Heekuc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115-1118
    • /
    • 2012
  • DRM(Digital Right Management)은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을 제어하고, 불법복제 및 유통을 방지하는 기술 및 서비스이다. 인터넷의 발달로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사용, 불법복제, 불법유통 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DRM의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현재의 DRM 시장은 다수의 DRM 시스템이 혼재하고 있는 상황으로 서로 다른 DRM 시스템간의 상호운용과 표준화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고 이 문제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기반의 서로 다른 DRM 시스템 간 상호운용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모델 중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기반으로 설계 하였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DRM 시스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The Configuration of Web Services in LBS Platform (LBS 플랫폼에서의 Web Services 구성 방법)

  • Min, Kyoung-Wook;Park,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689-692
    • /
    • 2003
  • 무선 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응용의 확산으로 인하여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형태는 아주 다양하여 지고 있으며, LBS(Location-Based Services)라는 형태로 국내외 시장에서 급속히 확장하고 있다. LBS 플랫폼은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이며, 위치 정보 제공 게이트웨이, 위치 응용 서버, 핵심 기능 제공 서버 등과의 상호 운용을 지원해야 하며, 개인 및 서비스에 대한 프로파일 관리, 과금 처리, 이동체 트리거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즉, 모든 위치기반 서비스를 수행하려고 하는 개인 혹은 응용 서비스 제공자들은 이러한 LBS 플랫폼을 거쳐, 위치 및 다양한 핵심 기능의 조합 형태인 서비스를 제공 받게 된다. 표준화된 소프트웨어 기술인 웹서비스는 LBS 플랫폼과 타 시스템(솔루션, 핵심 기능 제공 서버, 위치 정보 제공 서버 등)과의 인터페이싱을 가능하게 하는 표준 인프라이다. LBS 플랫폼 웽 서비스는, 솔루션 서버에서 요청하는 서비스에 대한 과금 처리를 위한 자체 과금 비즈니스 모델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금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면서 타 시스템과의 상호 운용은 여러 가지 형태로의 구성이 가능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LBS 플랫폼이 상호 운용하는 주요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웹 서비스 구성 방법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Route Determination Service for the Open LBS (개방형 LBS 를 위한 경로탐색 서비스)

  • Kim, Sung-Soo;Kim, Jae-Chul;Kim, Kwang-Soo;Park, Jong-Hyun;Lee, J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713-716
    • /
    • 2003
  • 현재 국내 LBS 가 중요한 서비스로 널리 확산되기 위해서는 서비스간의 상호운용성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LBS 서비스간 상호운용성을 제공하는 개방형 LBS 를 위한 경로탐색 서비스에 대한 설계 및 구현기법을 제시한다. 최단경로문제(Shortest Path Problem)는 통신망 및 교통망의 분석, 생산라인의 품질 관리 등의 다양한 분야 등의 네트워크 흐름 최적화 문제 중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 문제다. 도로 교통망에서는 교차로상에서의 회전 제약 문제 등의 제한조건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 경로탐색은 듀얼 그래프(dual graph)를 이용하여 회전제약조건을 만족하는 경로를 구할 수 있었고, 사용자 경로탐색 기준에 따른 탐색기법도 제시한다. 또한, 구현된 서비스는OpenLS의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지원하며, 자바를 이용한 웹서비스로 구현되어 이식성, 운영체제 및 프로그래밍 언어 독립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공공분야 인터넷전화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VoIPv6 참조모델 개정

  • Lee, Hyeon-Deok;Min, Sang-Won;Yeom, Chang-Yeol;Gang, Seon-M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4 no.10
    • /
    • pp.58-64
    • /
    • 2007
  • 공공기관에서 VoIP 서비스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채택하면서 신호 프로토콜로서 SIP, H.323, MGCP 또는 megaco/H.248 등을 사용하고 차세대 인터넷인 IPv6 채택으로 기존 IPv4와 IPv6 연동 등 상호운용에 문제가 있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2005년 VoIPv6 참조모델을 제정하고 이를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도록 권고하였다. 이 참조모델은 인터넷 전화 중심의 인터넷 서비스였으며 이번 VoIPv6 참조모델 개정안은 새로운 응용 서비스 추가와 기존 모델에서 점검하지 못한 사항 등을 보완하였다. 본 원고에서는 VoIPv6 개정모델에서 포함하고 있는 영상전화 서비스 제공방안, 보안 정도에 따라 무선 IP 전화기 활용방안, 영상방송, 영상감시 등을 소개하고 있다. 본 원고에서 권고하는 참조모델은 향후 공공기관에서 VoIPv6 기반의 통신서비스 구축에 참조모델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n Improvement of Interoperability for Content Publication and Management System (콘텐츠 공유.관리시스템의 상호운용성 개선)

  • Min, Byoung-Won;Oh, Yong-S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0
    • /
    • pp.22-31
    • /
    • 2009
  • Although the amount of UCC(user created content) rapidly grows nowadays, there are various problems in authoring,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this abundant content because the platforms for fabrication and replaying content are not compatible and the authoring environments are not sufficiently interoperable with other site or with each oth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CPMS(content publication and management system) scheme improved in interoperability to solve these problems, and we design a novel system enhancing the efficiency and speed of content distribution and management by minimizing the repetitions in the processes of production, reshaping, and publication. Moreover the proposed system adopts an improved content management technology by changing from simple point-to-point method to the centralized distribution method, and as for the service scheme, we change from the site link method to the database link method, and we also take duplex interlink scheme instead of simplex one. We finally compare the proposed system to the conventional ones as points of view of compatibility and interoperability to prove the improved performance of our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Improvement of Compatibility and Publication (호환성 및 상호운용성이 개선된 콘텐츠관리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Min, Byung-W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2
    • /
    • pp.257-262
    • /
    • 2014
  • Although the amount of UCC(user created content) rapidly grows nowadays, there are various problems in authoring,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this abundant content because the platforms for fabrication and replaying content are not compatible and the authoring environments are not sufficiently interoperable with other site or with each oth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scheme improved in interoperability to solve these problems, and we design a novel system enhancing the efficiency and speed of content distribution and management by minimizing the repetitions in the processes of production, reshaping, and publication. Moreover the proposed system adopts an improved content management technology by changing from simple point-to-point method to the centralized distribution method, and as for the service scheme, we change from the site link method to the database link method, and we also take duplex interlink scheme instead of simplex one. We finally compare the proposed system to the conventional ones as points of view of compatibility and interoperability to prove the improved performance of our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