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비스제공 수준

Search Result 1,74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Framework of Service Level Agreement for Activating Cloud Services (클라우드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수준협약(SLA) 프레임워크)

  • Seo, Kwang-Kyu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6
    • /
    • pp.173-186
    • /
    • 2018
  • While cloud services are expanding, many users are having difficulty in adopting cloud services. This is because there is no information as to which cloud services can be trusted by users. loud service level agreement (Cloud SLA) is an agreement between cloud service providers and cloud service consumers us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dicators including quality and performance, etc. of cloud services. In this study, we propose a framework for cloud SLA that can be applied to the domestic cloud industry to improve service levels for cloud service providers and to protect users and also derive the detailed components of cloud SLA applicable to the domestic cloud industry using the proposed framework. Through this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e government will utilize the policy to enhance the reliability between cloud service providers and users under "the Act on the Development of Cloud Computing and Protection of Users", and eventually to activate cloud services by improving the quality and performance level of domestic cloud services and building a user trust.

Trends and the Regulation Issues on Wireless/Mobile VoIP (Wireless/Mobile VoIP 동향 및 규제이슈)

  • Ha, Y.W;Cho, B.S.;Yoon, Y.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1 no.2 s.98
    • /
    • pp.66-73
    • /
    • 2006
  • PC-to-PC 또는 PC-to-Phone에서 구현되었던 초기 VoIP 서비스의 낮은 음성 품질은 기존 유선 전화서비스와 경쟁이 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었고 규제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에 따라 향상된 품질의 음성서비스 및 다양한 응용서비스 등을 저렴한 가격에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식별번호의 부여를 통해 VoIP 서비스는 기존 음성전화서비스와 동등한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어, 기간통신서비스로서 기존 음성전화서비스와 유사한 수준의 규제를 받게 되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VoIP 서비스가 유선 환경에서뿐만 아니라 무선 LAN 환경에서도 구현되었고, 나아가 VoWLAN과 이동전화를 묶음으로 제공하는 기술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궁극적으로 VoIP가 이동전화서비스와 같이 완전한 이동 환경에서의 구현이 멀지않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 또는 이동 환경에서의 VoIP 서비스에 대한 이슈가 수면 위로 부상할 전망이며, 특히 이동 환경은 기존 이동전화사업자의 주파수 할당대가 납부 등의 측면에서 유선 환경과는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이동 환경에서의 VoIP를 어떤 식으로 규정해야 될지에 대해 많은 논란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Dynamic QoS Mechanism for supporting VoIP Service in Tactical Communication Environment (전술환경에서의 VoIP 서비스를 위한 Dynamic QoS 기법 연구)

  • Shin, Dong-Yun;Kim, Young-K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9
    • /
    • pp.2078-2083
    • /
    • 2012
  • Tactical communication environment evolving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services such as voice, video and text based on ALL-IP. Therefore, To be able to guarantee QoS level which meets the required level of subscriber for these services in the constrained tactical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t is required to take the characteristics such as wireless transmission link, mobility of troops or personal into service quality scheme. In this paper, to support differentiated QoS for each individual or mission in the tactical communication environment, we presents a technique that can provide same QoS level which was served originally regardless of the situation to user's move through dynamically determining the QoS level to be provided at the time of the service request on VoIP-Switch.

Analisis & Result A falling Performance of Web Service (웹 서비스 성능저하 원인분석과 결과)

  • Na,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195-198
    • /
    • 2006
  • 웹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서비스 수준의 관리가 필요하다. 현재까지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겪는 서비스 중단이나 성능저하에 대하여 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해결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기 때문에 제공하는 서비스 자체에 문제가 없더라도 사용자는 서비스에 불신을 갖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관점에서의 웹 서비스의 중간이나 성능저하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진단 시스템 구조와 진단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웹 서비스 환경에서 웹 컴포넌트를 전체 웹 서비스 응답 시간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 구간별 시간들로 정의하고 웹 컴포넌트에 기반하여 웹 서비스 성능 저하의 원인을 분석하는 DSWAP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Value-added Service Application for ESP based on Consumer Portal System (수용가 포탈 시스템 기반의 전력부가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 Yang, Won-Chul;Kim, Jae-Hee;Kim, S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653-656
    • /
    • 2006
  • 선진 전력시장에서는 전력산업의 환경이 수용가 중심의 시장구조로 변화함에 따라, 이들을 대상으로하여 IT 기반의 다양한 전력부가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에 대한 연구개발은, 시간이 흐르면서 단방향이 아닌 양방향 통신 기반의 소비자 중심 서비스 분야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미국 EPRI의 IntelliGrid 컨소시엄에서 제시한 수용가 포탈은 소비자 영역내의 장비와 에너지 서비스 기관 간의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통합적인 개념의 서비스 기반으로, ESP(Energy Service Provider)와 소비자는 더욱 상세한 정보를 이용하여 더 많은 이익과 혜택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비해 국내의 전력부가서비스 제공 수준은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하지만, 머지않아 국내 전력시장 역시 양방향 통신 기반의 수준 높은 전력부가서비스를 요구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국내환경에 적합한 수용가 포탈 기반의 전력부가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수용가에게는 비용 절감이 가능한 합리적인 소비 방안을 제시하고, ESP에게는 부하 수요관리 및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전력부가서비스를 기반이 될 수용가 포탈을 분석하고, 현행 전력부가서비스의 현황과 동향 분석, 적용가능 기술 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환경에 적합한 수용가 포탈시스템 기반의 전력부가서비스 선정 및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이용자 간의 서비스 품질에 관한 인식 차이 연구 - 대학 행정 서비스 중심으로

  • Park, Ui-Jeong;Yu, Ha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2010.04a
    • /
    • pp.411-417
    • /
    • 2010
  • 캠퍼스 중심의 정규 대학 연구가 급격히 감소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대학도 매우 치열한 경쟁 체계를 벗어 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다양한 매체를 적용하는 학습방법과 학생의 개념을 다양화하려는 대학들의 노력이 강화됨에 따라 대학 서비스의 핵심인 교육서비스와 행정서비스에 대한 품질 향상은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 서비스의 핵심 중 하나인 행정 서비스를 중심으로 서비스 제공자가 인식한 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이용자가 인식한 서비스 품질의 수준이 직무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가 인식하는 서비스 제공 품질과 서비스 이용자가 인식한 서비스 사용 품질에 관한 두 인식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 PDF

Improvement of Authentication Protocol for Preventrion of Credential Stuffing in Cloud Environment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크리덴셜 스터핑 방지를 위한 인증 프로토콜 개선 방안)

  • Jo, Jeong-Seok;Kwak,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196-199
    • /
    • 2018
  • 다양한 서비스 제공자들은 서비스 제공과 비용의 효율성을 위해 클라우드 환경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많은 서비스 제공자들이 클라우드 환경에 대한 의심으로 클라우드 환경 적용에 대한 확신을 가지지 못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서비스 제공자들은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정보 유출이 발생할 경우, 기존의 서비스 제공 환경보다 더 큰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클라우드 환경의 취약점 중 하나는 인증이다. 클라우드 환경은 가용성을 위해 높은 수준의 인증을 수행하지 않는다. 그에 대한 예로 새로운 사용자가 추가되었을 경우 사용자의 정확한 목적을 파악하지 못한 채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또한 기존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클라우드 환경으로 변화하면서 새로운 취약점이 등장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대응책이 요구된다. 따라서 해당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인증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n Quality Model for Mashup-Based Service Application (매시업(Mashup) 방식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품질모델)

  • Oh, Sang-Hun;Kim, Soo-Dong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1a
    • /
    • pp.341-344
    • /
    • 2008
  • 일반적으로 알려진 SOA의 장점으로는 개발비용 절감, 기민성, 확장 용이성, 비즈니스 수준의 재사용 등이 있다. 특히 서비스의 재사용은 다양한 시각에서 비추어 지고 있으며, 서비스 재사용 기술 중 일반적이고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가 매시업(Mashup)이다. 그러나, 기존의 서비스나 정보들을 잘 융합하여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서비스나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개발되는 것은 아니다. 매시업이 되는 과정 중 여러 곳에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매시업 방식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평가하는 품질모델을 제안하여, 이를 기반으로 보다 높은 수준의 매시업 방식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 PDF

MoSA-CRM System for Customer-Oriented Information Service Provision in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에서 고객 맞춤형 정보서비스를 위한 MoSA-CRM 시스템)

  • Kim, Jong-Phil;Hong, Jang-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6.06a
    • /
    • pp.67-80
    • /
    • 2006
  • 무선 인터넷 환경이 기존의 유선 인터넷 환경과 비슷한 수준으로 정보 서비스가 가능해지면서,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찾을 수 있는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의 정보 서비스 소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 서비스의 환경 변화로 인하여 기존의 유선 인터넷 정보 제공자들은 무선 인터넷을 통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 서비스가 상대적으로 고가의 비용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유지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고객이 원하는 정보를 보다 쉽고 빠르게 기원하기 위한 방법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전략적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무선 인터넷 가입자를 대상으로 고객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보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바일 응용 시스템, MoSA-CRM(Mobile Service Application based on CRM)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MoSA-CRM 시스템은 고객에게 특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신속한 정보 제공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End-to-End QoS-aware Active Queue Management for Multimedia Services (멀티미디어를 위한 종단간 QoS-aware 능동적인 큐 관리 방안)

  • Kim, Hyun-Jong;Ham, Kyeong-Gon;Cho, Kee-Seong;Choi, Seong-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349-352
    • /
    • 2010
  • 본 논문에서 우리는 DiffServ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요구하는 품질 수준을 고려하는 QoS-aware AQM(Active Queue Management) 방안을 제안한다. 지연과 손실에 민감한 IPTV 및 VoIP와 같은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사용 증가로 인해 QoS 제공은 필수적이며, 이에 따라 응용계층에서 명시된 QoS 요구 수준을 네트워크 계층에서 인식하여 전달망에서 QoS를 제공할 수 있는 큐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기존 DiffServ의 수정된 DSCP 필드를 이용하여 요청된 QoS 품질 정보를 네트워크 장비에 전달하고 해당 서비스의 지연 및 손실률 요구 수준에 대한 threshold margin을 도출하고 이 범위 내에서 큐의 임계값을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종단간 IPTV 및 VoIP와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QoS를 보장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