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비스만족

Search Result 4,609, Processing Time 0.04 seconds

웹 저장공간 임대서비스의 사용자 만족 결정요인 연구

  • 전동진;김준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4.11a
    • /
    • pp.465-475
    • /
    • 2004
  • 인터넷과 정보기술의 발전은 디지털 자료에 대한 저장방식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것은 인터넷 웹 저장공간 임대서비스라는 새로운 비즈니스 유형을 창출시켰다. 사이버 저장 공간 및 자료를 상호 공유 할 수 있는 점과 고가의 저장 매체를 소유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으로 웹 저장공간 임대서비스 서비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웹 저장공간 임대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정보 저장 공간을 대여해주는 서비스라는 개념하에, 사용자 만족을 이끌 수 있는 웹 저장공간 임대서비스 특성에 대해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사용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웹 저장공간 임대서비스의 서비스 품질은 유형성과 신뢰성, 대응성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웹 저장공간 임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은 서비스에 대한 시각적인 디자인과 사이트의 기술수준을 높이고, 사이트 구조에 대해 사용자 측면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신뢰할 수 있도록 개인 정보 및 공유 자료의 보안성 및 보유정보의 체계화에 비중을 두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정보전달 채널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 PDF

레스토랑 종업원의 서비스지향성 재정의 및 영향요인 - T.G.I. Fridays를 중심으로 -

  • Lee, Yong-Gi;O, Myeong-Geon;Nam, Jung-Heon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5
    • /
    • pp.43-56
    • /
    • 2000
  • 본 연구는 Dienhart et al.(1993)이 제시한 조직지원, 고객초점, 압박상황하에서의 서비스로 구성된 레스토랑 종업원의 서비스지향성을 고객초점과 압박상황하에서의 서비스로 재정의하고, 조직지원을 종업원의 서비스지향성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조직지원과 직무만족, 직무안정성의 상호작용이 레스토랑 종업원의 서비스지향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레스토랑 종업원의 서비스지향성 구성요소로 제시한 압박상황에서의 서비스는 변수의 내적 일관성이 매우 낮게 나타나 제외되고 고객초점만이 종업원의 서비스지향성을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압박상황하에서의 서비스 항목에 대한 신뢰성 검토가 추후 연구에서 있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지원, 직무만족, 조직지원과 직무만족의 상호작용이 고객초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조직지원은 정(+), 직무만족은 부(-)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지원과 직무만족의 상호작용변수를 추가한 분석에서는 상호작용(OS ${\times}$JS)이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지원, 직무안정성, 조직지원과 직무안정성의 상호작용이 고객초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조직지원과 직무안정성은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지원과 직무만족의 상호작용변수를 추가한 분석에서는 두 변수 모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상호작용 변수만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학의 창업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Gwak, Dong-Sin;Jeong, Hwa-Yeong;Yang, Yeong-Seo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108-117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의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대학에서 다양한 창업교육이 진행되고 있지만 창업성과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성과를 높이기 위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창업교육의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 등 5개 요소 21개의 문항을 설정하고, 설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둘째, 고객 만족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창업교육 수강생의 교육만족을 정의하고, 창업역량의 요소 중 성취역량, 창의성역량, 개념화역량, 사회적 역량 등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교육만족과 창업역량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은 기존의 연구와 다르게 유형성과 신뢰성이 하나의 요인으로 분석되어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 등 4개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창업역량 요인을 4개로 정의하여 설문을 분석한 결과 성취역량과 창의성역량이 하나의 요인으로 분석되어 개념화역량, 사회적 역량과 함께 3가지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교육만족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창업의지는 창업역량에 영향을 받았지만, 교육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만족이 창업역량을 통하여 창업의지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차후 연구에서는 대상을 여러 지역 혹은 전국으로 확대할 필요성이 있으며, 다른 변수와의 접근 방법을 가지고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The Effects of Work Value of Beauty Industry Workers on Service Productivity Through Job Satisfaction (미용종사자의 업무가치감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서비스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Seo, Sun-min;Ko, Kyoung-sook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2 no.5
    • /
    • pp.278-289
    • /
    • 2022
  •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work value of beauty industry workers on service productivity through job satisfaction.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factors that make effect on service productivity, it was identified that service productivity increases when work value and job satisfaction are higher. Also, it was identified that service productivity increases when awareness of satisfying values, intrinsic satisfaction, recognition of work value, recognition of self-value, and extrinsic satisfaction are higher. Fourth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work value of beauty industry workers on service improvement through job satisfaction, it was identifi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was also significant in the sobel test as Z value of |Z|=15.057 showed a greater value than 1.96.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nner motivation can be increased for beauty industry workers to recognize that their work is meaningful and worthwhile and service productivity can be maximized by improving the satisfaction and intrinsic job satisfaction that come from work itself.

The Effect of Employees' Social Regard on Service Loyalty: Comparative Approach of Beauty Services and Fast-food Services in Service Settings (종업원의 고객에 대한 배려행동이 서비스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미용실서비스와 패스트푸드서비스의 비교적 접근)

  • Sung, Yun-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
    • /
    • pp.409-422
    • /
    • 2014
  • This paper examined the influence of employees' social regard toward the customers, such as, overall service quality, service satisfaction, and service loyalty. The paper proves that the high contact beauty services and the low contact fast-food services have different customer satisfaction level depending on the employees' social regards.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with the actual service purchasers at domestic beauty services and fast-food services.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8.0 was perform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regard has positive influences on service quality, service satisfaction, and service loyalty. Second, Social regard has more effect on service satisfaction in a high contact beauty services than in a low contact fast-food services. This paper contribute to identify the effects of employees' social regard on service satisfaction, by comparing the effects on service satisfaction between high and low contact services.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of Package Software on User Satisfaction (패키지SW의 서비스품질이 사용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Jeong-Seok;Gim, Gwang-Yong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1a
    • /
    • pp.555-558
    • /
    • 2008
  • 패키지 소프트웨어 기업은 사용자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그래서 사용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소프트웨어 품질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중요하다. 지금까지 패키지 소프트웨어의 품질에 관한 연구는 많이 있었지만 대부분이 제품 품질에 관한 연구가 주로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의 관점에서 품질과 함께 서비스의 관점에서도 품질을 측정하고자 한다. SERVQUAL 차원인 유형성, 신뢰성, 대응성, 보증성, 공감성의 다섯 가지 차원에 패키지 소프트웨어의 특성을 반영하여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고 제품 품질 차원과 비교하여 사용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Service Orientation on the Employee Service Orientation (종업원의 직무만족과 조직의 서비스지향성이 종업원의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박성연
    • Asia Marketing Journal
    • /
    • v.2 no.1
    • /
    • pp.99-117
    • /
    • 2000
  • 서비스는 고객과 종업원간의 상호접촉을 통해 전달되기 때문에 고객접점 직원의 태도와 행동은 고객의 서비스 품질 평가와 만족수준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우수한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고객접점 직원들의 관리가 서비스업의 성공에 매우 중한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서비스제공에 있어서의 조직의 서비스지향성과 종업원외 직무만족이 서비스 제공 시 종업원들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직의 서비스 지향성과 종업원의 직무만족이 종업원들의 서비스 지향적인 태도와 행동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서비스품질의 각 차원별로 종업원의 서비스지향성율 측정하고 영향 요인들을 비교한 결과, 각 차원들 간에 주요 영향 변수들이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 PDF

The Effect of the Service Quality of Family Restaurants on Selection Attribute, Revisit Intention, and Customers Satisfaction (패밀리 레스토랑 이용 고객의 서비스 품질이 선택 속성과 고객 만족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 Cho, Yong-Bum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15 no.3
    • /
    • pp.294-306
    • /
    • 2009
  • Although the external aspects of the family restaurant industry such as sales volume and the number of restaurants are rapidly increasing, and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restaurant industry give rise to the importance of a more systematic and detailed stud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factors and how they influence the intention of revisit, and present an effective restaurant marketing strategy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by patrons and market segmentations. In order to substantiate the proposed model of this study, the SPSS Win 12.0 progra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service quality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word of mouth, recommendation and intention of revisit. The study verifies how service quality which consists of selection attribute,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visit influences revisit.

  • PDF

Effects of Service Characteristics of a Subscription-based OTT on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Evaluation by Netflix Users (구독형 OTT 서비스 특성이 이용자 만족과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넷플릭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 Chung, Yongkuk;Zhang, We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12
    • /
    • pp.123-135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how the quality of Netflix service affects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This study classified the quality of Netflix service as content diversity, rate system appropriateness, recommendation system, N-screen service, binge viewing, and service quality, and examined the effect of each dimension on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intention. We conduced an online survey on 202 Netflix users and analyzed the data with the SEM.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tent diversity, recommendation system, binge-viewing and service quality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user satisfaction. Second, the N-Screen service has neither direct nor indirect effects on continuance intention. However, rate system has a direct effect on continuance intention. On the other hand, content diversity, recommendation systems, binge-viewing, and quality of service affect continuance intention positively through user satisfaction. Finally, it is shown that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have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s predicted.

An Affection of Service Quality on Perceived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 in Brand Hair Shop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Relational Customer- (브랜드미용실의 서비스품질이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 및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미용실의 단골고객 조절효과)

  • Choe, Byeong-Suk;Jo, Cheol-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2009.10a
    • /
    • pp.123-130
    • /
    • 2009
  • 미용업의 사회적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국내 미용서비스산업은 경영적 측면에서 체계화되고 규모면에서도 날로 확대되는 등 양적, 질적인 성장하고 있으며, 국내 업계끼리는 물론이고 글로벌화로 인하여 외국의 선진 프랜차이즈와도 경쟁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이러한 환경적 변화 속에서 국내의 미용업계는 한 차원 높은 성장을 위한 자구적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국내 미용업계는 서비스 제공자 관점에서 일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왔고 고객관점에서 가치 있는 서비스의 내용과 품질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용서비스품질을 정의하기 위한 연구들은 계속되고 있으나 미용서비스품질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의는 물론이고 앞으로 국내 미용업계 성장의 축이 될 브랜드 미용실의 고유 서비스품질은 여전히 확정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브랜드 미용실 고유의 서비스품질 요인들을 발견하고,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 재이용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고자하며, 특히 지각된 가치의 매개적 역할과 계량적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브랜드 미용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의 단골고객 신념수준에 조절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가치-고객만족, 가치-재이용의도, 고객만족-재이용의도 간의 이에 대한 조절효과를 검정하였고, 효과적인 서비스품질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