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합성

검색결과 1,084건 처리시간 0.031초

강낭콩 현탁배양세포에서 추출된 Enzyme Pool의 C27 Brassinosteroids 합성 능력 (Ability for Biosynthesis of C27 Brassinosteroids by an Enzyme Pool Prepared from Cultured Cells of Phaseolus vulgaris)

  • 김태욱;주세환;김성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1호
    • /
    • pp.63-71
    • /
    • 2005
  • 강낭콩 현탁 배양세포로부터 얻어진 효소원을 이용한 효소 변환 실험을 통하여 동 세포내에 cholesterol$\to$cholestanol과 6-deoxo-28-norteasterone$\leftrightarrow$ 6-deoxo-28-nor-3-dehydroteasterone $\leftrightarrow$ 6-deoxo-28-nortyphasterol$\to$6-deoxo-28-norcastasterone$\to$28-norcastasterone의 생합성과정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비록 cholestanol에서 6-deoxo-28-norcathasterone을 경유하여 6-deoxo-28-norteasterone로의 변환은 확인하지 못하였지만 동 세포에는 cholesterol에서부터 6-deoxo-28-nor형 brassinosteroids를 경유하여 28-norcastasterone을 생합성하는 모든 효소들이 포함되어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서, 동 세포에는 상기의 생합성과정, 즉 $C_{27}$ brassinosteroids의 the late C-6 oxidation 과정이 작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라 하겠다. 또한 얻어진 효소원은 5-adenosyl-methionine과 NADPH의 존재 하에 28-norcastasterone을 castasterone으로 변환시켜, 강낭콩세포내의 $C_{28}$ 활성형 brassinosteroid인 castasterone의 생합성에 $C_{27}$ brassinosteroids 생합성과정이 중요한 경로중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이미 본 연구실에서 밝힌 토마토에 있어 $C_{27}$ brassinosteroids 생합성과정이 토마토의 활성형 brassinosteroid인 castasterone의 함량조절에 관여한다는 결과와 함께 토마토 이외의 식물들에 있어서도 $C_{27}$ brassinosteroids 생합성에 의한 활성형 $C_{28}$ brassino-steroid(s)의 함량조절에 일어나고 있음을 처음으로 밝힌 중요한 결과라 하겠다.

대장균에서 이소프레노이드 생합성 경로의 대사공학적 개량에 의한 아스타잔틴의 생산성 향상 (Enhanced Production of Astaxanthin by Metabolic Engineered Isoprenoid Pathway in Escherichia coli)

  • 이재형;서용배;김영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764-1770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생물공학적으로 이소프레노이드 생합성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이들을 형질전환시킨 대장균을 제조하여 이들을 숙주로 사용하여 아스타잔틴의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진은 선행연구에서 Paracoccus haeundaensis로부터 아스타잔틴 생산에 관여하는 6개의 아스타잔틴 생합성 유전자군을 보고하였고, 이들 유전자들을 발현 벡타(pCR-XL-TOPO-Crt)에 재조합한 후 이 벡터를 대장균에 형질 전환시켜서 건조중량으로 400 ${\mu}g$/g의 아스타잔틴을 생산하였다. 아스타잔틴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대장균으로부터 이소프레노이드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4-hydroxy-3-methylbut-2-enyl diphosphate reductase (lytB), farnesyl diphosphate (FPP) synthase (ispA), isopentenyl (IPP) diphossphate isomerase (idi) 유전자들을 클로닝하였고, 이들 유전자를 (pCR-XL-TOPOCrt-full)와 같이 대장균에 각각 공발현시켰다. idi 유전자와 아스타잔틴 생산에 관여하는 아스타잔틴 생합성 유전자군이 함께 형질 전환된 BL21(DE3) Codon Plus RIL 대장균를 배양하였을때, 건조중량으로 1,200 ${\mu}g$/g의 아스타잔틴을 생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이소프레노이드 생합성 유전자와 아스타잔틴 생합성 유전자군을 공발현 시킬 때 아스타잔틴의 생산이 3배 증가하였다.

Rhodopseudomonas sp. KCTC1437에서의 Polyhydroxyalkanoates와 5-Aminolevulinic Acid의 생합성 (Biosynthesis of Polyhydroxyalkanoates and 5-Aminolevulinic Acid by Rhodopseudomonas sp. KCTC1437)

  • 이영하;기형석;최강국;문명님;양영기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44-151
    • /
    • 2002
  • Rhodopseudomonas sp. KCTC1437균주를 이용하여 Polyhydroxyalkanoate (PHA)와 5-aminolevulinic acid (ALA)를 생산하기 위한 배양조건과 이들 생합성 조건의 상호관련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PHA생합성을 위한 탄소원으로는 acetic acid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나, succinic acid를 보조 탄소원으로 사용하였을 때의 세포건체량은 2.5g/ι, PHA함량은 건체량의 73%로서 주 탄소원만을 사용할 때에 비하여 크게 증가하였다. 조사된 탄소원으로부터 생합성된 PHA는 모두 polyhydroxybutyrate 단일중합체 이었으나, valeric acid로부터는 3-hydroxybutyrate와 3-hydroxyvalerate로 구성된 공중합체가 생산되었다. ALA의 생합성을 위하여서는 환원제 인 sodium thioglycolate를 첨가하여 혐기적 조건을 만들고, 탄소원인 acetic acid와 propionic acid 이외에 전구물질인 levulinic acid, succinic acid와 glycine을 반복적으로 공급해주었을 때 가장 좋았으며, 약 400 mg/ι의 ALA를 생산할 수 있었다. 그러나 ALA 생합성의 필수물질인 glycine, levulinic acid와 환원제는 세포생장과 PHA의 생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 결과, Rhodopseudomonas sp. KCTC1437균주로부터 PHA와 ALA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으나, 두 가지 유용산물을 효율적으로 생합성하기 위한 각각의 배양조건이 상호 배타적임을 확인하였다.

Alcaligenes faecalis에 의한 $\beta$-glucan의 생합성과 구조 분석 (The Structure Analysis and Biosynthesis of $\beta$-glucan by Alcaligenes faecalis)

  • 류강;이기영;이은규
    • KSBB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409-41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Alcaligenes faecalis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 외 다당류인 $\beta$-glucan의 생합성에서 탄소원, 질소원의 영향과 생합성된 curdlan의 구조를 살펴보았다. 먼저 $\beta$-glucan의 생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Aniline Blue 배지에서 청색 colony들을 선별하고 Cellufluor 배지에서 형광성을 보임으로 $\beta$-1,3 glucan의 생합성을 확인하였다. Flask 배양에서는 탄소원이 glucose이고 질소원이 ($NH_4$)$_2$$SO_4$일 때 가장 많은 $\beta$-glucan을 생산하였다. 탄소원을 glucose로 질소원을 (NH$_4$)$_2$$SO_4$로 사용한 발효조 배양에서는 flask 배양에 비해 생산량이 7.2%가 증가되었다. 질소원을 제한한 발효에서는 최종 생산수율이 38.82%였고 질소원을 제한하지 않은 발효보다 3.02%가 증가 되었다. 분리 정제된 curdlan의 FT-IR의 분석에서는 지문영역인 890$cm^{-1}$ /에서 $\beta$-form이 관찰되었고 $^{13}C$-NMR 분석에서는 $C_1$-103.5 ppm, $C_2$-74.3 ppm, $C_3$-89.8 ppm, $C_4$-68.8 ppm, $^{5}C$-75.5 ppm, $C_2$-61.8 ppm에서 검출되어 homogeneous $\beta$-1,3 glucan으로 확인되었다. curdlan의 triple-helix coil 형태에서 random coil 형태로의 전이는 0.1에서 0.25 N NaOH의 농도에서 일어남이 확인되어 중성 상태의 curdlan은 triple-helix coil 형태를 가지지만 알칼리 상태에서는 그 구조가 약해져 random-coil로 전이 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분리 정제된 curdlan이 정확한 $\beta$-결합을 가진 glucan임이 확인되었으며 생합성된 curdlan의 구조와 분자적인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beta$-결합을 가지는 glucan의 신속한 선별법을 구축할 수 있었고 이는 새로운 기능을 가지는 $\beta$-glucan 생합성 효소나 분해효소의 탐색에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rchangium gephyra의 tubulysin 생합성 유전자 분석 (Analysis of Tubulysin Biosynthetic Genes in Archangium gephyra)

  • 최주오;박태준;강다운;이정주;김영필;이필구;정재용;조경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458-465
    • /
    • 2021
  • Tubulysin은 다양한 암세포주에 대해 강한 항암활성을 보이는 점액세균 유래 이차대사 생리활성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tubulysin을 생산하는 두 균주의 점액세균 Archangium gephyra MEHO_002와 MEHO_004의 유전체 분석을 통해 tubulysin 생합성 유전자들로 추정되는 유전자군을 발견하였으며, 플라스미드 삽입에 의한 유전자 불활성화를 통해 이들 유전자들이 tubulysin 생산과 직접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A. gephyra MEHO_002와 MEHO_004 균주의 tubulysin 생합성 유전자군(tubA~tubF)은 DNA 염기서열이 서로 97% 동일하였으며, 암호화하는 단백질들의 아미노산 서열도 서로 97-100% 유사하였다. MEHO_002와 MEHO_004 균주의 tubulysin 생합성 유전자군은 tubulysin 생산 점액세균으로 알려진 Cystobacter sp. SBCb004의 tubulysin 생합성 유전자군과 DNA 염기서열이 86% 동일하였다. 유전자군의 구성은 tubZ 유전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SBCb004의 tubulysin 생합성 유전자군 구성과 동일하였다. 각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은 Cystobacter sp. SBCb004의 tubulysin 생합성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들과 88-97% 유사하였으며, 각 단백질들의 도메인 구성도 동일하였다.

Polyamine이 쪽 모상근배양에서 인디고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lyamines on Indigo Biosynthesis in Hairy Root Cultures of Polygonum tinctorium Lour.)

  • 김진만;장홍기;박상언;류화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247-250
    • /
    • 2006
  • 본 연구는 polyamine이 쪽 모상근 배양에서 뿌리의 생장과 indigo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토양미생물인 Agrobacterium rhizogenes R1000을 이용하여 쪽 자엽으로부터 모상근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배양하였다. 2. 모상근 생장과 인디고 생합성이 polyamines(putrescine, spaermidine, spermine) 처리에 의하여 향상되었으며, 그 중 putrescine이 다른 polyamines에 비하여 효과적이었다. 3. Putrescine 70 mg/l 처리가 모상근의 생육(4.4 g/flask)과 인디고 생합성(216.3 ug/g)의 향상에 최적조건으로 조사되었다.

호알칼리성, 고온성 Bacillus sp. TA-11의 $\beta$-galactosidase의 생합성 조절 (Regulation of $\beta$-Galactosidase Biosynthesis in Alkalophilic, Thermophilic Bacillus sp. TA-11)

  • 이종수;이향숙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3-17
    • /
    • 1992
  • 자연계에서 분리, 동정한 호알칼리성, 고온성 Bacillus sp. TA-11의 $\beta$-galactosidase 생합성 조절 기작을 조사 하였다. 시험균주의 $\beta$-galactosidase 생합성은 isoprophyl-$\beta$-Dthiogalactopyranoside (IPTG) 보다 lactose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 되었고 glucose는 lactose의 세포내 유입을 방해하면서 $\beta$-galactosidase의 생합성을 억제 하였다. 또한 이러한 glucose의 효소합성 억제효과는 cAMP에 의해 완하되지 못했다.

  • PDF

Penicillium islandicum에 의한 Skyrin의 생합성 (Biosynthesis of Skyrin in Penicillium islandicum)

  • 조성환;죤 에이 앤더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3호
    • /
    • pp.151-157
    • /
    • 1984
  • Penicillium islandicum은 Czapek-Dox 배지를 이용하여 어두운 곳에서 배양되었을때 황적색 색소인 skyrin을 생합성 하였다. $[^{14}C]$-acetate 배지에 이 균주를 접종 배양하여 얻어진 대사산물로부터 radioactive skyrin을 순수 정제 분리할 수 있었고 이를 sodium dithionite 처리하여 Emodin이 합성되는 것을 동정할 수 있었다. 한편, Penicillium islandicum의 배양액에서 추출 정제된 효소를 이용한 균체의 효소실험에서 $[^3H]$-emodin과 $[^3H]$-emodin은 skyrin생합성의 유력한 전구체물질임이 밝혀졌으며, 효소반응결과 $[^3H]$ emodinanthrone(4.8%)이 $[^3H]$-emodin보다 radioactive skyrin으로 주입되는 비율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균체외 효소실험결과, skyrin이 생합성되는 경로는 $emodinanthrone{\rightarrow}emodin{\rightarrow}skyrin$으로 진행되었다.

  • PDF

쇠무릎(Achyranthes japonica Nakai)으로부터 Ecdysteroid 생합성에 관련된 유전자의 분리 (Isolation of Genes Involved in Ecdysteroids Biosynthesis from Achyranthes japonica Nakai)

  • 부경환;김소미;진성범;채현병;이도승;김대운;조문제;류기중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3호
    • /
    • pp.153-161
    • /
    • 2001
  • Ecdysteroid 생합성에 관련된 식물 유전자를 분리할 목적으로 ecdysteroid 생성능이 확인된 쇠무릎(Achyranthes japonica Nakai)으로부터 RNA를 분리하고, ecdysteroid 생합성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cytochrome P45O family 유전자 4개와 곤충의 ecdysone 20-hydroxylase 유전자의 다중정렬 분석결과를 토대로 상동성이 높은 부위의 염기서열에 상응하는 degenerate primer를 사용하여 RT-PCR을 행하고, 고유한 염기서열을 가진 partical cDNA clone 14개를 선발했다. 기존에 ecdysteroid 생합성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cytochrome P450 family 유전자들과의 염기 및 아미노산 서열의 상동성을 분석한 결과, 선발된 cDNA 중 6개가 cytochrome P45O fumily 유전자들과 상동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4개의 clone은 곤충의 ecdysone 20-hydroxylase 유전자와도 상동성이 높아 ecdysteroid 생합성에 관련된 유전자로 추정되었다.

  • PDF

음양곽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촉진 효과 (The Stimulatory Effects of Epimedium koreanum Nakai Extract on Melanogenesis)

  • 이응지;배성윤;이용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65-270
    • /
    • 2009
  • 멜라닌 생합성을 활성화하여 자연스러운 모발의 흑화를 촉진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음양곽 메탄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에 연관된 생리 활성을 분석하였다. 음양곽 추출물은 $100\;{\mu}g/mL$ 이하에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50\;{\mu}g/mL$ 농도에서 B16 melanoma 세포 내 멜라닌 생합성을 104 % 증가시켰고 tyrosinase의 활성을 95 %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estern blot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음양곽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TRP-2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C3H/Hej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 실험에서 음양곽 추출물을 도포한 등 부위 털의 멜라닌 생합성이 5 % (w/v) 도포 시 25 % 증가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통해 음양곽 메탄올 추출물이 멜라닌 생합성 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tyrosinase의 활성 촉진, 멜라닌 생합성 기전과 melanocyte 생존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TRP-2의 발현 증가를 통해 멜라닌 합성 촉진을 유도하는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음양곽 추출물의 효능을 이용해 모발의 흑화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품 소재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