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사회시스템

Search Result 18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stimation of Benthic Microalgae Chlorophyll-a Concentration in Mudflat Surfaces of Geunso Bay Using Ground-based Hyperspectral Data (지상 초분광자료를 이용한 근소만 갯벌표층에서 저서성 미세조류의 엽록소-a 공간분포 추정)

  • Koh, Sooyoon;Noh, Jaehoon;Baek, Seungil;Lee, Howon;Won, Jongseok;Kim, Wonkook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7 no.5_1
    • /
    • pp.1111-1124
    • /
    • 2021
  • Mudflats are crucial for understanding the ecological structure and biological function of coastal ecosystem because of its high primary production by microalga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measuring primary productivity of tidal flats for the estimation of organic carbon abundance, but it is relatively recent that optical remote sensing technique, particularly hyperspectral sensing, was used for it. This study investigates hyperspectral sensing of chlorophyll concentration on a tidal flat surface, which is a key variable in deriving primary productivity. The study site is a mudflat in Geunso bay, South Korea and field campaigns were conducted at ebb tide in April and June 2021. Hyperspectral reflectance of the mudflat surfaces was measured with two types of hyperspectral sensors; TriOS RAMSES (directionalsensor) and the Specim-IQ (camera sensor), and Normal Differenced Vegetation Index (NDVI) and Contiuum Removal Depth (CRD) were used to estimate Chl-a from the optical measurements. The validation performed against independent field measurements of Chl-a showed that both CRD and NDVI can retrieve surface Chl-a with R2 around 0.7 for the Chl-a range of 0~150 mg/m2 tested in this study.

A Study on Legal Remedies fo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fringements as Coming the Era of Big Data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로 인한 지식재산권 침해 및 이에 대한 법적 구제수단의 고찰)

  • Kim, Kyunghwan;Park, Namje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3.11a
    • /
    • pp.1635-1638
    • /
    • 2013
  • 바야흐로 디지털 데이터의 빅뱅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인터넷은 사회 전 분야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스마트 단말기, 사물인터넷, 소셜네트워크, 실시간 데이터 수집 장치, 지리정보시스템 등의 등장과 기타 여러 가지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 소스가 출현하였다. 이에 따라 데이터 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한 번에 처리해야 할 디지털 정보량이 수십 테라바이트에서 제타바이트에서 이르는 이른바 빅데이터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그러나 빅데이터 기술의 빠른 성장에 비해 빅데이터 생태계의 근간이 되는 기술의 보호나 지식재산권의 침해로부터 관련 기술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 구제수단은 미비한 형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 시대의 지식재산권 침해 유형을 분류하고, 현행법 하에서의 법적 구제수단에 대해 알아본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분석 및 검증 솔루션 구현 사례

  • Ko, Seung Won;Joung, Sang Gon
    • Review of KIISC
    • /
    • v.23 no.2
    • /
    • pp.21-28
    • /
    • 2013
  • 스마트폰의 급증 현상은 모바일 생태계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켰으며 다양한 SW 컨텐츠의 양산과 더불어 그 활용 영역의 확대를 가져왔다. 이에 따라 필연적으로 모바일 악성코드도 증가되고 있으며 개인정보 또는 회사 기밀정보의 무단 유출이라는 사회적 이슈도 대두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고, 검증하는 방법에는 크게 정적분석 방법과 동적분석 방법이 있으며 분석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선배 전문가들의 앞선 연구 사례와 논문에 몇 차례 소개된 바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정적분석 및 동적분석 방법을 응용하여 (주)안랩에서 실제로 운용 중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분석 및 검증 솔루션(AMSD) 구현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여기에는 기 알려진 정적분석 방법과 동적분석 방법에 대한 간략한 서술이 포함되어 있으며 시스템 아키텍처 정보와 실제 오픈 마켓을 대상으로 운용하면서 얻어진 앱 분석 사례 및 개선 방향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모바일 오픈 마켓 운영 시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 및 건전한 모바일 생태계 유지를 도모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A Analysis on the Spatial Features of the Neighborhood Trade Area using Positive Spatial Autocorrelation Method (공간자기상관기법을 이용한 근린상권의 공간특성분석)

  • Jung, Dae-Young;Son, Young-Gi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7 no.1
    • /
    • pp.141-147
    • /
    • 2009
  • A analysis on the spatial features is required for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of information about space location(population ecological factor, social ecological factor) to manage the store factors, the service industry, etc.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orrelation analysis method between the types of service trade using dependence between spatial objects on the geographical space and statistical correlation and to analyze the spatial features through the deduction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types of the neighborhood trade area.

  • PDF

A Study on Land Use Change Prediction Using CLUE-s based on Urban Growth Scenarios (도시성장 시나리오와 CLUE-s 모형을 이용한 토지이용 변화 예측 연구)

  • LEE, Yong-Gwan;JOH, Hyung-Kyung;JANG, Sun-Sook;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44-144
    • /
    • 2015
  • 본 연구는 서울과 5대 광역시를 대상으로 (1) 과거추세가 연장되는 시나리오와 (2)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스마트 성장, 컴펙트 개발 등을 고려한 도시성장 시나리오를 전제로 미래의 토지이용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토지이용 변화 예측에는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기반으로 한 CLUE-s(Conservation of Land Use and its Effects at Small regional extent) 모형을 이용하였다. 토지이용 변화예측을 위해 WAMIS(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에서 제공하는 1975년부터 2000년까지의 5년 단위의 토지이용별 통계자료와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2008년 토지이용도를 구축하였으며, 각 토지이용 항목은 총 6가지(시가지, 수역, 산림, 논, 밭, 초지)로 재분류하였다. 도시성장 시나리오는 지자체 조례에 따른 물리적 개발기준과 국토 환경성 평가 지도를 바탕으로 개발 제한 구역을 설정하고, 미래 인구변화와 토지수요 수요량 추정을 통해 미래 토지이용 변화 예측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또한 도로망, 하천망과 유효 토심, 토양통 등을 고려한 토양 속성을 토지 피복 변화 예측을 위한 모형의 동적 요소(driving factor)로 대입하였다. 두 가지의 시나리오를 통해 미래 토지 이용 변화 예측결과 각 시나리오에 따라 확연히 다른 양상의 토지이용 변화 패턴을 보였다. 과거추세가 연장되는 시나리오에서는 물리적인 토지개발 기준 범위 내에서 무작위로 토지이용이 변화하며 시가지가 급속하게 성장하는 패턴을 보여주었다. 반면, 도시성장 시나리오를 전제로 하였을 경우 기존의 시가지와 연계하여 인근에 위치한 미개발지가 시가지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로그 추세로 증가 혹은 감소하는 패턴에 따라 변화폭이 줄어들며 종래에는 각 토지이용의 변화량이 0%로 수렴하는 모습을 보였다. 토지이용 변화 비율은 두 가지 시나리오 모두 주로 산지와 농지가 감소하고 시가지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한 미래 토지이용 변화 시나리오는 수문생태계에 큰 영향을 주는 지표의 변화에 대해 회귀분석을 기반으로 정량적인 예측을 가능케 함으로써 기후변화 시나리오 등 다양한 미래 예측 시나리오와의 접목을 통해 미래 수자원 예측 연구에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Rural Systems Visioneering: Paradigm Shift from Flux Measurement to Sustainability Science (지역시스템 비저니어링: 플럭스 관측에서 지속가능성과학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 Kim, Joon;Kang, Minseok;Oki, Taikan;Park, Eun Woo;Ichii, Kazuhito;Indrawati, Yohana Maria;Cho, Sungsik;Moon, Jihyun;Yoo, Wan Chol;Rhee, Jiyoung;Rhee, Herb;Njau, Karoli;Ahn, Sungho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0 no.1
    • /
    • pp.101-116
    • /
    • 2018
  • Sustainability science is an emerging transdisciplinary research which necessitates not only th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of scientists, practitioners and stakeholders from different disciplines and interests, but also the paradigm shift from deterministic and reductionist approaches to the old basic. Ecological-societal systems (ESS) are co-evolving complex systems having many interacting parts (or agents) whose random interactions at local scale give rise to spontaneous emerging order at global scale (i.e., self-organization). Here, the flows of energy, matter and information between the systems and their surroundings play a key role. We introduce a conceptual framework for such continually morphing dynamical systems, i.e. self-organizing hierarchical open systems (SOHO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ality of SOHOs, we revisit the two fundamental laws of physics. Re-interpretation of these principles helps understand the destiny and better path toward sustainability, and how to reconcile ecosystem integrity with societal vision and value. We then integrate the so-called visioneering (V) framework with that of SOHOs as feedback/feedforward loops so that 'a nudged self-organization' may guide systems' agents to work together toward sustainable ESS. Finally, example is given with newly endorse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 Lab (i.e., 'Rural systems visioneering') by Future Earth, which is now underway in rural villages in Tanzania.

Strategies assessment for the restoration of the natural nature of the Han River through weight analysis (가중치 분석을 이용한 한강 자연성회복 추진 전략 평가)

  • Ahn, Young Mi;Jung, Tae Hwan;Jang, Suk-Hwan;Kim, Keug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2-42
    • /
    • 2021
  • 한강 자연성 회복은 사회환경을 고려한 한강의 생태적 기능회복과 복원, 자연의 복원력을 기반으로 한 사람이 공생 공존하는 새로운 관계로의 전환점을 의미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 유역권 산·학·연 관계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한강 자연성 회복 비전과 추진전략을 도출한 결과, '맑은 물이 흐르는 강'(1순위), '더불어 사는 강'(2순위), '생명이 숨쉬는 강'(3순위), '살아 움직이는 강'(4순위)으로 정책방향을 수립할 수 있었다. 또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AHP 및 델파이 분석을 통해 한강 상류, 중류(서울권, 경기권), 하류별 자연성 회복 평가지표간 가중치를 산정하여 주요 추진과제를 선정하였다. 상류유역에서는 비점오염원 관리를 통한 환경오염 감소, 중류 유역에서는 도심하천의 수질관리강화 및 물 순환 체계 개선, 하류 유역에서는 생물다양성 확보 및 상·하류 지역 협력을 통한 상수원 수질 개선의 방안 필요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강의 하천관리정책은 이수·치수 중심의 하천조성에서 하천생태복원 및 강과 사람과의 공존과 공생이 조화를 이룬 하천조성으로 관점이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가중치 평가를 통한 최적 조합의 하천 관리방안이 도출되었다.

  • PDF

A Study on Smart Eco-city and Ubiquitous Administrative Spatial Informatization : In terms of Water Pollution and Disaster Prevention of Busan Ecodeltacity (스마트생태도시와 유비쿼터스 행정공간정보화연구 -부산 에코델타시티 수질오염 재난방재 측면에서-)

  • Lee, Sang-Yun;Yoon, Hong-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1 no.9
    • /
    • pp.827-840
    • /
    • 2016
  • In recent years, our society, because of the arrival of a new paradigm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s in ICT has entered into future smart society and the ubiquitous era. So it can be a notable turning point in the city disaster prevention system with big data, aspects of the era change. Therefore, this study was to derive a desirable vision for the big data city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zation in terms of ICT city disaster prevention system development as preparedness for the city disaster by applying 'scenario planning' as a foresight method. Soon this study derived a successful city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zation strategy as preparedness for the city disaster, for example, in terms of water pollution and disaster prevention of Busan Ecodeltacity. It proposed the big data city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zation system with the use of the administrative aspects of information with spatial informatization as big data information. Also this study explored the future leadership strategy of the big data city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zation in smart society and smart eco-city. Eventually in 2030 to around, in order to still remain our city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zation as a leading ICT na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strategy. It is important to ready the advanced ubiquitous administrative spatial informatization and ICT disaster prevention system with big data in terms of water pollution and disaster prevention of Busan Ecodeltacity.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latform for Smart Campus Ecosystem (스마트 캠퍼스 생태계를 위한 플랫폼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학생 핵심역량개발과 취업지원을 중심으로)

  • Seo, Byeong-Min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7 no.3
    • /
    • pp.39-49
    • /
    • 2019
  • This study, as a study on building platforms for smart campus ecosystem, took an approach that reflected the needs of various stakeholders of smart campus, and focused on functions to help them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and advance into society by focusing on the learning of the most important university student users, college life, and social connection. First, we looked at the theories related to smart campus construction through prior research, and next,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analysis and trend analysis, we designed and presented a target model for e-portfolio focusing on core competency development and support system for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and proposed the main point for continuous smart campus development model.

Requirement Analysis of a System to Predict Crop Yield under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작물의 수량 예측을 위한 시스템 요구도 분석)

  • Kim, Junhwan;Lee, Chung Kuen;Kim, Hyunae;Lee, Byun Woo;Kim, Kwang Soo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7 no.1
    • /
    • pp.1-14
    • /
    • 2015
  • Climate change caused by elevated greenhouse gases would affect crop production through different pathways in agricultural ecosystems. Because an agricultural ecosystem has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societal and economical environment as well as organisms, climate, and soil, adaptation measure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on a specific sector could cause undesirable impacts on other sectors inadvertently. An integrated system, which links individual models for components of agricultural ecosystems, would allow to take into account complex interactions existing in a given agricultural ecosystem under climate change and to derive proper adaptation measures in order to improve crop productivity. Most of models for agricultural ecosystems have been used in a separate sector, e.g., prediction of water resources or crop growth. Few of those models have been desiged to be connected to other models as a module of an integrated system. Threfore, it would be crucial to redesign and to refine individual models that have been used for simulation of individual sectors. To improve models for each sector in terms of accuracy and algorithm, it would also be needed to obtain crop growth data through construction of super-sites and satellite sites for long-term monitoring of agricultural ecosystems. It would be advantageous to design a model in a sector from abstraction and inheritance of a simple model, which would facilitate development of modules compatible to the integrated prediction system. Because agricultural production is influenced by social and economical sectors considerably, construction of an integreated system that simulates agricultural production as well as economical activities including trade and demand is merited for prediction of crop production under climate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