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 권역

Search Result 13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valuation of Supply Alternatives of Water Shortage based on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다기준의사결정을 통한 물부족 해소방안 제시)

  • Choi, Si-Jung;Kim, Joong-Hoon;Lee, D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510-1514
    • /
    • 2008
  • 많은 지역이 수자원 관리와 계획에 있어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장래에 물 부족이 전망되고, 하천 수질과 생태환경의 개선은 국민이 바라는 만큼 기대 수준에 미치고 있지 못하고 있어 우리 삶의 질을 저해하고 있다. 따라서 수자원 계획이나 개발에 있어서 기존의 공급 차원만을 고려하기보다는 수질과 생태환경, 수요적 측면을 함께 고려하는 통합적인 접근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점점 증가하는 물수요 때문에 장래에 물 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해소시킬 수 있는 대안들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예측하고 분석하기는 쉽지 않으며, 물 부족을 해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대안 중에 최적대안을 찾는 것 또한 쉬운 일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SEI-US(Stockholm Environment Institute-US Center)가 공동으로 개발한 통합수자원평가계획모형인 K-WEAPq(Korea-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 Linked QUAL2K) 모형을 이용하여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물 수급 전망을 분석하였으며, 물 부족을 해소시킬 수 있는 여러 대안에 따른 물 수급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수자원 계획 및 개발 분야에서 여러 상반된 기준들에 대해 최적의 대안들을 찾고 이를 결정하기 위해 다기준의사결정 분석(MCDA: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낙동강 권역에 대해 2011년 물 수급 전망을 분석한 후 물 부족이 예상되는 지역에 대한 물 부족 해소 정책으로 7가지 대안을 제시하였으며, 사회 경제 환경적 기준에 대해 각각의 대안을 분석하여 최적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Instream Flow, Environmental Improvement Water of Korea and Environmental Flow (우리나라의 하천유지유량과 환경개선용수, 그리고 환경유량)

  • Kang, Seong-Kyu;Lee, Dong-Ryul;Moon, Jang-Won;Choi, Si-Jung;Seo, Jae-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870-874
    • /
    • 2010
  • 통합수자원의 관리(IWRM)에 대한 명확한 용어의 기원과 정의는 내려져 있지 않으나, 1992년 더블린에서 열린 물과 환경에 대한 국제 컨퍼런스에서는 통합수자원관리에 적합한 가이드라인 성격의 원칙을 정하였다. 또한 GWP(2000)는 '생태계의 근본을 지키면서 최대한의 사회, 경제적 가치 창출을 위한 물과 육지, 그리고 이와 관련된 자원을 관리하고 개발하는 과정'으로 통합수자원관리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를 내리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하천유지유량의 개념이 문서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이며, 1995년에 그 구체적인 산정방법이 정립되었고, 1999년 전국 4대강 수계의 하천유지유량이 산정되었다. 이 값들은 2006년 60개 지점에 대해 고시되었으며, 같은 해 환경개선용수의 개념이 정립되고 2007년 개정된 하천법에 보완된 하천유지유량의 개념이 출현 하였다. 하천유지유량 산정방법 또한 보완되어 2007년부터 금강권역을 시작으로 하천 유지유량 재 산정 작업이 시작되어 현재 진행되고 있다. 해외의 경우 1990년대 중반 호주와 남아프리카공화국, 미국 등에서는 하천생태계, 특정 유량이 아닌 전체적인 변동성(유황)을 중요시하는 환경유량의 개념이 정립되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수자원관리와 우리나라의 하천유지유량 및 환경개선용수,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환경유량의 관계를 살펴보고 향후 하천수 관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agricultural area conversion of paddy to field based on reservoir irrigation region (저수지 수혜구역단위 논 전작화 패턴 분석)

  • Park, Jin Seok;Jang, Seong Ju;Hong, Rok Gi;Hong, Joo Pyo;Song, In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67-467
    • /
    • 2021
  • 기존 저수지 농업용수는 주로 논의 벼재배 용수공급을 목적으로 설계되었지만, 논 지역 타작물 재배 지원 등의 정책으로 논에서 밭으로 전작화가 증가함에 따라 농업용수의 효율적 분배를 위한 논의 전작화 패턴 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데이터 포털의 2019년 팜맵을 활용하여 최신 경지 현황을 파악하고, 환경부의 2007년, 2019년 토지피복지도를 이용하여 전작화 패턴을 분석하였다. 구축된 팜맵과 토지피복지도는 환경부 토지피복분류 기준 농업지역 중분류로 일치시켜 분석에 활용되었다. 논, 밭, 시설재배지 등의 농경지 이용 현황 및 전작화 추이는 전국 단위, 권역 단위로 분석되었고, 주요 시도와의 공간적 거리를 전작화 영향인자로 설정하여 DUP(Degree of Urban Proximity) 등의 지표로 그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체 경지 중 논, 밭의 면적과 증감 추이를 ACR(Area Change Rate) 등의 지표로 전작화 규모를 파악하였고, LPI(Largest Patch Index), LSI(Landscape Shape Index) 등의 지표로 개별/집단화 전작의 패턴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로 제시된 저수지 수혜 구역별 논의 전작화 패턴은 논 벼재배와 농업용수 수요 특성이 상이한 밭작물에 안정적 용수공급 체계 구축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Micrometeorological quantification of Hg fluxes from an areal source and assessment of its cycle (미기상학적 기법을 이용한 수은의 플럭스 관측 : 면오염원 지역의 배출-침적에 의한 수지균형과 순환)

  • 김민영;김기현;이강웅;신재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51-54
    • /
    • 2000
  • 수은의 순환현상은 원소성 수은의 지화학적 분포특성으로 대표된다 (Kim et al., 1997). 강한 휘발성과 화학적인 안정성은 광역적으로 수은이 균질한 분포특성을 유지하여 지구규모의 대기순환에 종속되는 원인으로 이해된다. 수은의 순환과 관련된 근래의 연구들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환경권계면간에서 진행되는 교환현상들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왔다. 대기환경과 수림식생과의 교환현상에 대한 연구 (Lindbereg et al., 1995, 1998), 대기환경과 토양생태계의 교환 (Carpi and Lindberg, 1998; Kim et al., 1995; Kim and Kim, 1999, 1998. Xiao et al., 1991), 수환경과 대기환경계의 교환(Poissant and Casimir, 1998)등 상대적으로 오염원의 강한 영향을 받는 환경권역을 중심으로 한 교환현상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자료는 아직까지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중략)

  • PDF

Analysis of Rainfall Pattern Change According to Urbanization (도시화에 따른 강우특성 변화 분석)

  • Oh, Tae-Suk;Moon, Young-Il;Son, Chan-Young;Chun, S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27-1331
    • /
    • 2010
  • 최근 50년간 한반도는 산업화와 근대화로 인하여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되었다. 도시화는 자연적으로 조성된 생태환경을 변화시키고, 열섬현상과 고층빌딩 등으로 인해 대기의 이동과 특성의 변화를 야기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과거부터 인구자료와 시가화면적비 자료를 이용하여 도시화가 많이 진행된 지역과 비도시화 지역으로 구분하여 발생된 강우특성자료에 대한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관측자료가 존재하는 57개 지점을 대상으로 위도, 경도, 연강우량, 연최대일강우량, 강우일수, 10mm 이상의 강우일수 및 80mm 이상의 강우일수를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해 우리나라를 크게 4개 권역으로 구분하고, 강우자료의 관측기간을 이등분하여 전후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이 비도시화 지역에 비하여 강우사상의 변화가 연강우량과 강우일수, 80mm 이상 강우일수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화가 강우특성 변화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lternatives of the Korean Nationwide Survey on Natural Environments to Promote Biodiversity Conservation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전국자연환경조사의 발전방안 - 선진 외국의 사례검토를 중심으로-)

  • Rho, Paik-Ho;Choung, Heung-Lak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5 no.3
    • /
    • pp.25-56
    • /
    • 2006
  • We reviewed and compared nationwide surveys conducted in advanced countries (i.e., Japan, Germany, USA, and UK) with those in Korea, including the third Nationwide Survey of Natural Environments, which began in 2006 and will proceed until 2010. Based on this comparative analysis, we suggest alternatives to the nationwide survey of natural environments that are suited to Korea. Given the focus on species abundances and distributions in previous nationwide surveys in Korea, surveys of habitats, ecosystems, and ecoregions are required to more effectively protect biological resources in Korea. Furthermore, their spatial distributions should be mapped using periodical satellite images and aerial photographs. In particular, satellite images can be used to survey species, habitats, and ecosystems. Natural resources monitoring and management specialists are needed to collect various data and improve survey results. The participation of community volunteers is also important to develop an awareness in local residents of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Independent survey institute (i.e., a 'National Ecosystem Institute') should be established to develop a database and survey scheme for species, habitats, and ecosystems throughout Korea. Moreover, the survey institute could develop natural environmental policy through the data analysis to meet the objectives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The establishment of a survey institute will allow the completion of a natural environment survey that considers various factors, including physical habitat conditions. This will allow us to detect subtle changes in species abundance and spatial distributions and provide accurate and timely information on natural environments.

  • PDF

Analyzing Core Competence for Culture Contents Industry Ecosystem -based on Kyunggi Region- (경기도 문화콘텐츠산업의 지역착근성 기반 산업생태계 핵심역량 분석)

  • Kim, Yeon-Je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2
    • /
    • pp.672-677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ve industry competence of Kyunggi regional area. The LQ index was applied to estimate the competence of 11 culture contents. In the case of the amount of revenue, cartoon, characters, knowledge information, and publishing showed a relative high competence over LQ 1.0. Regarding the number of companies, cartoon, music, game, character, and knowledge information showed LQ of more than 1.0. The criteria of the number of employees indicated publishing, cartoon, game, character industry to be significant. The common LQ index result of 3 criteria suggested cartoon and character industry to be influential. This indicates that the flow among knowledge, information and person in a regional industry cluster are most important for promoting industry core competence.

Deterioration Status of Closed- Trail of National Parks on the Baekdudaegan Mountains, South Korea (백두대간권역 국립공원 비개방 탐방로의 훼손실태)

  • Cho, Wo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6 no.5
    • /
    • pp.827-83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cientific data to support policy making on core area management in national parks, particularly to resolve conflict regarding trail closure, by analyz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rails in the Seoraksan and Songnisan National Park on the Baekdudaegan mountains. For the analysis, we surveyed 112 points selected from three sections and one section of closed trails in Seoraksan and Songnisan, respectively (17.1 km in total). The surveyed trails had, on average, trail width of 0.98m, baresoil width of 0.84 m, maximum erosion depth of 11.6cm, and trail slope of 14.2%. Of 53 out of 112 surveyed points (47.3%), we found exposed roots. Only 47 points (42.0%) did not show any type of physical deterioration. The magnitudes of deterioration in the surveyed closed-trail are relatively lower than those in open-trail in other national parks and are similar to those of ridge trails on the Baekdudaegan mountains.

Precipitation-Streamflow Elasticity analysis of Nakdong River Based on RCP 4.5 Climate Change Scenario (RCP 4.5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의 낙동강 유역의 강우-유출 탄성도 분석)

  • Jang, Young-su;Park, Jae-Rock;Shin, Hyun-s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2
    • /
    • pp.605-612
    • /
    • 2017
  • Climate change affects the natural ecosystem and human socioeconomic activities by acting on various constituents such as the atmospheric, oceanic, biological, and land constituents of the climate. Predicting the impacts of ongoing climate change will be an important factor in adapting to the climate of the future. In this study, precipitation-streamflow elasticity analysis of the Nakdong River area was conducted using the RCP 4.5 scenario developed by the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Precipitation and streamflow in the Nakdong River area was analyzed using monthly, seasonal, and yearly data. Results found that the climate would become very humid climate by 2100.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adaptation of climate chang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and efficient utilization of hydraulic structures.

A Study on Factor Analysis and Strategies for SME's Global Management of Technology (중소기업의 글로벌 기술경영을 위한 요인분석 및 전략연구)

  • Kim, Jang-Yeop;Choi, Ji-Seok;Lee, Suk-Jun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0 no.1
    • /
    • pp.169-198
    • /
    • 2012
  • The rapidity at which industrial and business management environment has become globalized, including the FTA, has provided valuable opportunities for domestic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to obtain global technological business. However, it is unclear whether or not the SMEs' attempt to advance global technological business is producing fruitful results. This study begins with defining global technological business and the efforts of SMEs to develop them and proceeds to discuss survey results that asked the reasoning behind SMEs that entered or wish to enter foreign spheres (China, Japan, Southeast Asia, and Europe) of businesses, and also perform factorial analysis to obtain substantiation. The study classified the relevant SMEs using clustering method.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makes recommendations to executives in instilling global-minded strategies, on customized support strategies depending on the SME's capability and its intended foreign entry sphere, and on strengthening the SME's competence on the global sca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