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학적

Search Result 2,75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한국 남해산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의 성숙과 산란

  • 곽오열;정의영;김봉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518-519
    • /
    • 2000
  • 재첩류는 담수와 기수역에 넓게 분포하는 식용 패류로서, 일본재첩은 우리 나라 기수역에서 다량 서식하는 유용패류이다. 일본재첩에 관한 연구는 생식생태학적연구 (조비,1941: 조등, 1997; 조 등,1998)와 생장(宇藤, 1981)이 있을 뿐이다. 그러나, 국내에 서식하는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의 생식생태에 관한 연구가 매우 미진할 뿐만 아니라, 이들의 생식생태에 관한 계수학적 정량분석조사는 되어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본재첩의 생식생물학적연구의 일환으로 생식소의 구조, 생식주기, 생식소지수의 월별변화, 생식세포발달과정, 성비를 조사하였고 계수학적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중략)

  • PDF

Ecological Consideration of Factors Inducing School Violence (생태학적 측면에서 본 학교폭력의 유발 요인)

  • Jeong, Jong-Jin
    •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 /
    • v.11 no.3
    • /
    • pp.331-350
    • /
    • 2012
  •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e factors inducing school violence from an ecological standpoint on the assumption that a correct analysis of what brings about it must be carried out in advance in order to prevent and cope with school violence, For that, an ecological heuristic model of factors related to school violence devised by Benbenishty and Astor(2005), who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ecological developmental theory of Bronfenbrenner(1979), was briefly introduced. On the basis of this model the author classified school violence factors into school-level factors, individual factors, family-level factors, and community contextual factors and examined relevant literature and preceding studies. Through this discussion a conclusion was drawn that, because school violence occurs not by one cause but by various causes including school, individual, family, community related factors, and it can be called 'a synthetic violence type', it is necessary to set up synthetic measures against these factors on a long-term basis. It also was concluded that only when schools, homes and societies free from factors inducing school violence are built, the counter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will be truly effective.

  • PDF

Evaluation of the Habitat Suitability of the Hantan Dam Reservoir (한탄강 댐 저수지 생태환경 서식적합도지수 산정)

  • Gang, Hyeong-Sik;Bang, Seok-Bae;Park, Dae-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17-517
    • /
    • 2017
  • 본 연구는 저수지 주변 생태환경 서식적합도지수를 산정하여 댐 건설 전후의 생태환경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생태적 가치에 대한 평가 모델 고려 인자로는 고도, 경사 및 각과 같은 물리적 요인, 산림 지형, 식생 유형, 연령층, DBH 등급과 같은 초목 요인들, 그리고 생태 자연상태, 식생 보존 분류 및 야생 생물 출현 지점과 같은 서식지 요인을 이용하였다. 각 요소의 생태학적 기능을 고려한 평가기준을 정량화하여 개발된 모델은 한탄강 댐 저수지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댐 건설 이전의 생태 가치가 100이라고 가정했을 때, 댐 건설 이후에 물리적 요소는 83.9, 초목요소는 92.4, 그리고 서식처 요소는 84.5로 저하되었다. 전반적인 생태 가치는 건설 후 86.9 %, 13.1 % 감소하였다. 또한, 평가 요소를 쌓은 방법을 통해 생태학적으로 건강한 지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댐 저수지에 생태 복원 계획을 수립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n the Evaluation Technique of Revetment for Nature-Friendly River Improvement (자연 친화적 하천정비를 위한 호안평가기법 연구)

  • Kim, Yun-Hwan;Park, Nam-Hee;Jin, Young-Hoon;Kim,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08-1114
    • /
    • 2007
  • 최근 우리나라의 많은 하천에서 자연 친화적 하천정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하천정비기법들 역시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다양한 기법들은 대상하천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자연 친화적 하천정비를 추진하자는 데 그 근거를 두고 있다. 이에 따라 하천을 구성하고 있는 지형학적 요소와 그 구조 안에서 흐름이 갖는 수리학적 특성, 그리고 하천에서 서식하는 생태학적 조건과 현상들에 대한 분석을 통한 연구가 친자연적인 하천을 조성하기 위한 토대로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방 또는 하안을 유수에 의한 파괴와 침식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호안에 대한 평가기법을 수리학적, 생태학적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호안은 제방 및 하안의 수리적 안정성을 담보하기 위해 시공되는 하천구조물이며, 그로 인해 자연 생태계와의 조화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구조물이다. 그러므로 자연 친화적 하천정비를 위한 호안의 평가는 반드시 생태적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연 친화적 하천정비를 위한 호안의 평가지표 및 기법의 개발에 대한 선행연구로서 현장조사지점 선정과 선정된 조사지점의 세부조사항목들을 활용한 평가방법을 모색하였다. 이는 향후 하천의 호안설계 및 시공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를 위한 초석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Geoecological Situation and Promotion of Mountain Settlements in Korea (I) (한국 산지촌의 실태와 진흥방안에 관한 연구 (I) -강원 남부지역의 산지촌을 사례로 한 경관생태학적 접근-)

  • 김일기;이민부;박승규;전종한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1
    • /
    • pp.27-46
    • /
    • 1999
  • 이 글은 상대적으로 연구 성과가 미비하고 그 접근방식도 다양하지 못했던 기존의 산지촌 연구를 회고하면서, 경관생태학적 관점을 활용하여 산지촌의 분포지역을 세분하고 이 틀 속에서 산지촌에 접근하자고 하였다. 특히 산지촌들이 생태지역에 따라 그 존립방식에 있어서 내적 차별성을 보인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연구지역은 산지촌이 전형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강원 남부지역의 태백산맥 일대로서 지형경관, 사면경사도, 해발고도 등에 의거하여 세 개의 생태지역으로 세분될 수 있었다. 고위평탄면지역 산지촌, 고위산간지역 산지촌, 그리고 급사면산간지역 산지촌이 그것이다. 이러한 생태지역의 개념에 기초하여 먼저 산지촌의 형성과정을 역사적으로 추적해본 후, 자연경관, 촌락의 분포 패턴, 생활방식 등을 생태지역별로 비교하면서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이 과정에서 도출된 세 곳의 생태지역, 생태지역별 자연경관 및 생활양식의 차별성, 산지촌 생활의 현실태, 촌락존립상의 문제점 등은 산지촌의 진흥방안을 모색하는 데 매우 중요한 관점과 방향을 제시해 줄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고에서 사용한 경관생태학적 방법론은 연구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도 적용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전국의 산지촌으로 확대될 때 현실에 바탕을 둔 산지촌의 진흥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A Study on the Ecological Analysis for the Modern Application of Traditional Dwellings - by the Ecological Approach - (전통주거(傳統住居)의 현대적(現代的) 응용(應用)을 위한 생태학적(生態學的) 분석(分析) - 생태학적(生態學的) 접근방법(接近方法)에 의하여 -)

  • Kim, Samne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1 no.3
    • /
    • pp.53-64
    • /
    • 1999
  • This is designed to find out the relations between traditional dwelling and its ecological concepts and factors in the natural environment. This also reveals how to design the dwelling under the full consideration of eco-system and its application possibility. Now, I have a conclusion that Modern architecture application would be possible if we design buildings under full-consideration of ecological environmental elements, inheri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ical architecture items through more detailed and further advanced studies in traditional architecture methods.

  • PDF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Furniture Design (생태학적 가구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Ki-Duk;Kang Seung-Mo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13 no.6
    • /
    • pp.150-157
    • /
    • 2004
  • The Furniture Industry is, which is taking Charge of the large Por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s a nun Consumer of Resources, therefore, in a Furniture Design, active Argument of the Researches and the related Constituents to the Design and Material is very absolutely required recently The Furniture Design which Ecology was applied to can minimize the environmental Burden through the Resources and Energy Consumption Reduction and cyclic Utilization within the Earth Ecosystem, and proceed to the Presentation of the Possibility to solve the recent environmental Problems. This Study was written as part of the first Step in the Development of independent Eco-Label System and environmental Criteria for Furniture and national Furniture Industries. It contains the Definition of Furniture, ecological Design and ecological Furniture (Chapter2). and Chapter 3 Presents Characteristics of ecolo91cal Furniture. Chapter 4 Provides a Summary of the specific Criteria on a Materials used for Furniture Design with the relevant environmental Issues in the Life Cycle of Furniture, and also health 8t safety related Issues and performance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