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ecological Situation and Promotion of Mountain Settlements in Korea (I)

한국 산지촌의 실태와 진흥방안에 관한 연구 (I) -강원 남부지역의 산지촌을 사례로 한 경관생태학적 접근-

  • 김일기 (한국교원대학교 제2대학 지리교육과) ;
  • 이민부 (한국교원대학교 제2대학 지리교육과) ;
  • 박승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 과정) ;
  • 전종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Published : 1999.03.01

Abstract

이 글은 상대적으로 연구 성과가 미비하고 그 접근방식도 다양하지 못했던 기존의 산지촌 연구를 회고하면서, 경관생태학적 관점을 활용하여 산지촌의 분포지역을 세분하고 이 틀 속에서 산지촌에 접근하자고 하였다. 특히 산지촌들이 생태지역에 따라 그 존립방식에 있어서 내적 차별성을 보인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연구지역은 산지촌이 전형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강원 남부지역의 태백산맥 일대로서 지형경관, 사면경사도, 해발고도 등에 의거하여 세 개의 생태지역으로 세분될 수 있었다. 고위평탄면지역 산지촌, 고위산간지역 산지촌, 그리고 급사면산간지역 산지촌이 그것이다. 이러한 생태지역의 개념에 기초하여 먼저 산지촌의 형성과정을 역사적으로 추적해본 후, 자연경관, 촌락의 분포 패턴, 생활방식 등을 생태지역별로 비교하면서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이 과정에서 도출된 세 곳의 생태지역, 생태지역별 자연경관 및 생활양식의 차별성, 산지촌 생활의 현실태, 촌락존립상의 문제점 등은 산지촌의 진흥방안을 모색하는 데 매우 중요한 관점과 방향을 제시해 줄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고에서 사용한 경관생태학적 방법론은 연구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도 적용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전국의 산지촌으로 확대될 때 현실에 바탕을 둔 산지촌의 진흥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지산선생회갑기념논문집 대관령부근의 산촌의 입지와 형태 강대현
  2. 영주연감 강릉시
  3. 신한국지리 강석오
  4. 화전정리사 강원도
  5. 한국지명요람 국립지리원
  6. 지리학논총 v.14 산촌지역개발을 위한 연구 시론 김인
  7. 지구환경보고서 김범철(역);이승환(역)
  8. 한국 국토개발사 연구 김의원
  9. 서울대 대학원 지리학과 박사학위논문 곰소만의 어업과 어촌 연구 김일기
  10. 백두대간의 개념정립과 실태조사 연구 김일기;오경섭;이민부(외)
  11. 백두대간 실태조사 및 합리적인 보전방안 연구 김일기;이민부(외)
  12. 국토개발의 이론 연구 김형국
  13. 한국근대화와 역사지리학: 호남평야 류재헌
  14. 일본의 농촌사회: 관광산업과 문화변동 문옥표
  15. 新增東國與地勝覽 민족문화추진회(역)
  16. 우리의 산촌: 산속 마을의 새로운 진로 박명규(외)
  17. 국토와 민중 박태순
  18. 지리학총 v.10 평창 산촌가옥의 변모 신중성;윤진숙
  19. 지리학연구 v.9 태백산지의 산촌에 관한 연구 오홍석
  20. 취락지리학 오홍석
  21. 지리학 v.32 산촌연구의 동향과 방법론 옥한석
  22. 향촌의 문화와 사회 변동 옥한석
  23.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v.2 유홍준
  24. 농촌경제 v.10 no.4 산지 및 산지농업의 개념과 새로운 시각의 정립: 산지농업의 문제상황과 국토 공간상의 위치 이광원
  25. 농촌경제 v.3 no.3 산촌농업발전의 저해요인과 해결방향 이광원
  26. 농촌경제 v.9 no.4 산촌의 문제상황과 국토공간상의 위치: 산촌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필요성 이광원
  27. 지리학논총;서울대 대학원 지리학과 박사학위논문 no.별호6 태안반도의 산촌 형성에 관한 연구 이문종
  28. 새마을연구 v.3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자연환경 변화 연구 이민부
  29. 택리지 이중환;노도양(역)
  30. 농촌경제 v.12 no.4 산촌지역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장우환;최규섭
  31. 문화역사지리 v.5 촌락의 공간적 확대과정에 관한 연구 전종한
  32. 정선연감 정선군
  33. 경희대 논문집 v.8 고랭지 토지이용의 변모: 대관령의 농업적 토지이용을 중심으로 조동규
  34. 경희대 논문집 v.6 대관령 지역에 있어서 높고 한랭한 지역의 윤작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 조동규
  35. 지리학 v.2 한국의 화전분포 조동규
  36. 지리학 연구보고;14경희대 대학원 지리학과 박사학위논문 한국 촌락의 지역적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최기엽
  37. 산과 한국인의 삶 최정호(편)
  38. 평창군지 평창군
  39. 한국사강의 한국역사연구회(편)
  40. 사회학논총 v.1 한국 산촌의 연구 한상복
  41. 한국사회학 v.2 한국 산촌주민의 의식과 신앙 한상복
  42. 林業經濟 v.398 林業問題硏究領域と視覺 半田良
  43. 林業經濟 v.465 山村の復權を目指して 北村昌美
  44. 林業經濟 v.419 山村振興に關する一試論 山岸淸隆
  45. Description of the ecoregions of the United states(2nd edn.) Bailey,R.G.
  46. Period and Place: ressearch method in historical geography Baker,A.R.H.(et al.)(eds)
  47. A.A.G. v.13 Geography as Human Ecology Barrows,H.H.
  48. Historical Ecology Bilsky,L.J.
  49. Social Relations and Spatial Structures Gregory,D.(et al.)(eds)
  50. Human Impact on Mountains High Moutains as Human Habitat Groetzbach,E.F.;Nigel J.R. Allen(ed.)(et al.)
  51. The Nature of Geography;지리학의 본질 Hartshorne,R.;한국지리연구회(옮김)
  52. Cultural Ecology Netting,R.M.
  53. Social Change in Rural Societies Rogers,E.M.(et al.)
  54. Ecogeography and Rural Management Tricart,J.(et al.)
  55. Human Impact on Mountains Comparative Geography of the High Mountains of the World in the View of Landscape Ecology Troll,C.;Nigel J.R. Allen(ed.)(et al.)
  56. Pflanzensoziologie und Landschaftsoecologie Landschaftsoelologie Troll,C.
  57. Geoforum v.8 Landschaftsoelologie(Geoecology) and Biogeocoenology - A terminological Study Troll,C.
  58. Geologie, Geophysiche, Geographie, Serie de Geographie v.14 Landschaftsoelologie(Geoecology) and Biogeocoenology - Eine Terminologische Studie Troll,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