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학적

Search Result 2,74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Comparisons of the Assessment of Ecological Landscape Design and the Apartment Skylines (생태학적 조경설계 평가와 아파트 스카이라인의 비교)

  • Kwon, Sang-Z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1 no.1
    • /
    • pp.90-100
    • /
    • 2003
  • 본 연구는 건축고도제한에 의해 생태학적 조경설계는 어떻게 통제되며, 또한 생태학적 조경 설계가 무엇인가를 구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두 가지 다른 단지를 비교하여 건축물 스카이라인이 주변경관과 조화로운 심미적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영향에 관하여 고찰할 수 있다. 이 비교를 통하여 스카이라인 통제가 아파트단지 계획과 설계에서 생태학적 조경설계에 영향을 주는가를 검증하게 될 것이며, 스카이라인이 통제된 아파트단지가 조경시설 설계에 있어서 전체적, 역동적, 반응적, 직관적 접근을 할 때 상대적으로 우선성을 표출할 수 있을 것이다. 아파트단지 계획·설계에 있어 건물고도제한이 적절하게 검토되어 스카이라인의 통제를 더 강하게 할수록 아파트단지에서 만들어진 조경환경의 특성이 강조되고 강화한 경관이 더 조화롭게 된다는 점에서 경관에 유용하고 편익이 있다. 생태학적 조경설계의 평가사항은 자기 지속적, 자연적·문화적 정체성, 개연적 외관, 생태학적 접근으로 이뤄진다는 전제 아래 세부사항 18개 항목을 표출하였다. 또한 스카이라인 통제는 자연적 경관을 보전하고 수목이 단지의 안팎으로 자연스럽게 펼쳐지는 녹지 네트워크와 야생 동물 코리도를 획득하기 위하여 독특한 경관을 설계하고 개성적인 것으로 도출하여 조화로운 심미성을 이룩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계량적으로 표출하였다. 아파트단지의 경관에서 의미 있는 것은 다양한 접근으로 설계되고 건물 스카이라인 통제방법을 강화함으로써 관리되는 스카이라인의 실루엣이 다양하고 개성적 형태를 표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스카이라인의 영향과 생태학적 조경설계가 계량적 요소에 의해 상대적으로 비교될 수 있으며, 생태학적 조경설계의 평가시설지표는 보다 세분화됨으로써 전체적인 설계요소의 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A Study on the Direc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the Classroom Ecology (교실생태학적 관점에 따른 수학교육의 방향 탐색)

  • Lee, Dae-Hyun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4 no.1
    • /
    • pp.1-12
    • /
    • 2011
  • This paper provides an outline of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the classroom ecology. Ecology is the subject that concentrates on the relations of human and environment. As mathematics education consists of many factors, it is natural that mathematics education should be interest in the perspective of ec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ecology and classroom ec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ecology. And it provides the directions of ecological mathematics education. In special, I set the frame of mathematics classroom in the perspective of ecology. The ecological structure divides microsystem(teacher, student, content), mesosysten(relations of microsystems), exosystem(school), and macrosystem(the objects of mathematics education). Lastly, I suggest the ways of mathematical learning and research of classroom ec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For we should focus the improvement of students' mathematical ability, we must search for th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he ares of research in the perspective of ecology classroom. Therefore, we should be interested in the classroom environments as well as teaching methods, contents based on the ecology classroom in mathematics education.

Assessment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Drought considering Fish Habitat and Water Quality in the River (하천의 수질 및 어류서식서를 고려한 환경-생태학적 가뭄평가)

  • Park, Seo-Yeon;Hong, Hyun-Pyo;Na, Byoung-Chan;Cho, Yeon-Hwa;Lee, Joo-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51-51
    • /
    • 2018
  •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이 상승 및 강수 패턴의 변화로 인하여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다른 자연재해들과는 달리 가뭄은 공간적 및 가뭄에 영향을 받는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및 심리적인 피해 등에 있어 대단히 광범위하다. 특히, 오랜 기간 동안의 무강우로 인해 자연생태계의 균형을 변화시켜 많은 물고기와 야생 생물 종에 해를 끼칠 수 있으며, 식물 성장 저하, 화재 및 곤충 발생의 증가, 물 순환 및 지방 종의 멸종 증가와 같은 환경학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또한 폭염과 마른 날씨로 인하여 멸종위기종의 어류 서식지를 잃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환경-생태학적 가뭄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질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뭄에 따른 환경-생태학적 영향 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하천 수질과 식생의 변화 등을 분석하여 가뭄 상태에 따른 환경-수생태의 영향을 살펴보고자한다.

  • PDF

Human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Process and Social Science Method Application (인간 생능학적 조경계획 과정과 사회과학 방법론의 적용)

  • Kim Jai-Si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4 no.3
    • /
    • pp.47-57
    • /
    • 1987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 생태학적 조경계획의 이론적 배경과 계획과정을 살펴보고, 인간 생태학이라는 사회과학적 이론의 환경계획에의 적용 가능성및 필요성을 밝히고자 함에 있다. 인간의 건강과 복지가 인간 생태학적 조경계획의 지침으로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Philadelphia와 New York의 교외에 위치한 Upper Makefield Township 주민들의 정주유형 (Settlement Patterns), 활동유형(Activity Patterns), 이용자유형(User Patterns), 인간생태학적 소구역(Human Ecological Subregion)의 구분 및 정주기준(Siting Criteria)등을 조사 연구한 후 이들의 상호관계를 밝혀 계획가들에게 인간생태계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River2D for Estimation of Ecological Instream Flow (생태학적 하천유지유량 산정을 위한 River2D 모형의 적용)

  • Roh, Kyong-Bum;Park, Sung-Chun;Lee, Yong-Hee;Jin, Young-Hoon;Park, Myou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98-202
    • /
    • 2011
  • 과거의 하천은 이 치수에 주목적을 두고 하천정비를 실시하였으며, 이 때문에 하천은 직선화되거나 하천구조물을 설치하여 원래의 고유한 특성을 상실한 채 자연적인 모습을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에 이르렀다. 과거와 같은 하천의 난개발은 하천 생태계를 교란하였으며, 하천을 서식처로 삼고 살아가던 많은 동식물이 하천환경의 변화와 파괴로 인해 사라졌거나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하천환경을 과거와 같이 생물의 종다양성이 풍부한 곳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하천 개발과정에서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환경에서 어류의 서식처 보전을 위한 하천유지유량을 산정하기 위해 2차원 생태모델인 River2D 모형을 섬진강 송정지점을 대상으로 하여 적용하였다. 모형의 적용을 위해 송정지점에서의 대표어종을 선정하였으며, 서식처 특성 파악을 위해 하천 수리 및 하도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결과를 이용하여 River2D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구축된 모형을 이용하여 송정구간에서 대표어종인 피라미와 갈겨니의 서식처 보전을 위한 생태학적 하천유지유량을 추정하였다. 생태학적 하천유지유량은 모델의 결과와 실제 도입 가능수량 등을 검토하여 최종적인 하천유지를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 송정구간은 $7.0\;m^3/s$이상으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시서식처 모형에 의해 생태유지유량을 산정하였으나, 진정한 의미의 생태학적하천유지유량은 수리수문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생화학적 특성을 고려한 거식적인 관점에서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 PDF

An Ecological Interpretation on Korean Traditional Dwelling Houses and Their Landscape Gardens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의 생태학적 해석 - 동계(桐溪) 정온(鄭蘊) 가옥과 전주(全州) 최씨(崔氏) 종택을 중심으로 -)

  • So, Hyun-Su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7 no.1
    • /
    • pp.120-130
    • /
    • 2009
  • This study focuses on the methodology of an ecological 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s through both life-oriented philosophy and traditional Korean philosophy which are similar to ecology. Also, useful tools for discovering an ecological technique of formation based on the ecological thoughts in ancestors' life are shown. Ecological key words as interpretative tools on the traditional landscape replaced ecological concepts in Korean culture and landscape. There are 'Bonsung(本性; the original nature)', 'Chungjeol(中絶; moderation)', 'Hyoyul(效率; efficiency)', 'Sangsaeng(相生; symbiosis)', 'Jasaeng(自生; self-generation)', 'Chunghwa(中和; neutralization)', 'Bangtong(旁通; communication)', and 'Byuntong(變通; variableness)'. For the case study, the concepts of 'spatial structure', 'constructive elements in the traditional gardens', and 'structural elements in the dwelling houses' were extracted from $\ulcorner$Imwonkyeongjeji$\lrcorner$ as an interpretative subject. As a result, Jeongon house, Jongtaek of Choi's family(the first incoming resident) showed us an ecological technique of formation by interpretation on the composing elements. Namely, they are natural dwelling houses in harmony with natural conditions and delicate relational styles. Five kind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exposed. They are: 1. land use method following natural features('本性' '相生' '中和'), 2. physical and spatial elements in a body with nature('中絶' '相生' '中和'), 3. sustainable circulation system by recycling limited resources('效率' '自生' '旁通'), 4. use of natural materials based on the regional climate ('中絶' '效率' '自生') and 5. plane and structural decision by microclimate('效率' '自生' '變通'). Consequently, the dwelling houses and their traditional gardens aimed at the consuming space of the efficient resources by utilizing and circulating natural energy more than different types of the traditional spaces.

Environmental Effect of River Aggregate Dredging (하천 골재채취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분석)

  • Park, Eui Jung;Kim, Chul;Kim, Seok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350-1355
    • /
    • 2004
  • 주택건설과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인해 골재부족이 심화되면서 하천정비공사에서 골재채취가 주요한 사업이 되고 있다. 하지만 무분별한 골재채취는 하천생태계를 파괴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하천에서 골재를 채취할 때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골재채취를 중지하고 휴식년제를 취할 때의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서로 비교${\cdot}$분석함으로서 하천골재 채취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수리학적 분석, 수질분석, 생태학적 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영산강의 일부구간으로 현재 이 구간은 골재채취공사가 진행중인 지역이다. 하상변동을 수치해석으로 모의한 결과 하상은 골재채취후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골재채취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크지 않았고 단지 부유사(SS)가 약간 증가하였다. 생태학적 조사 결과 어류, 포유류, 양서류, 파충류와 조류는 공사로 인한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골재채취 사업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및 사전환경성 검토에 활용될 수 있고, 하천공사와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 등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Écoumén Ethik und der ökologische Gedanke von Land und Körper (에쿠벤 윤리, 대지와 몸의 생태사상)

  • Kim, Jyung-Hyun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26
    • /
    • pp.1-23
    • /
    • 2013
  • Heute ist das Problem in der globalen Gesellschaft, mit dem wir uns $besch{\ddot{a}}ftigen$ sollen, die ${\ddot{o}}kologische$ Krise. Einer der Wege, um die ${\ddot{o}}kologische$ Krise zu $l{\ddot{o}}sen$, ist das Finden des ${\ddot{o}}kologischen$ Gleichgewichts des Landes und des menschlichen $K{\ddot{o}}rpers$. Dieser Aufsatz behandelt mit dem Begriff von "Salim (Haushalten und Beleben)" die Beziehung des Menschen zum Land, und die Beziehung des Landes zum menschlichen $K{\ddot{o}}rper$. In $Ankn{\ddot{u}}pfung$ an das Konzept der ${\ddot{o}}kologischen$ "Salim" laufen bei diesem Aufsatz $vielf{\ddot{a}}ltige$ Argumente wie die Beziehung des Menschen zum Land als ${\acute{e}}coum{\acute{e}}n$ Ethik, "Salim des Landes" und "Salim des $K{\ddot{o}}rpers$" zusammen. Das ${\ddot{o}}kologische$ Ungleichgewicht im 21. Jahrhundert weist darauf hin, dass die menschliche Beziehung zum Land als einem Platz der menschlichen Besiedlung bis jetzt nicht gesund war. Das Anfordern der ${\acute{e}}coum{\acute{e}}n$ Ethik von heute erweist sich, dass wir herausarbeiten $m{\ddot{u}}ssen$, die gesundliche Beziehung des Menschen zum Land wieder zu beleben. Im Kapitel 3, in $Anschlu{\ss}$ an das Konzept der ${\ddot{o}}kologischen$ "Salim" des Landes, ist die Tatsache in Betracht zu ziehen, dass das Land nicht einfach wirtschaftlichen Wert hat, sondern zur Gemeinschaft des kosmischen Lebens $geh{\ddot{o}}rt$. Mit dem Konzept der ${\ddot{o}}kologischen$ $K{\ddot{o}}rper$-Salim, versucht das Kapitel 4 darzulegen, wie der menschliche $K{\ddot{o}}rper$ im kosmischen Lebenszyklus beteiligt ist. Heute, konfrontiert mit der Amnesie vom Leben des Landes und mit dem $Sch{\ddot{a}}den$ des $K{\ddot{o}}rper-{\ddot{o}}kosystems$, sollten wir unser Bewusstsein und unsere Lebensweise $ver{\ddot{a}}ndern$ und die ${\ddot{o}}kologischen$ Salim-Bewegung in die Praxis setzen.

A Development of Work Domain Model to apply Ecological Interface Design to Air Traffic Controller Display (항공기 관제디스플레이의 생태학적 인터페이스 디자인 적용을 위한 Work Domain Model 개발)

  • Ko, Seung-Moon;Myung, Ro-Hae;Hong, Seung-K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76-82
    • /
    • 2006
  • 본 연구는 항공기 관제사의 관제디스플레이에 대한 생태학적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적용하기 위한 초기작업으로써 항공기 관제영역에 대한 Work Domain Analysis 를 실시하여 Work Domain Model 을 개발하고 모델에 대한 테스트를 통해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완성된 모델을 바탕으로 디자인을 위한 Information Requirement 를 추출함으로써 지금까지 적용해보지 않은 항공기 관제영역에 대한 생태학적 인터페이스 디자인 툴(Tool)의 새로운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여 추후, 구체적인 관제 디스플레이의 생태학적 개발에 기본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