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지도

Search Result 28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termination of Weight of environmental/ecological assessment Factor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in Korea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GIS (인공신경망 및 GIS를 이용한 국토환경성평가지도 환경.생태적항목 가중치 분석)

  • Lee, Moung-Jin;Jeon, Seong-Woo;Won, Joong-Su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237-240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신경망 기법을 이용하여 2006년 전국을 대상으로 구축된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환경 생태적항목에 대한 각 항목별 가중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기본 분석 도구로 지리정보시스템(GIS)가 사용되었다.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환경 생태적항목은 다양성(생태자연도), 자연성(임상도, 녹지자연도, 생태자연도), 풍부도(생태계변화관찰 지역도), 희귀성(생태자연도), 허약성(수치지형도, 토지피복도), 군집구조의 안정성(임상도)등이 활용되어 구축되었다. 본 연구는 기 구축되어 사용되고 있는 국토환경성평가 지도의 환경 생태적항목을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고, 인공신경망 기법을 적용하여 각 평가항목간의 상대적 가중치를 구하였다. 인공신경망의 훈련 지역은 환경 생태적항목중 환경성이 높은 1등급 지역 및 환경성이 낮은 5등급 지역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50번의 가중치를 산정하였을 경우 허약성이 다른 항목들에 비해 1.58배 정도 높은 상대적 가중치를 나타냈다. 이러한 가중치는 국토환경성평가지도 환경 생태적 항목의 취약성도를 작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Both Biotope Maps and Land Cover Maps on the Calculation of the Ecological Network Indicator of City Biodiversity Index (도시생물다양성 지수(CBI) 중 생태네트워크 산정을 위한 도시생태현황지도 및 토지피복지도 활용 가능성 연구)

  • Park, Seok-Cheol;Han, Bong-Ho;Park, Min-Jin;Yun, Hyerngdu;Kim, My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4 no.6
    • /
    • pp.73-83
    • /
    • 2016
  • This study modified and applied the ecological network(Indicator 2) from the City Biodiversity Index(CBI) to be tailored to Korea. It is calculated by utilizing a biotope map and a land cover map. The ecological network of Gyeryong-Si was 13,713,703(33.8%) with the biotope map and 17,686,966(37.9%) with the land cover map. The result of the biotope map was lower than the land cover map. The ecological network of Goyang-Si was 4,961,922(4.9%) with the biotope map and 4,383,207(3.7%) with the land cover map. The result of the land cover map was lower than the biotope map. As a main result of the research, an error was discovered in which, when calculating the ecological network, the types of the military unit facilities were distinguished into a special area on the biotope map and into an urbanization promotion area and a forest area on the land cover map. In the case of a middle-classified, land cover map, the land use in the surroundings of the forest area was not subdivided. An error in the development area expressed as a forest green was discovered. When selecting the natural elements, too, regarding the types of artificially-created rivers, artificial ponds, and artificial grasslands, etc. on a biotope map, the exclusions were necessary. Regarding the natural, bare ground on a land cover map, there was a need to calculate by including the natural elements. It was judged that, in the future, the ecological network in the unit of the entire nation can be analyzed roughly by utilizing a land cover map. It was judged that, in a city having a biotope map, the calculation of the ecological network utilizing a map of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urban ecology will be a more accurate diagnosis of the present situation.

A base study of an Ecological Mapping technique by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GIS와 RS를 이용한 생태지도 작성기법에 관한 기초연구)

  • Yi, Gi-Chul;Lee, Won-Hwa;Yoon, Hae-Soon;Nam, Chun-Hee;Kim, Gu-Yeon;Kim, Seong-Hwan;Suh, Sa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7 no.3
    • /
    • pp.57-69
    • /
    • 2004
  • This study developed an ecological mapping technique with GIS database using the analyses of existing ecological survey reports and the change detection on the Nakdong river estuary. The data which are used to establish GIS DB include 2 Landsat TM images on Nov. 31, 1984 and May 17, 1997, 1:25,000 topographical maps established by National Geography Institution and various ecological survey reports published by Busan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The details for producing ecological map are as follows. At first, the current methods of ecomapping efforts and previous ecological surveys of Nakdong river estuary were carefully examined. Secondly, the land cover maps were created from the classified Landsat images of 1984 and 1997 for the spatiotemporal ecosystem analysis. Thirdly, the ecosystem was evaluated by using GIS ecological database based on the criteria of botany, zoology and water quality etc. Each criteria was reclassified into 3 stages which describe the overall quality of ecological condition. At last, the comprehensive ecological map was suggested as a prototype of ecosystem assesment and management tool with the discussion of further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be a milestone for preserving and managing the ecosystem.

  • PDF

Exploring the Application of Impact Mitigation Regulations through Biotope Maps (도시생태현황지도를 활용한 침해조정 제도 국내 적용 사례 연구)

  • Choi, Nakhoon;Kil, Jihyon;Shin, Youngkyu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4 no.4
    • /
    • pp.237-244
    • /
    • 2017
  • The Impact Mitigation Regulation was first introduced in Germany with an intention to avoid or reduce the natural ecology and landscape infringement as much as possibl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roject. The system has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efficiently operate the linkage policy of land planning and environment planning to prevent the excessiv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land and to continue to manage it. This study applied the German natural impact mitigation system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it according to the domestic situation with a biotope map of Juam-dong, Gwacheon City, as a case study area. Spatial analysis was conducted of biotope maps, landscape maps, and NDVI maps to suggest a plan to derive and preserve the areas excellent in an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value. It was confirmed the Impact Mitigation Regulation could be used as a policy link of the land-environment policy that minimizes the degree of the damage that cannot help occurring necessarily i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land and to manage that damage from the planning stage.

A Study on Development of Framework data for Biotope Mapping in Incheon (인천지역 비오톱지도 제작을 위한 프레임웍 데이터 구축방안 연구)

  • Choi, Byoung-Gil;Na, Young-Woo;Lee, Hyung-So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49-354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효율적인 비오톱지도 제작 및 환경관리를 위한 프레임웍 데이터의 제작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다. 비오톱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원시데이터를 취합 및 통합과정을 통해 무결점의 프레임웍 데이터를 제작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지역 환경관리를 위한 비오톱지도 제작의 기초데이터인 프레임웍 데이터 제작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비오톱지도는 지표면의 형태와 위치의 기준을 나타내는 지형주제도, 단위비오톱 형상의 기준이 되는 도시주제도, 도시생태현황을 나타내는 도시생태조사도 등을 기반 데이터로 사용하여 제작되어지며, 각 주제도는 다양한 형태의 원시자료로부터 추출 및 가공되어 비오톱지도의 기반데이터로 사용되는데 이 기반데이터가 논리적, 물리적으로 정확하게 제작되어야 정확한 비오톱지도가 제작될 수 있으므로 이를 비오톱 지도 제작을 위한 프레임웍 데이터로 분류하여 본 연구를 통해 구제적인 작성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ECOSYSTEM MAP over North-east Asia using SPOT/VEGETATION 10-day synthesis data (SPOT/VEGETATION 반사도 자료를 이용한 동북아시아의 생태기후지도)

  • Park Youn-Young;Han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214-217
    • /
    • 2006
  • 전 지구영역에 대해 1km 의 해상도로 제공되는 새로운 개념으로 완성된 지표 변수데이터 베이스인 Ecoclimap-1이 소개 된 바 있다. 이것은 기상과 기후의 모델에서 토양과 식물과 대기 사이의 이동 모식을 설명하기 위해 고안 되었으며, 이러한 Ecoclimap-1은 토지피복지도와 기후기도를 중첩하여 얻어진 Ecosystem 지도를 기본 주제도로 사용한다. 하지만 중첩한 결과 같은 class 에 포함되더라도 내부 class 에서의 식생의 시간 변동성은 여전히 높게 나타난다. 이와 달리 Ecoclimap-2는 새로운 방법으로, SPOT/VEGETATION S10 NDVI 자료를 이용하여 토지피복을 보다 동질의 하위 집단으로 분류 한다. 본 연구 에서는 이러한 Ecoclimap-2의 일환으로 동북 아시아 영역의 생태기후지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Ecosystem map 은 앞으로의 기후 모델 연구에 있어 중요한 base map 으로 사용 되어질 것으로 보이며 또한 생태계모델, 기상 모델의 중요한 input 자료로서 쓰여 질 것으로 사료 된다.

  • PD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iotope Map Using 3D GIS (3차원 GIS를 이용한 생태지도의 설계 및 구현)

  • Yang, Su-Yeong;Jung, In-Sung;Song, Gil-Jong;Yoo, Nam-Hyun;Kim, Wo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289-293
    • /
    • 2010
  • 21C 현대 문명사회에서는 도시의 고밀도 및 팽창으로 인하여 도시 내 생태계가 파괴되면서 생물서식처의 환경 악화 및 엄청난 감소가 초래되었으며, 그 결과로 인하여 인간과 생물이 접촉할 수 있는 공간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다. 또한 도시 영역의 확장을 위하여 산림 및 녹지의 감소, 녹지의 분절 및 단절화, 해안 매립 등이 계획 없이 무분별하게 진행됨으로써, 각종 동식물의 개체 수 감소 및 토양의 건조화 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 영향으로 생물종의 다양성이 떨어지고, 도시 생태계의 교란이 심해지고 있다. 이러한 도시 생태계의 교란은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시민들의 생활의 질이 떨어지게 하고 많은 환경 문제들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지속적이면서도 자연친화적인 도시발전을 위해서는 도시 내 자연생태계를 회복하고 생물서식공간을 종합적으로 보전하면서 복원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지만, 이를 체계적으로 이루기 위한 방법론의 부재에 시달리고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유럽을 중심으로 생겨난 비오톱(Biotope)과 비오톱 지도화 방법이 생태계를 보전하며, 시민들에게 다양한 자연체험과 휴양 기회를 제공하고 친환경적인 도시계획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비오톱 지도는 이미지 기반의 2차원 지도로 제공되고 있어, 거리 및 공간 분석에 취약하고 정보전달력이 부족하여, 익숙한 전문가가 아닌 경우 비오톱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간정보가 결여된 2차원 형태의 GIS 데이터를 기반으로 3차원 공간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위성영상과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이용하여 3차원 지형을 만들어 각 주제도별로 입체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동영상 녹화 기능과 3차원 객체 추가 기능을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고려한 도시의 설계를 진행하는 경우 3차원적인 모델링을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이면서도 사용자의 이해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정보 전달력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Habitat Type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n National Parks (국립공원 서식지 유형 분류 체계 구축)

  • Kim, Jeong Eun;Rho, Paik Ho;Lee, Jung Yun;Cho, Hyung Jin;Jin, Seung Nam;Choi, Jin Woo;Myeong, Hyeon Ho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8 no.2
    • /
    • pp.97-111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abitat type classification system and its map based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cies, spatial type, vegetation, topography, and geological conditions preferred by specie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pecies and their habitats in Korean national parks, we prepared a classification standard table for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habitat types. This classification system divides habitats into 6 low-level and 59 mid-level ecological classes based on habitat structure. The mid-level system divided forest ecosystems into 20 subtypes, stream and wetland ecosystems into 8 types, coastal ecosystems into 7 types, arable land into 6 types, development land into 9 types, and 1 type of marine ecosystem. A habitat classification map was drawn utilizing square images, detailed vegetation maps, and forest stand maps, based on the above habitat classification system, and it covered 1,461 plots spanning 21 national parks. The habitat classification system and survey protocol, which consider domestic habitat conditions, should be further developed and applied to habitat assessment, to enhance the utility of this study.

韓國의 都市生態에 關한 硏究

  • Pitts, Forrest R.;Choe, Un-Si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8
    • /
    • pp.24-36
    • /
    • 1973
  • 도시에 관한 제문제를 연구하기 시작한 것은 그다지 오래되지 않다. 더우기 도시생태에 관한 연구는 더욱 그러하다. 이처럼 역사는 짧지만, 도시생태에 관한 연구는 장족의 발전을 이룩해 왔는데 그 원인은 컴퓨터의 개발이다. 컴퓨터는 과거 10년간 사회과학은 물론 자연과학분야에 까지 널리 활용되어 과학발전에 큰 공헌을 하고 있다. 특히 컴퓨터의 자료처리 능력은 우리의 상상을 초월한다. 예를 들면 도시지리에서는 컴퓨터가 자료분석 뿐만아니라, 나타난 결과를 지도화할 수 있는 능력도 가지고 있다. 본 몬문은 서울과 대구 - 대구의 경우 두 종류의 data를 썼다.- 지역을 컴퓨터에 의해서 생태요인을 분석하여 나타난 결과를 지도화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