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기능

Search Result 1,09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Evaluation of the Habitat Suitability of the Hantan Dam Reservoir (한탄강 댐 저수지 생태환경 서식적합도지수 산정)

  • Gang, Hyeong-Sik;Bang, Seok-Bae;Park, Dae-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17-517
    • /
    • 2017
  • 본 연구는 저수지 주변 생태환경 서식적합도지수를 산정하여 댐 건설 전후의 생태환경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생태적 가치에 대한 평가 모델 고려 인자로는 고도, 경사 및 각과 같은 물리적 요인, 산림 지형, 식생 유형, 연령층, DBH 등급과 같은 초목 요인들, 그리고 생태 자연상태, 식생 보존 분류 및 야생 생물 출현 지점과 같은 서식지 요인을 이용하였다. 각 요소의 생태학적 기능을 고려한 평가기준을 정량화하여 개발된 모델은 한탄강 댐 저수지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댐 건설 이전의 생태 가치가 100이라고 가정했을 때, 댐 건설 이후에 물리적 요소는 83.9, 초목요소는 92.4, 그리고 서식처 요소는 84.5로 저하되었다. 전반적인 생태 가치는 건설 후 86.9 %, 13.1 % 감소하였다. 또한, 평가 요소를 쌓은 방법을 통해 생태학적으로 건강한 지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댐 저수지에 생태 복원 계획을 수립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valuating the Criteria and Weight Value for Ecological Network Connectivity of Baekdudaegan Mountain Range on Taebaeksan National Park (태백산국립공원 백두대간 생태축 연결을 위한 평가항목 및 가중치 설정)

  • Shin, Geehoon;Kim, Hye-Ri;Jang, Su-Rim;Kim, Hak-Yoon;Rho, Paikh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3 no.3
    • /
    • pp.292-302
    • /
    • 2019
  • This study conducted a hierarchy analysis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of experts in park management, ecosystem survey, and ecological environment planning to establish evaluation items and a weighing value of each item to develop ecological connectivity in Baekdudaegan mountain range neighboring the Taebaeksan National Park using the AHP approach. We selected four high-level evaluation indexes and 13 low-level evaluation index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with the people in the field and calculated weights for each question through the consistency analysis. The analysis showed that increasing the ecological value was the most important item with the index of 0.474 among the high-level evaluation items, followed by the mitigation of human-nature conflict at 0.247, participation by local residents at 0.165, and the economic perspective at 0.114. Among the low-level evaluation indexes, the movement route of wildlife was the highest at 0.116, followed by the connectivity of landscape ecological patch at 0.112, and functional habitat at 0.099. The comparison of the evaluation items in each working group and the weight factors showed that the movement route of wildlife was the most important at 0.116 in ecosystem survey, the functional habitat was the most important at 0.110 in park management, and the regional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resources was the most important at 0.123 in ecological environment plan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useful to identify evaluation items for developing ecological network with a diverse source of the actual environmental data in the Taebaeksan National Park.

Suggestions for Vitalizing Korean Educational Games Industry Based on Case Study Analysis (국내 교육용 기능성게임 활성화를 위한 해외 사례 연구)

  • Kwon, Jungmi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8 no.6
    • /
    • pp.17-28
    • /
    • 2018
  • Despite the Korean Government's efforts, serious games industry still finds difficult to thriv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ystematically why serious games industry is slow to grow in South Korea and to make future suggestions for policy by studying the case of FCPS program. For future suggestions,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he ecology rather than the games themselves by building more infrastructures, suuporting more software, and considering human factors. Responsible play and digital citizenship must also be emphasized.

A Guideline(Tentative) for Implementation of Riparian Buffer Strips Adapted to the Korean Streams (국내 여건에 맞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가이드라인(안))

  • Chung, Sang-Joon;Woo, Hyo-Seup;Ahn, H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38-1042
    • /
    • 2007
  • 수변완충지대는 수역과 육역의 경계에 위치하면서 하도를 따라 선형으로 길게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공간으로서 토양, 동식물 등 생태시스템을 이루는 자연공간이다. 수변완충지대의 기능은 일반적으로 수질정화, 생태통로 및 서식처, 강턱의 안정, 토양침식 방지, 경관 개선 등이며 하천의 일부로서 사회적 경제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비점오염 저감과 하천 생태서식처 조성분야에서의 적용이 활발히 검토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1980년대 이후부터 수변완충지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환경 생태 치수 측면에서 효율적 조성 및 복원 방법에 관한 연구와 적용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었다. 이 분야에서 기술적 정책적으로 가장 앞선 나라로 평가되고 있는 미국의 경우 정부에서는 농무부(USDA)를 비롯하여 환경처(EPA), 내무부(USDI), 공병단(US ARMY)의 관련 산하기관, 각 주정부의 담당부서에서 수변완충지대의 보전과 조성에 관련된 여러 가지 정책과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들 가이드라인에서는 수변완충지대가 필요로 하는 기능별 최소 폭, 식생 종별 구성, 식생배열 등을 제시하며 그 기준은 조성 목적이나 기능, 대상 지역별로 차이를 보인다. 기능별 최소 폭은 수질정화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4m{\sim}61m$이상, 생태서식처 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는 $30m{\sim}1,000m$ 이상을 권장하고 있다. 식생 종은 수변완충지대 폭을 상 중 하단부로 나누어 초본, 관목, 교목류로 식재하고 강우유출수의 유입부에서 초본을 통한 부유고형물 등을 여과하고, 목본류의 뿌리와 토양을 통해 질소, 인 등 영양물질을 저감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는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실제로 현장에 적용하고 있으며 조성효과가 정성적으로 검증되었고 정량적인 관계 도출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수질개선 및 생태서식처 조성, 하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관련 정책이 꾸준히 제시되고 있다. 한 예로 정부에서는 수변구역을 지정 고시하여 상수원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고 생태서식처를 조성함으로써 양질의 상수원과 건전한 생태계를 확보하기 위한 제도를 시행 중이다. 수변 구역의 범위는 한강수변구역의 경우 약 $500{\sim}1,000m$로 설정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는 관리적 성격이 강하며, 향후에는 구체적인 조성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 수변구역 내에 미국의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수변완충지대의 물리적 조건과 국내 지역 토착식생을 적용하여 시험완충지대를 조성하였고, 실험조건 하에서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 검증한 결과와 외국사례를 분석하여 국내여건에 맞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가이드라인(안)을 제시하였다.

  • PDF

Economic Value E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in Organic Rice-Fish Mixed Farming System in Paddy Wetland (벼-담수어 유기농 복합생태 논습지의 생태계서비스 경제적 가치평가)

  • Nam, Hongshik;Byeon, Youngwoong;Park, Keechoon;Park, Kwanglai;Lee, Youngmi;Han, Eunjung;Kim, Changhyun;Kong, Minjae;Son, Jinkw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2 no.4
    • /
    • pp.286-294
    • /
    • 2020
  • This study aims to economically evaluate rice production and various ecological services provided by organic rice paddy carrying out rice-fish mixed farming. It was also conducted to find a stable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income of rice-producing farmers and promoting ecological services by evaluat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organic rice paddy for rice-fish mixed farm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expected effects by ecological service functions according to the types of agriculture in the rice-fish mixed farming, general conventional paddy fields were evaluated to have an effect of continuously decreasing biodiversity such as amphibian reptiles, aquatic insects, bird habitats, experience and ecological education, and vegetation diversity, while the biodiversity of organic and rice-fish mixed paddy fields was assessed to increase.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economic value, as the area for fish production increases compared to the common practice and organic paddy fields, rice production decreases, but fish production increases and total income was analyzed to increase. In addition, if the value of ecosystem service functions is assessed in the future, it will increase further. It is hoped that these finding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solving oversupply problems in the rice industry, preserving safe farm income, and improving sustainable farming and ecosystem service functions.

Development of Planning Support System Incorporating Ecological Factors in Urban Planning (환경생태요소를 고려한 계획지원시스템 구축)

  • Jung, Seunghyun;Kim, Hyeonsoo;Kim, Yeonmee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1 no.1
    • /
    • pp.75-86
    • /
    • 2013
  • The use of planning support systems in urban planning and management provides objective information that is beneficial in the decision-making stage. The existing planning support system, however, lacks in the consideration of ecological properties. In this study, a planning support system development that is capable of reflecting ecological elements was set as the ultimate goal. This system can support planning processes ranging from ecological potential anaylsis to alternatives designing and stimulation. Additionally, factors such as soil, water, climate, biotope, ecological network and recreation can be handled according to their natural potentials. The establishment and visualization of land use planning that addresses ec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are possible. Therefore, this system could operate as a framework to assist planners and decision makers through a computer-based system to provide useful ecological information and to allow effective decision-making by analyzing, displaying and visualizing ecological spatial data.

A Study on Evaluating Benefits of Constructed Wetland (인공습지 조성에 따른 편익 산정 연구)

  • Jung, Jaewon;Nam, Jisu;Han, Daegun;Kim, Shinhoo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91-91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인공습지는 도시화, 기후변화 및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한 홍수와 가뭄, 하천생태계 변화, 수질오염과 같은 환경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여러 목적과 형태의 인공습지가 조성되고 있다. 인공습지의 경우 특정 기능을 목적으로 하여 조성하더라도 인공적 생태계가 조성되므로 복합적 기능을 갖게 된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인공습지 조성 효과에 관한 연구는 한가지 기능에만 초점을 맞추어서 실제 인공습지 조성의 가치가 저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변 인공습지 조성에 따른 여러 효과 중 가장 주가 되는 홍수저감 및 수질개선 기능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편익을 산정하였다. 먼저 인공습지의 적용 대상 유역을 선정하고 유역 내에 입지를 결정하여 이에 맞는 인공습지를 설계 및 적용하였다. 인공습지 조성에 따른 홍수저감 효과 및 수질개선효과를 각각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대해 MD-FDA를 통해 홍수피해액을 산정하였고 대체비용법을 통하여 동일한 수질개선 효과를 갖는 하수처리시설의 하수처리비 및 운영관리비에 해당하는 수질개선 편익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인공습지의 홍수저감 효과뿐만 아니라 수질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정량적인 분석방법을 통해 두 가지 기능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여 보았다. 또한 산정된 홍수저감 및 수질개선 효과를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여 보다 객관적인 지표로 나타내었다. 본 인공습지 조성에 따른 종합적 편익 산정 연구 결과는 다목적의 인공습지를 적재적소에 적용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추후 생태적 기능, 레크레이션 기능 등에 따른 기타 편익 산정 방법론 조사를 통해 각 기능의 편익을 추가한다면 인공습지 조성에 따른 편익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인공습지 조성의 소요사업비 및 유지관리비를 산정하여 인공습지 조성에 대한 경제성분석을 한다면, 실제 인공습지 조성 사업 시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Preliminary Investigation about the Priority Decision Criteria on Removal of Weirs (보 철거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기초 조사 연구)

  • Rhee Dong Sop;Woo Hyoseop;Ahn Hong Kyu;Kwon Bo 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280-1285
    • /
    • 2005
  • 하천 수위 유지나 용수 취수 목적으로 사용되는 보는 현재 국내에 약 18,000여개 정도가 설치되어 있으며, 대부분 용수 공급 시설로 이용되고 있다. 하천에 보가 축조되면 하천생태통로의 차단, 보 상류부 수질 악화, 수변 생물서식처의 변화, 경관 훼손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극히 일부 보에 생태 통로로서 설치되는 어도 외에는 거의 혀는 실정이다. 최근 농경지 도시화, 경작 방식의 변화, 취수시설물 통폐합, 시설 노후화 등으로 매년 수십 개 이상의 보가 폐기되고 있으나, 폐기된 보는 천거되지 않고 하천에 존치되어 여전히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외국의 경우에도 기능을 상실한 보/소형 댐을 보 철거 의사 결정 과정을 통해서 철거를 결정한 후 철거를 시행하고 있으며, 기 철거 사례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이고 공학적인 보 철거 우선 순위 결정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아직 보 철거를 통한 환경 복원이 일반화 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국내 환경에 적합한 보 철거 의사 결정 과정 마련을 위한 연구 필요성이 같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보 철거를 통한 하천생태통로 복원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보 기능 저하 요인 파악을 위해 각 주요 수계에 설치된 보를 현장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기능이 저하 중인 보로 판단되는 보는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요인별로 대표적인 예를 제시하여 이후 판단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The Functional Selection for the Assessment of Ecosystem Service at Pond Wetland in Agricultural Landscape (농업경관 내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 기능 설정 연구)

  • Son, Jin-Kwan;Shin, Min-Ji;Shin, Ji-Hoon;Kang, Dong-Hyeon;Kang, Bangh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4
    • /
    • pp.319-325
    • /
    • 2014
  • A lot of Pond Wetland (Palustrine Wetland) are distributed in agricultural landscapes, Korea. These wetlands are evaluated as important resources for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However, the study of Pond Wetland is rarely conducted except type classification in Korea. In this study, the function of pond wetland as ecosystem services is studied for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wetland. Research was conducted in three steps; functionality analysis, functionality derivation, and importance analysis. A total of 22 feature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expert survey, 4 features were selected by each in the field of biological, environmental, and socio-culture among the 22 features. Importance was calculated by conducting a cross-functional feature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Finally, 10 ecosystem service functions of pond wetland were derived through expert survey; (1) Water Storage & Irrigation, (2) Vegetation Diversity, (3) Amphibian & Reptile Habitat, (4) Water Purification, (5) Aquatic Insect Habitat, (6) Nutriments Control was derived, (7) Groundwater Recharge, (8) Fishery Habitat, (9) Eco-Experience & Education, and (10) Aesthetic landscap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is able to utilize in evaluation of pond wetlands ecosystem services by further study on analysis of functional importance and economic value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