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체 정보

Search Result 1,71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Research Projects of the Biometrics in Europe (유럽의 생체인식 연구 동향)

  • Chung, Y.W.;Pan, S.B.;Chung, K.I.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7 no.5 s.77
    • /
    • pp.68-78
    • /
    • 2002
  • 21세기를 맞이하면서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인터넷 이용 확산 등으로 사용자 인증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패스워드 또는 PIN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이 현재까지 널리 쓰이고 있으나 타인에게 노출되거나 잊어버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인의 고유한 생체정보를 이용한 주요 정보 보호 및 사용자 인증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연구 활동 중 유럽에서의 생체인식 연구 동향을 소개한다.

ZigBee를 이용한 생체신호 전송 및 관리시스템

  • Kim, Hyun-Gyu;Kim, Hye-Jung;Lee, Se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526-528
    • /
    • 2005
  • 헬스 산업에 대한 요구와 관심이 점차 사회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서비스 모델과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혈당, 심전도와 같은 만성질환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ZigBee기반의 무선모듈을 통해 헬스센터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실내외 환경에서 이용 가능한 생체신호 전송 및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 PDF

An Analysis to security on SmartMobile based u-Healthcare system using by HIGHT (스마트모바일 기반의 u-Health시스템에서 HIGHT를 이용한 보안성 분석)

  • Lee, Jae-Pil;Kim, Young-Hyuk;Lim, Il-Kown;Lee, Jae-Gwang;Lee, Jae-Kwa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2.04a
    • /
    • pp.738-741
    • /
    • 2012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표준 제안한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은 인체 내부 통신(in-body or implant)과, 인체 외부 통신(on-body)통신으로 구분하고 있다. 생체측정 정보 중 체온, 호흡, 맥박, 운동량, 심박의 부분적인 데이터 수집을 바탕으로 환자의 생체정보 데이터를 수합 후 데이터 프레임구조로 변환하여 스마트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환경에서 사용자가 모바일기기 화면에 정보를 표시 할 수 있다. 이렇게 표시된 정보들은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자신의 스마트모바일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보호하고 의료기관에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 국제표준암호알고리즘인 HIGH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생체정보 데이터의 부분 암호화 적용을 설계 하였다. 이를 통해 의료기관의 인증서버에 대한 부하 감소 및 환자의 생체정보의 보안 강화를 제시한다.

Improvement of User Recognition Rate using Multi-modal Biometrics (다중생체인식 기법을 이용한사용자 인식률 향상)

  • Geum, Myung-Hwan;Lee, Kyu-Won;Lee, Bong-Hw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8
    • /
    • pp.1456-1462
    • /
    • 2008
  • In general, it is known a single biometric-based personal authentication has limitation to improve recognition rate due to weakness of individual recognition scheme. The recognition rate of face recognition system can be reduced by environmental factor such as illumination, while speaker verification system does not perform well with added surrounding noise. In this paper, a multi-modal biometric system composed of face and voice recognition system is proposed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individual authentication system. The proposed empirical weight sum rule based on the reliability of the individual authentication system is appli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multi-modal biometrics. Since the proposed system is implemented using JAVA applet with security function, it can be utilized in the field of user authentication on the generic Web.

Proposal of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Using 3D Scanning in Mobile device (모바일 기기에서 3차원 스캐닝 이용한 생체인증방법 제안)

  • Ahn, Ye-Chan;Lee, Keun-Ho;Jeon, You-Boo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7.04a
    • /
    • pp.368-36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구글 탱고 플랫폼을 이용하여 3차원 스캐닝 기법을 이용하여 생체인증에 적용방안을 제시한다. 모바일 기기에서 탱고 플랫폼을 이용하여 얻은 생체정보를 저장시킨다. 생체정보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한 템플릿을 추출한다. 추출된 특징점은 인증서버로 옮겨져 기존에 등록해 놓은 특징점과 비교하고 FIDO 방식을 이용하여 인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Privacy-Preserving Facial Image Authentication Framework for Drones (드론을 위한 암호화된 얼굴 이미지 인증 프레임워크 제안)

  • Hyun-A Noh;Joohee Lee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24.05a
    • /
    • pp.229-230
    • /
    • 2024
  • 최근 드론으로 극한 환경에서 범죄 수배자 및 실종자를 탐색하는 시도가 활발하다. 이때 생체 인증 기술인 얼굴 인증 기술을 사용하면 탐색 효율이 높아지지만, 암호화되지 않은 인증 프로토콜 적용 시 생체 정보 유출의 위험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드론이 수집한 얼굴 이미지 템플릿을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인증할 수 있는 효율적인 생체 인증 프레임워크인 DF-PPHDM(Privacy-Preserving Hamming Distance biometric Matching for Drone-collected Facial images)을 제안한다. 수집된 얼굴 이미지는 암호문 형태로 서버에 전달되며 서버는 기존 등록된 암호화된 템플릿과의 Hamming distance 분석을 통해 검증한다. 제안한 DF-PPHDM을 RaspberryPI 4B 환경에서 직접 실험하여 분석한 결과, 한정된 리소스를 소유한 드론에서 효율적인 구현이 가능하며, 인증 단계에서 7.83~155.03 ㎲ (microseconds)가 소요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더불어 서버는 드론이 전송한 암호문으로부터 생체 정보를 복구할 수 없으므로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향후 DF-PPHDM에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결합하여 자동화 기능을 추가하고 코드 최적화를 통해 성능을 향상시킬 예정이다.

Wearable System for Real-time Monitoring of Multiple Vital Signs (인체 착용형 다중 생체신호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 Lee, Young-Dong;Chung, Wa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5a
    • /
    • pp.249-252
    • /
    • 2008
  • A wearable ubiquitous health care monitoring system using integrated ECG and accelerometersensors based on WSN is designed and developed. Wireless sensor network technology is applied for non intrusive healthcare in some wide area coverage with small battery support for RF transmission. We developed wearable devices which are wearable USN node, sensor board and base-station. Low power operating ECG and accelerometer sensor board was integrated to wearable USN node for user's health monitoring. The wearable ubiquitous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allows physiological data to be transmitted in wireless sensor network from on body wearable sensor devices to a base-station connected to server PC using IEEE 802.15.4. Physiological data displays and stores on server PC continuously.

  • PDF

The Development of Vital Sign Web Viewer Systems using HL7 Protocol (HL7 프로토콜을 이용한 생체정보 웹 뷰어 시스템 개발)

  • Lim, Se-Jung;Kang, Ki-Woong;Seo, Jong-Joo;Kim, Gwang-J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3 no.2
    • /
    • pp.112-117
    • /
    • 2008
  • HL7 is well-Known standard protocol for text data generated in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Vital sign information web viewer systems is also the standard protocol for medical image and transfer. In order to embrace new technologies as telemedicine service, it is important to develope the standard protocol between different systems in the hospital, as well as the communication with external hospital systems. In this paper, we proposed integration method between vital sign web viewr systems and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Through the proper data exchange and modification of information management, HIS will offer better work flow to all hospital employee.

  • PDF

The Development of Vital Sign Web Viewer Systems using HL7 Protocol (HL7 프로토콜을 이용한 생체정보 웹 뷰어 시스템 개발)

  • Lim, Se-Jung;Kang, Ki-Woong;Seo, Jong-Joo;Kim, Gwang-J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2 no.2
    • /
    • pp.123-128
    • /
    • 2007
  • HL7 is well-Known standard protocol for text data generated in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Vital sign information web viewer systems is also the standard protocol for medical image and transfer. In order to embrace new technologies as telemedicine service, it is important to develope the standard protocol between different systems in the hospital, as well as the communication with external hospital systems. In this paper, we proposed integration method between vital sign web viewr systems and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Through the proper data exchange and modification of information management, HIS will offer better workflow to all hospital employee.

  • PDF

Implementation of the Portable Remote Vital Signal Monitoring System for Home Healthcare (홈헬스케어를 위한 휴대형 원격 건강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 Youn, Jeong-Yun;Jung, Hwan;Hwang, Jun-Heum;Jeong, D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759-76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가정 내에서 보다 편리하게 건강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홈헬스케어용 휴대형 건강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 의료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일반인들이 쉽게 측정할 수 있으며, 많은 건강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생체신호인 심전도, 맥파 그리고 체온을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다중생체 계측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생체계측 시스템은 신호검출을 위한 센서부, 각각의 생체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기 위한 아날로그 신호처리부,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처리하고, 시스템 주변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제어부로 구성되었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시스템 자체에서의 생체신호 모니터링뿐만 PC등의 홈서버 상에서 무선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웹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생체신호의 모니터 링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의 성능평가 결과 홈헬스케어를 위한 원격 건강모니터링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