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체 신호

Search Result 1,333,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pplication of Bioelectrical Signals (생체전기신호의 응용)

  • 박광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1 no.4
    • /
    • pp.19-23
    • /
    • 2004
  • 생체에서 발생되는 생체신호는 신호의 발생원에 따라서, 신호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서, 또는 이를 측정하는 센서의 특성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임상적 진료를 위한 의료의 범위를 포함하여 다른 분야에도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는 생체 신호는 전기적인 형태로 측정되는 생체 전기 신호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생체에서 측정되는 전기적인 신호가 어떻게 활용되고 또 활용될 수 있는지 그 응용 범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중략)

Wearable System for Real-time Monitoring of Multiple Vital Signs (인체 착용형 다중 생체신호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 Lee, Young-Dong;Chung, Wa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5a
    • /
    • pp.249-252
    • /
    • 2008
  • A wearable ubiquitous health care monitoring system using integrated ECG and accelerometersensors based on WSN is designed and developed. Wireless sensor network technology is applied for non intrusive healthcare in some wide area coverage with small battery support for RF transmission. We developed wearable devices which are wearable USN node, sensor board and base-station. Low power operating ECG and accelerometer sensor board was integrated to wearable USN node for user's health monitoring. The wearable ubiquitous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allows physiological data to be transmitted in wireless sensor network from on body wearable sensor devices to a base-station connected to server PC using IEEE 802.15.4. Physiological data displays and stores on server PC continuously.

  • PDF

Research on the Analysis System based on the Big Data for Matlab (빅데이터 기반의 생체신호 수집 및 저장소 설계)

  • Joo, Moon-il;Seo, Young-woo;Kim, Hee-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05a
    • /
    • pp.472-474
    • /
    • 2018
  • Recent rapid creation of data has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big data technologies. In particular, with the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s that measure biological signals, a variety of biological signals are growing exponentially. Thus, storage technologies are required to identify and systematically store characteristics of exponential increase in biological signals. In this paper, we will study the storage design that stores the biometric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ometrics and the techniques to collect the biometrics.

  • PDF

A Study of Biosignal Analysis System for Sensibility Evaluation (감성을 평가하기 위한 생체신호 분석 시스템에 관한 연구)

  • Lee, Ji-Hyeoung;Kim, Ky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35-3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일상생활 속에서 무자각적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감성을 평가할 수 있는 임베디드 시스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감성을 일관적이며 신뢰성이 높은 생리적인 방법으로 평가하기 위해 심전도(ECG:Electrocardiogram), 맥파(PPG:Photoplethysmogram)의 두 가지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무선전송(Bluetooth)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노트북PC로 전송하여 분석하였다. 생체신호의 분석방법은 FFT(Fast Fourier Transform)과 전력스펙트럼밀도(Power Spectrum Density)를 이용한 주파수 분석방법으로 두 생체신호의 특정 주파수 대역이 가지는 자율신경계의 활성도의 비율을 분석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또한 보다 빠르고 정확한 감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분석알고리즘의 연산을 최소화 하였으며 그래프를 이용한 분석결과의 시각화를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무자각적인 생체신호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개발한 분석 알고리즘으로 분석한 결과의 차이를 연구하여 정확도 및 신뢰도를 기준으로 감성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 시스템을 평가하였다.

  • PDF

Developement of Bio-Signal Measurement S/W using Skin Image (피부 영상을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 S/W 개발)

  • Park, Jin-Soo;Hong, Kwang-seoc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551-55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촬영한 피부 영상(얼굴, 손 등)을 이용한 생체신호(맥박, 호흡, 혈압, 체온 등) 측정 S/W 기술을 제안한다. 기존의 생체신호 측정 기술은 다양한 센서(PPG, 압력 센서, 혈압계, 체온계 등)가 탑재된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상태를 측정하고 이를 진단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각 각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구비된 측정 장치들을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확인하여야 한다. 제안된 기술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생체신호 측정 S/W의 설치만으로 카메라로 촬영한 피부 영상의 피부 관심 영역에서 계산된 색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생체신호를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생체신호 측정 성능 평가 결과 맥박수 2.63%, 호흡수 5.98%, 이완기 혈압 2.48%, 수축기 혈압 5.23% 및 체온 0.25%의 오차율이 계산되었다.

Context-based user adaptive physiological signal analysis (컨텍스트에 기반한 사용자 적응적 생체 신호 해석 방법)

  • Choi, Ah-Young;Woo, Woon-Tac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606-611
    • /
    • 2007
  • 최근 u-healthcare 서비스 분야에서 단일 시점의 일반화된 치료가 아닌 장시간 개개인의 특성이 반영된 진료와 의료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생체 신호 해석은 임상적인 실험을 통해 얻은 표준화된 임계치를 이용해 분석하는 일관된 판단 방법이 주를 이루었다. 본 논문에서는 미래형 홈 환경에서 사용자에 따라 다른 신호 해석을 지원하는 사용자 적응적 생체 신호 해석 방법을 제안한다. 생체 신호 해석은 사용자의 컨텍스트와 환경 컨텍스트를 통합하는 모듈과, 지식표현 기법을 적용한 개인화된 추론 모듈로 구성된다. 제안된 방법은 사용자 정황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 적응적인 생체 신호 해석을 지원하며, 환경 컨텍스트를 고려하여 환경의 변화에 영향을 최소화하는 생체 신호 해석을 지원한다. 또한 사상의학 이론을 생체신호 해석에 동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한다. 이는 추후 미래형 홈 환경에서 다양한 종류의 센서와 함께 개인화된 맞춤형 재택 건강관리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

  • PDF

Biopotential Signal Measurement, Processing and Analysis (생체전기신호의 측정, 처리 및 해석)

  • 우응제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1 no.4
    • /
    • pp.12-18
    • /
    • 2004
  • 본 글에서는 인체로부터 생체전기신호를 측정하고 처리 및 해석하는 기술을 소개한다. 일반적인 계측 시스템을 구성하는 필수적인 네 가지 요소는 측정대상, 센서부, 신호처리부, 그리고 출력부이다. 생체전기신호의 측정에서 측정대상은 인체를 포함하는 생명체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생명체로부터 떼어 낸 특정 부위가 측정대상이 될 수도 있으나 본 글에서는 살아 있는 인체를 측정대상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또한 인체로부터 방사되는 에너지를 측정하는 비접촉 방식은 다루지 않고, 측정 부위를 인체의 내부 또는 표면으로 제한한다. 즉, 센서를 측정 부위에 직접 부착하는 접촉형 인체-센서 인터페이스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만을 다루기로 한다.(중략)

A Study on Wearable Emergency Medical Alarm System (착용형 응급의료 경보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Kim, Dong-Wan;Beack, Seung-Hwa
    • Journal of IKEEE
    • /
    • v.10 no.1 s.18
    • /
    • pp.55-61
    • /
    • 2006
  • In modern society,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has extended the human life span. However, it has also caused some side-effects. Mostly old people who live alone are not available the medical service quickly when they are in emergency situations. Moreover heart related diseases as well are rapidly increasing with aging. This study proposes the emergency medical alarm system. This system measures the physiological signals such as ECG(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and motion data, analyzes those data automatically, and sends the urgent message to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and to their family. There are two main parts in the system. In the first part, physiological data acquisition part, the troublesome addition and deletion of body signals on existing proposed systems have been supplemented, which led to the modulized production by means of ECG sensor module, temperature sensor module, acceleration sensor module. The other part is mobile unit, which includes signal processing and transmission functions. And bluetooth allows two part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ata that are processed in the mobile unit are stored in the PC database through the WLAN using TCP/IP protocol.

  • PDF

생체 신호 측정

  • 민병구;임덕환
    • 전기의세계
    • /
    • v.31 no.7
    • /
    • pp.472-475
    • /
    • 1982
  • 본고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생체 신호 데이타 수집상의 문제 2. 문제점의 해석 및 해결방법 3. 생체 신호 수집의 실예

  • PDF

A Development of Physio-Module for Echocardiography (심초음파용 생체신호측정모듈의 개발)

  • Jang, Won-Seuk;Kim, Nam-Hyun;Jeon, Dae-Ke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v.47 no.4
    • /
    • pp.21-29
    • /
    • 2010
  •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e the physio-module for echocardiography. This physio-module includes multi-functions such as ECG, respiration, PCG, heart sound, and this is used to diagnose a cardiac disease in using ultrasound images synchronized with biosignals of physio-module. In this paper, the developed physio-module was verified by applying various test patterns considering each biosignal's characteristics and we could get the performance of QRS trigger delay time within international standard, EC-13 criteria. And ECG's change in physio-module and blood flow in M-mode was synchron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