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체역학적 분석

Search Result 15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Intervention based on Biomechanical Frame of Reference for Balance and Manual Function: a Single Subject Research (생체역학 모델을 통한 균형능력과 상지기능의 중재: 단일대상연구)

  • Kim, Tae-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1
    • /
    • pp.231-23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balance and upper extremity (UE) function associated with reaching training for children with quadriplegic cerebral palsy based on Biomechanical Frame of Reference. The baseline (phase A) lasted one week. The therapeutic protocol consisted of three reaching training (Phase B) for 40 minutes three times a week. Intervention phases lasted 4 weeks. The CMS-70P (Zebris Medizintechnik Gmbh, Germany) was used to evaluate the qualitative changes in UE function and Pediathc Berg Balance Scale was used to test the balance. The observed performance changes seem to be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intervention and suggest that biomechanical training can be a useful intervention to improve not only manual function but also balance.

Biomechanical Analysis of Arm Motion during Steering Using Motion Analysis Technique (동작분석기법을 이용한 조향동작에 대한 팔의 생체역학적 특성분석)

  • Kim, Young-Hwan;Tak, Tea-Oh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5 no.11
    • /
    • pp.1391-1398
    • /
    • 2011
  • Biomechanical analysis of arm motion during steering was performed using a motion analysis technique. Three-dimensional position data for each part of arm are fed into an interactive model combining a musculoskeletal arm model and the mechanical steering system to calculate joint angles and torques using inverse kinematic and dynamic analyses, respectively. The analysis shows that elbow pronation/supination, wrist flexion/extension, shoulder adduction/abduction, and shoulder flexion/extension have significant magnitudes. Sensitivity analysis of the arm joint motion with respect to seating posture and steering wheel configuration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ative influence of the seating posture and driver's seat configuration on the steering behavior.

A Study of Portability and Mobility for Infantry Weapon System (보병용 무기체계의 휴대성 및 이동성에 관한 연구)

  • Chung, SungHak;Son, Su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141-14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인력물자취급시 역사적 관점에서 생리학적 연구방법, 생체역학적 연구방법, 인체심리학적 연구방법들을 검토하여 보병용 무기체계의 휴대성 및 이동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휴대성과 이동성 간의 관계를 도식하였다. 단거리의 짧은 기동거리에서는 생체역학적 기준치를, 1-2시간의 중간인 이동에서는 인체심리학적 기준치를, 4시간 혹은 그 이상의 장거리에서는 생리학적 기준치를 적용하여 각각의 가이드라인들을 상호 절충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보병의 물자취급시 4가지 연구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Biomechanical changes on spinal posture under shoulder-bag (숄더백착용에 따른 척추자세의 생체역학적 변화)

  • Park, Yong Hyun;Kim, Young-Kwan;Shin, Jun Ho;Kim, Yoon 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69-270
    • /
    • 2011
  • 숄더백과 백팩을 멜 때의 척추자세의 변화양상이 각각 다름에도 불구하고 백팩에 비해 숄더백을 멜 때의 인체자세 변화에 대한 생체역학적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숄더백을 멜 때 무게증가에 따라 몸통자세의 변화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몸통자세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3차원 동작분석시스템을 사용하였고, 가방무게는 3가지 조건(5, 10, 15 kg)과 통제조건(0 kg)으로 정하였다. 실험 결과 몸통전방기울기와 몸통측방기울기는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요추의 수평면상 축회전이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흉추에서는 무게 증가에 따른 움직임의 변화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숄더백을 멜 때 척추자세 변화가 요추와 흉추에서 다르게 나타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생체정보 분석기술은 일상생활에서의 인체정보 컨텐츠를 축적하는데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 된다.

  • PDF

A New Experimental Method of Mechanical Analysis for Arterial Cross-Section Research (동맥 전단부의 역학적분석을 위한 새로운 실험적 방법)

  • 황민철;신정욱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16 no.2
    • /
    • pp.149-156
    • /
    • 1995
  • This paper suggests a new experimental system and protocol of mechanical analysis for arterial cross-section research. So far, most methods of arterial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the deformation measurement in longitudinal and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deformation in radial direction has been theoretically assumed by Poisson's ratio and/or the incompressibility of arterial wall. Also, the radial gradient of strains are neglected. In fact, the radial deformation and radial gradient of strains against blood pressure are important to be observed in the pathological point of view of artery. Proposed experimental system and protocol are to measure the deformation of cross-sectional artery. Also, this method enables to measure the deformation of anterior, posterior, and side site of cross-sectional area. It is meaningful to correlate the mechanically experimented data with pathological data of athroscIerotic artery.

  • PDF

A Review of biomechanical research for Footwear Outsole Stud development in Soccer (축구화 겉창 스터드 개발에 있어서 생체역학적 연구의 고찰)

  • Park, Seung-Bum;Seo, Kuk-Woong;Kim, Yong-Jae;Lee, Joong-Sook
    • Korean Journal of Applied Biomechanics
    • /
    • v.13 no.1
    • /
    • pp.205-221
    • /
    • 2003
  • 본 연구는 축구화 겉창의 스터드개발시 운동역학적 연구가 스터드개발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었는가를 국외 선행연구문헌을 고찰함으로서 그 과정을 발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지난 70년간 축구화 스터드가 연구개발되는 과정에서 압력분포측정 실험 및 기타 상해유발요인을 분석함으로서 스터드의 형태을 변화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축구장 바닥과 축구화 겉창과의 마찰력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징이 선수들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순발력을 향상시켜 경기력 향상에 결정적인 도움을 준 것이다. 이후 징박힌 축구화가 보편화하면서 선수들은 공격수냐 수비수냐 또는 잔디 상태에 따라 징의 개수와 길이가 다른 축구화를 신게 되었는데, 그라운드 컨디션에 따라 신발이 개발되었다. 축구화는 징의 종류에 따라 길고 푹신한 잔디($5{\sim}7$월 잔디)에 신는 50(soft ground)형, 짧고 단단한 잔디(가을철 잔디)에 적합한 FG(firm ground)형, 인조잔디나 아주 짧은 잔디에 좋은 터프(Turf)형, 맨땅에 쓰는 HG(hard ground)형으로 대별되는데, SG형은 15mm가 넘는 마그네슘 징을 6개 박는데 순발력과 파워를 극대화하기 때문에 수비수에 어울리는 스타일이다. 짧은 플리우레탄 징 12개를 다는 FG형은 넓은 그라운드 접촉면을 이루면서도 잔디에 깊게 박히지 않아 유연성을 필요로 하는 공격수와 미드필더들에게 애용된다. 그라운드 상황이 좋지 않은 곳에서 뛰는 국내 고교, 대학 선수들은 12개의 징이 달린 축구화를 선호한다. 스터드가 많을 수록 그라운드에 닿는 면적이 넓어 안정감도 있고 발목이 꺾이는 현상을 줄여주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연구현황은 압력분포 및 지면반력실험을 이용한 결과치를 이용하여 새로운 타입의 축구화 스터드의 개발결과를 기존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상해유발발생요인이 적은 스타일의 스터드를 선호하였다. 이에 향후 연구개발시 운동역학적 연구의 디자인 시 상해유발요인분석과 운동역학적 연구결과의 조합을 결과를 비교분석해서 국내에서도 축구화 겉창 스터드 연구개발시 경기력을 향상시키고, 상해유발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연구디자인이 지속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Embodiment of living body measure system modeling for Rehalibitation treatment of positive simulation for HRV algorithm analysis interface of Mobile base (모바일 기반의 HRV 알고리즘 분석 인터페이스에 대한 실증적 시뮬레이션의 재활치료용 생체계측 시스템 모델링의 구현)

  • Kim, Whi-Young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7 no.4
    • /
    • pp.437-446
    • /
    • 2006
  • Mobilecomputer offers more fundamental role than role assistance enemy of modern technology equipment and new Information <중략> These main weakness puts in structural relation between elements that compose system. Therefore, dynamics research that time urea of systematic adjustment has selected method code Tuesday nerve dynamics enemy who groping of approach that become analysis point is proper and do with recycling bioelectricity signal. Nature model of do living body signal digital analysis chapter as research result could be developed and scientific foundation groping could apply HSS (Hardware-software system) by rehalibitation purpose. Special quality that is done radish form Tuesday of bioelectricity signal formation furthermore studied, and by the result, fundamental process of bodysignal in do structure circuit form of analog - digital water supply height modelling do can.

  • PDF

Biomechanical Analysis of Human Foot Joints by Using Computer Graphic-Based Model (컴퓨터 그래픽 모델을 이용한 족부 관절의 생체역학적 해석)

  • Seo Min Jwa;Kim Si Yeol;Cho Won Hak;Choi Hyeon-Chang;Choi Hyeonki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4 no.6 s.81
    • /
    • pp.495-50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study the kinematics of joints between the foot segments based on computer graphic model during the stance? phase of walking. In the model, all joints were assumed to act as monocentric. single degree of freedom hinge joints. The motion of foot was captured by a video collection system using four cameras. The model fitted in an individual subject was simulated with this motion data. The range of motion of the first tarsometatarsal joint was $-8^{\circ}\;\~\;-13^{\circ}$, and the first metatarsophanlangeal joint was $-13^{\circ}\;\~\;-48^{\circ}$. The kinematic data of tarsometatarsal joint and metatarsophanlangeal joint were similar to the previous data. Therefore, our method based on the graphical computer model is considered use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