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의학적 응용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수확시기별 조생온주밀감의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arly Cultivar of Satsuma mandarin Sampled at Different Harvested Dates in Cheju)

  • 양상호;양영택;좌창숙;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2호
    • /
    • pp.141-146
    • /
    • 1998
  • 조생온주의 적정 수확시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선과장에서 수집한 시료와 감귤나무에서 시기별로 직접 수확한 시료의 이화학적 품질을 분석하였다. 궁천조생과 흥진조생 모두 10월 중순까지 감귤의 비대가 계속 일어났으며, 이후에도 당도는 계속하여 증가하였다. 나무에 달려 있는 위치에 따라서도 감귤의 크기가 다른 경향을 보였으며, 남쪽 방향의 중간 위치에 달려 있는 감귤이 품질면에서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귤의 품질에 관여하는 가용성고형물, 경도, 총당, pH, 착색도 등을 종합적으로 볼 때 흥진조생의 경우 11월 하순에, 그리고 궁천조생의 경우 12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이 품질면에서 좋을 것으로 보였다. 선과장에서 수집한 시료는 농가에서 관행수확시에 수확한 다음 상온저장 후에 시기별로 출하하기 때문에 정확한 수확시기를 결정하는데는 미흡한 것으로 여겨졌다.

  • PDF

국내산 자두 주요 품종의 일반성분 및 이화학적 성분 특성 (Approximate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lum (Prunus Salicina))

  • 성윤정;김영찬;김미연;이주백;정신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3호
    • /
    • pp.134-137
    • /
    • 2002
  • 자두 후무사(포마사)와 대석조생 품종의 일반성분 및 이화학적 성분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으로 후무사와 대석조생의 조지방과 가용성무질소물은 약간의 차이가 있었고 수분, 조단백, 조섬유와 조회분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식이섬유의 함량은 품종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가용성과 불용성 식이섬유의 비율이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두의 무기질 총 함량은 후무사가 30 mg%, 대석조생이 17.99 mg%로 후무사가 조금 많았고, 주된 무기질은 황(5), 칼륨(K), 마그네슘(Mg) 순이었다. 유리당 중 후무사는 fructose의 함량이 높았고, 대석조생이 sucr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유기산의 총함량은 대석조생이 높았으며, 과육에 있어서 주된 유기산은 malic acid였고, 과피에 있어서는 후무사는 citric acid, 대석조생종은 malic acid가 주된 유기산이었다. 유리아미노산은 두 품종 모두, glutamic acid, alanine, ${\gamma}-aminoisobutyric$ acid, serine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두 품종이 비슷하였다.

PEG 스페이서를 통해 Homing 펩타이드를 고정화한 산화철 나노입자의 제조 및 생의학적 응용 (Synthesis of Homing Peptide-Immobilized Magnetite Nanoparticles through PEG Spacer and Their Biomedical Applications)

  • 이상민;싱즐차이;신용석;구태형;이병헌;허만우;강인규
    • 폴리머
    • /
    • 제36권5호
    • /
    • pp.586-592
    • /
    • 2012
  • 산화철($Fe_3O_4$은 세포에 의해 섭취된 후 대사반응에 의해 분비되므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산화철 나노입자는 MRI 촬영을 하기에 앞서 조영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상의 공침법으로 산화철 나노입자를 합성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스페이서로 하여 혈관내피세포 및 방광암 세포막의 IL-4 리셉터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homing 펩타이드(AP)를 고정화하였다. AP를 고정화한 산화철 나노입자의 크기는 수용액 상에서 약 39 nm이었다. 섬유아세포 및 방광암세포를 이용하여 AP고정화 산화철 나노입자의 uptake를 조사한 결과 섬유아세포에는 선택적 uptake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방광암세포에는 선택적으로 uptake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AP 고정화 산화철 나노입자는 조기 암진단용 조영제로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백서 두개골 결손부의 치유과정에 alendronate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lendronate on Healing of the Calvarial Defect in Rats)

  • 김재형;이재목;박진우;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4권4호
    • /
    • pp.733-746
    • /
    • 2004
  • Bisphosphonates는 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를 방지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임상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그 중 Alendronate는 Aminobisphosphonates의 한 종류로 non-aminobisphosphonates인 etidronate보다 100-1000배 더 강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의 목적은 백서두개골 결손부의 골재생을 실험모델로 하여 alendronate의 국소투여 효과를 알아보는 것으로 액체의 흡수성과 골전도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collagen membrane을 사용하여 결손부 양측에 alendronate와 physiologic saline을 각각 적용하여 1주, 2주, 4주의 조직학적 치유양상, 파골세포활성도, 경도를 평가하였다. 조직학적 치유양상은 1주째 collagen membrane에 의한 염증성 침윤이 나타났으며 2주째부터 골성회복이 관찰되었고 4주째 완전한 골성회복을 보여 각주별 실험군, 대조군 공히 유사한 양상을 보였고 실험에 사용한 $200{\mu}g$의 용량은 조직학적으로 관찰할만한 골재생의 향상을 위해서는 부족한 용량으로 사료되는 바이다. TRAP(+) cell은 1주째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적은 수를 보였으며(p<0.01) 2주와 4주째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경도측정에서는 2주째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경도를 보였으며 4주째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이상의 실험에서 alendronate는 골조직 치유과정의 초기에 파골세포의 활성도와 경도에 다소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골조직 재생을 위한 임상적용에 응용을 위해서는 치유과정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Serratia marcescens 균주로부터 추출한 Prodigiosin의 흡수분광학적 연구 (Absorption Spectroscopic Studies of Prodigiosin Extracted from Serratia Marcescens Strain)

  • 박희억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55-361
    • /
    • 2019
  • Serratia marcescens 2354(ATCC 25419) 균주로부터 추출한 붉은 색소는 prodigiosin (PG)이었고, 이를 methanol에 녹여 자외선 및 가시광선 흡수 스펙트라를 측정한 결과 537 nm의 최대흡수파장 (${\lambda}_{max}$)을 갖는 산성용액에서의 전형적인 PG의 흡수 스펙트라이었다. 또한 methanol 용액에서 PG의 농도를 $1.0{\times}10-5M$에서 $9.0{\times}10-5M$로 증가시키면, 537 nm의 흡수강도는 증가하고 467 nm의 흡수강도는 감소하였으며, 500 nm에서 isosbestic point가 관측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537 nm와 467 nm가 각각 산과 염기용액에서의 PG 흡수대이고, 500 nm의 isosbestic point 등을 고려하면 가역적 산-염기 평형반응에 의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한편 pH, 4.75의 acetic acid 완충용액에서 PG의 농도를 $6.0{\times}10^{-4}M$에서 $1.0{\times}10^{-4}M$로 감소시키면 500 nm에서 ${\lambda}_{max}$를 가지는 새로운 흡수대가 나타난다. 이 흡수대는 pH 4.75의 수용액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같은 pH의 순수한 methanol 용액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PG 분자가 $H_2O$에 의해 ${\alpha}$-이성질체에서 ${\beta}$-이성질체로의 전환에 기인하는 것이다. 즉 PG의 색변화는 용액의 농도 및 용매의 특성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서 나타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개념분석 (Conceptual analysis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in simulation-based practical training)

  • 이초원;김은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176-119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서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명확한 개념의 속성을 규명하고 이를 조직화하여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Walker And Avant의 개념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KISS, KMbase, DBpia, RISS, PubMed, CINAHL, Medline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보건의료인 교육을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권고된 시점인 2000년부터 2023년 4월까지 보고된 논문을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임상수행능력의 속성은 (1) 지식, 판단, 기술의 종합적인 능력, (2) 의료 환경 변화에 능숙히 대처하는 능력, (3) 간호 대상자의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간호 역할을 수행하는 능력이다.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서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상황에서 간호학적 관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개념분석을 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서 임상수행능력 속성을 포함한 훈련 프로그램 및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