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육분포

Search Result 902,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Factors Limiting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Deep-Water Asian Eelgrass, Zostera asiatica on th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동해 연안 왕거머리말의 수직분포 제한 요인)

  • KIM, JONG-HYEOB;KIM, HYEGWANG;KIM, SEUNG HYEON;KIM, YOUNG KYUN;LEE, KUN-SEOP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5 no.4
    • /
    • pp.117-131
    • /
    • 2020
  • Although most species in genus Zostera inhabit shallow coastal areas and bays with weak wave energy, the Asian eelgrass, Zostera asiatica is distributed in deep water depth (8-15 m) unlike other seagrasses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To examine factors limiting distribution Z. asiatica in relatively deep coastal areas, a transplant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October 2011, in which Z. asiatica shoots were transplanted from the reference site (donor meadow, ~9 m) to the shallow transplant site (~3 m). We compared shoot density, morphology, and productivity of Z. asiatica as well as environmental factors (underwater irradiance, water temperature, and nutrients) between the reference and transplant sites from October 2011 to September 2012. Shoot density and shoot height of transplants dramatically decreased within a few months after transplantation, but were similar with Z. asiatica in the reference site during spring. Shoot productiv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ransplant site than in reference site because of high light availability and nutrient concentrations. Transplants showed photoacclimatory responses such as higher rETRmax and Ek and lower photosynthetic efficiency in the transplant site than those in the reference site. Most of Z. asiatica transplant in the shallow transplant site disappeared in summer, which may be due to the high wave energy and physical damages induced by typhoons (TEMBIN and SANBA) in August and September 201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Z. asiatica could not survive in shallow areas despite of more favorable light and nutrient conditions. Thus, Z. asiatica may restrictively occur in deep areas to avoid the intense physical stresses in the shallow area on the east coast of Korea.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f Elaeagnus Plants in Korea (한국산 보리수나무속 식물의 분포 및 생육지 토양 특성)

  • You, Young-Han;Kim, Kyung-Bum;An, Chung-Sun;Kim, Joon-Ho;Song, Seung-Dal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17 no.2
    • /
    • pp.159-170
    • /
    • 1994
  •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f Korean Elaeagnus plants were investigated by literatures, field survey and soil analysis. Deciduous E. umbellata was distributed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western and southern islands. Distribution area of evergreen Elaeagnus plants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E. macrophylla and E. glabra belonged to group l occurring in the southern, western and eastern islands; E. submacrophylla to group 2 occurring in the southern and western islands; E. maritima and E. ankaii to group 3 in the southern islands only. Deciduous E. umbellata appeared euryeciously from poor soil to rich one, whereas evergreen Elaegnus plants appeared stenoeciously in haline soil near coast.

  • PDF

The Distribution Interpretation of Temperature, Humidity and PPFD in Hybrid Plant Factory According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태양광병용형 식물공장의 온.습도 및 조도 분포 해석)

  • Kwon, Sook-Youn;Lim,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b
    • /
    • pp.704-707
    • /
    • 2011
  • 본 논문은 ZigBee 기반의 통합센서 네트워크 구축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을 통해 계절과 시각, 그리고 천기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태양광의 광합성유효광량자속밀도를 태양광병용형 식물공장 내부의 각 영역별로 측정 및 분석하고자 한다. 통합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는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적정 태양광 에너지가 유입되는 시간대와 보광을 필요로 하는 시간대 및 그 양을 파악하는데 활용되며, 이를 통해 조명 및 냉난방 기기를 지능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전체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고자 한다.

  • PDF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Pattern of Eupatorium rugosum at Mt. Namsan in Seoul (서양등골나물의 생육특성과 남산에서의 분포)

  • 서민환;길지현;김기대;이유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0 no.4
    • /
    • pp.285-291
    • /
    • 1997
  • The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Eupatorium rugosum were reviewed and growth responses under different light intensities were investigated. Changes of soil and vegetation environments at experimental plots on Mt. Namsan were surveyed and the distribution pattern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E. rugosum was closely related to the content of total nitrogen and available phosphorus in the soil. No competitors which could inhibit the growth of E. rugosum were present. Growth of E. rugosum was highest at a light intensity of 7, 500 lux, but dry weight was highest at a light intensity of 15, 000 lux followed by 30, 000 and 7, 500 lux. Growth in height of E. rugosum under a light intensity of 1, 500 lux continued even though the amount of growth was small. E. rugosum is found throughout the area of Mt. Namsan, and its density is higher at the roadside and in valley regions. E. rugosum appeared at 25 of 50 quadrats on Mt. Namsan, and the mean coverage of E. rugosum in survey quadrats was 12%.

  • PDF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의 초기 생장에 미치는 온도와 광주기의 영향

  • 김남길;박창현;김은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25-226
    • /
    • 2000
  • 갈조 모자반속 식물의 괭생이모자반은 1년생으로 조하대에 생육하는 해중림 구성 해조로서 울릉도와 제주도를 포함 우리나라 동ㆍ남ㆍ서해에 널리 분포하는 종이다(Kang, 1966). 이종의 생활사에 관하여는 Uchida(1993)가 실내배양을 통하여 밝힌 바 있으며, Okuda(1987)에 의해 자웅동주개체와 가을철의 성숙에 관한 생리. 생태가 밝혀졌으며, 실내배양을 통하여 가을에 성숙하는 조체의 난방출, 배발생 및 광합성속도의 계절변화가 밝혀졌고(Honda와 Okida, 1989), 곡구ㆍ산전(1988)에 의해서 마츠시마만에서의 괭생이모자반 군락의 주년변화와 생산력에 관한 생태가 밝혀지는 등 특히 이종을 식용으로 하는 일본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중략)

  • PDF

Effects of air current speed on the growth of plug seedlings under artificial light (기류속도가 인공광하의 플러그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

  • 김용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7.05a
    • /
    • pp.74-79
    • /
    • 1997
  • 플러그묘의 생육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플러그묘 개체군(이하 '묘개체군' 이라 칭함) 내외에서의 미기상 요소는 기류속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인공광을 이용한 반폐쇄생태계에서 품질이 균일한 플러그묘 생산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실험을 수행한 금과 고재$^{(1)~(4)}$ , Kim등$^{(5)}$ 은 최근들어 플러그묘 생산용 풍동 설계 및 공기역학적 특성의 구명, 기류속도가 묘개체군내외에서 기온ㆍ상대습도ㆍ포차ㆍ$CO_2$ 농도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 묘개체군의 순광합성 속도 측정 등에 관한 연구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중략)

  • PDF

한국 화전농업의 발달과 산지촌락의 형성

  • 옥한석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17-22
    • /
    • 2002
  • 이 연구는 한국 화전농업의 역사와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화전의 분포와 그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오대산 부근 지역을 선정하여 화전과 관련한 산지 개간과 촌락의 형성 과정을 야외 조사를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의 화전은 오랜 역사를 갖고 있으며 산림 감독이 소홀한 조선 후기에 와서 화전 면적이 급증, 일제시대에는 최전성기를 보여주었다. 오대산의 깊숙한 고산간지에까지 개척이 이루어진 것은 일제 초의 토지조사사업과 신품종 등 농업기술의 발달에 연유하였다. 일제강점기 초 평지농토에서 쫓겨난 수많은 농민들은 화전으로 농토를 개척할 수 있는 산림지로 이동하였고, 고산간지에서도 생육이 가능한 새로운 품종이나 기술이 보급된 덕분이었다. 이들에 의해 개척된 촌락은 대개 3~4대 정도의 역사를 갖는 씨족이 최고이며 조부대에 이주해온 씨족이 대부분이다. 즉 고산지에서의 산지 개척의 역사가 100년 정도에 불과하다. (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

  • PDF

Growth Feasibility of Loblolly Pine, Pinus taeda L. in Korea (한국(韓國)에서 테-다 소나무의 생육가능성(生育可能性))

  • Noh, Eui Rae;Choi, Jung S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8 no.1
    • /
    • pp.23-33
    • /
    • 1973
  • The survivals of loblolly pine, Pinus taeda L. was gradually increased from southeast to northwest in the species range and the provenances from southeast of the species range showed fast growth rate. It is suggested that the loblolly pine from Arkansas and Texas will be good for inland of Korea, and the trees from Maryland and North Carolina Piedmont will be suitable for the west coastal and east coastal region of Korea, and trees from North Carolina Coastal Plain will be promising one for south coastal region of Korea.

  • PDF

Experimental Research for the Utilization of Alluvial Soil in Main Stream and Tributaries (퇴적토 자원화 재활용을 위한 실험 연구)

  • 현재혁;백정선;김민길;조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06a
    • /
    • pp.12-16
    • /
    • 1998
  • 최적 위치별 퇴적토에 대한 토양 특성 및 수목 식재용 유기토양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 각 시료의 수분, 유기물 함량 등에 따른 적절한 혼합을 통하여 식물 발아 성장의 최적화를 온실에서의 식물재배 실험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한다. 또한 식재용 토양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본 물성 및 유해성 평가를 하여 중금속이 식물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려하여 재활용 여부를 알아보았다. 퇴적토를 이용한 식물의 발아 및 생장 실험은 원퇴적토와 모래와의 혼합비를 달리하고 다른 불순물이 함유되지 않도록 하여 발아일수와 발아적온, 생육적온 등 최적 조건을 팬지와 금잔화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