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식지식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초

대학생을 위한 융복합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성 지식, 성 태도 및 생식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vergent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on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 최원재;박준혁;이승원;임종은;정현철;임영숙;한숙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45-15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성 지식, 성 태도,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융복합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108명의 대학생이(평균연령 20.84세) 생식건강증진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은 2016년 11월 9일부터 12월 7일까지 4주간 주 2회, 110분 동안 진행되었고 설문지를 통해 성 지식, 성 태도, 생식건강증진행위를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성 태도는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진행한 뒤 유의하게 더 향상되었고 성 지식과 생식건강증진행위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p<0.05) 성 지식과 생식건강증진행위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성 태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고 성 지식과 생식건강증진행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추후 대학생들의 생식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대학생의 성지식 및 성태도와 생식건강 증진 행위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sexual knowledge or sexual attitudes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 구상미;김형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1-1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지식 및 성태도와 생식건강 증진 행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성지식가 생식건강 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생 357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성 지식, 성 태도 및 생식건강 증진 행위를 측정하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성지식은 생식건강 증진 행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성태도와 생식건강 증진 행위 간에는 어떠한 관계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성지식은 생식건강 증진 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12.0%를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건전한 생식건강 증진 행위의 실천을 높이기 위해 대학교육과정을 통한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생식건강 증진 행위의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결혼 이주여성의 월경 지식, 월경 태도 및 피임 지식 (The Knowledge of Menstruation, Attitude for Menstruation, and Knowledge of Contraception for Immigrant Women in International Marriages)

  • 김혜자;심미정;오효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5호
    • /
    • pp.307-314
    • /
    • 2012
  • 본 연구는 결혼 이주여성의 생식건강 측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월경지식, 월경태도 및 피임지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결혼 이주여성 12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개별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27.8세, 배우자는 41.4세이며, 필리핀 국적이 가장 많았으며, 현재 생활에서 의사소통 문제의 어려움을 가장 많이 호소하였다. 여성생식건강과 관련된 월경지식은 7점 만점에 4.0점, 월경태도는 25점 만점에 18.5점, 그리고 피임지식은 10점 만점에 4.5점의 평균점수를 나타냈다. 월경지식은 국적, 현재 가장 어려운 점, 현재 생활의 만족도, 지각된 건강상태, 월경주기, 원하는 아이 수, 피임정보원 여부, 출산력에 따라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월경태도는 연령, 국적, 지각된 건강상태, 원하는 아이 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피임지식은 교육정도, 국적, 월경통 여부와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변수들 간의 관계에서는 월경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피임지식이 낮은 것으로 나왔다. 따라서 결혼 이주여성의 산과적 건강 측면을 고려한 다차원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결혼 이주여성의 건강을 향상시키고 바람직한 가족계획을 할 수 있도록 중재가 필요하다.

일 대학의 남녀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Male and Female Uundergraduate Students of One University)

  • 김묘성;어용숙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1권2호
    • /
    • pp.140-147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RHPB) and related variables among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August, 2014 from 528 students.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intercourse experience wa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verage item scores of the RHPB were 2.99 in male and 3.04 in female students. The related factors of RHPB were major, onset of first intercourse experience, and reproductive health knowledge in male students. Numbers of sexual partner, onset of first intercourse experience, reproductive health knowledge in female students were related to RHPB.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HPB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manage the reproductive health of undergraduate students.

고등학생들의 성의식, 생식건강지식, 성 관련 경험에 대한 상관관계연구 (Relationship among Sexual Consciousness, Reproductive Health Knowledge and Sexual Experience in High School Students)

  • 조미옥;김증임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9-65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ook at the relationship among sexual consciousness, reproductive health knowledge and sexual experience. Method: the subjects were 276 high school students in 4 high schools in Gyonggi Province and Chungnam Provinc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ugust 1 to September 10, 2003. Result: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is 16.5 years old, composed of male students, 154 persons(55.8%), and female students, 122 persons(44.2%). The mean scores of sexual consciousness, reproductive health knowledge and the mean level of sexual experience are 28.9, 10.5, and 1.7 respectivel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ual consciousness and sexual experience by sex (t=-3.22, p<.001; t=8.17, p<.001), the male students have more sexual experience than the female students, while the girls have a higher sexual consciousness than boys. Sexual consciousness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reproductive health knowledge and sexual experiences(r=-0.13, p=0.04;r=-0.17, p=0.01). Sexual experience has a positive relationship to reproductive health knowledge(r=0.21, p<.001). Conclusion: We can conclude that sexual consciousness and reproductive health knowledge are weakly related to sexual experience. In addition we suggest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to enhance sexual consciousness for high school students considering sexual differences.

  • PDF

기혼여성의 가족가치관, 생식건강지식이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Do family values and reproductive health knowledge influence reproductive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married women? A cross-sectional survey)

  • 윤선정;김혜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86-295
    • /
    • 2022
  • Purpose: Based o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framework on reproductive health,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reproductive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married women, with a focus on family values and reproductive health knowledge.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on 170 married women between the ages of 25 and 49 years living in Daegu, Korea. The general and reproductive health characteristics, family values, and reproductive health knowledge of married women were identified, as well as factors affecting reproductive health-promoting behavio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various factors on reproductive health-promoting behaviors. Results: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n for family values (r=.78, p<.001) and reproductive health knowledge (r=.55, p<.001). Family values (β=.35, p<.001) and reproductive health knowledge (β=.24, p<.001) were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reproductive health-promot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regression model, the explanatory power of factors affecting reproductive health-promoting behaviors among married women was 51.2%. Conclusion: A history of reproductive diseases, family values, and reproductive health knowledge were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reproductive health-promoting behaviors. These results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reproductive health-promoting program, including a positive approach to reproductive health among married women, and will serve as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on intervention strategies.

여대생의 성지식, 성행동, 자기효능감이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xual Knowledge, Sexual Behavior and Self-efficacy on their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Female College Students)

  • 김보경;성미혜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3권1호
    • /
    • pp.18-25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which effect to female college student'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female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correlational study and subjects were 127 female college students from two colleges in B metropolitan city. Th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June 1, 2016 to June 30, 2016.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aires of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exual knowledge, sexual behavior, and self-efficacy(KGSE). Results: The subjects'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differed according to the grade, major, smoking, and experience of weight loss of more than 10 kg within the last 3 months. The subjects'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xual knowledge (r=.39, p<.001) and self-efficacy (r=.34, p<.001),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xual behavior (r=-.23, p=.011). Sexual knowledge and sexual behavior were influencing factors on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accounting for 23.0%.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sexual knowledge and sexual behavior were factors affecting female college students'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as sexual knowledge.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성지식과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about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on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from Korea)

  • 신경림;박효정;홍정민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48-456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about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on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sample included 79 students of all grades from 3 universitie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8th to 11th of January, 2008 b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al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2.0 program. Results: The students' scores on sexual knowledge increased, and attitudes toward sexuality changed at the comple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 The program was especially effective in 'physiology', 'contraception and abortion' and 'venereal disease and AIDS' among sexual knowledge, and in 'intercourse' and 'sexual morality' among sexual attitud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n educational program about reproductive health increases sexual knowledge and changes the sexual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생식과 발생 단원에서 교사가 요구하는 이해와 학생이 인식하는 이해 측면 분석 (An Analysis of Understanding Aspects Required by Teachers and Perceived by Students in the 'Reproduction and Genesis' unit)

  • 김명희;추초원;김영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00-608
    • /
    • 2011
  • 이 연구는 중학교 생식과 발생 단원에서 수업 중 교사가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이해와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인식하는 이해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업 중 학생들에게 하는 질문, 과제 또는 학생 활동을 8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예비 조사하여 Wiggins & McTighe(1998; 2004)가 제시한 이해의 여섯 가지 측면을 토대로 36문항의 선택형 설문을 개발하였다. 이를 90명의 교사와 37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요구하는 이해의 측면은 설명 항목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해석, 적용, 관점, 공감, 자기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인식하는 이해의 측면은 설명 항목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해석, 관점, 적용, 공감, 자기지식 순으로 나타나, 적용이 관점보다 많았던 교사의 경우와 차이를 보였다. 이해의 각 측면에 대한 교사의 성별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생의 경우 설명과 적용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민감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와 학생 두 집단 간 이해의 측면을 비교한 결과, 설명, 적용, 공감에서 교사가 요구하는 이해와 학생들이 인식하는 이해에 차이를 보였다(p<0.05). 반면, 해석, 관점, 자기지식에서는 교사가 요구하는 이해대로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교과의 진정한 이해를 기반한 학습자의 전인적 성장에 있다(강현석, 유제순, 2010). 따라서 교사는 자신이 가르치는 교과 내용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토대로 학생들의 이해에 대한 인식을 고려하여 여섯 가지 이해의 측면이 고르게 반영되도록 학습내용을 다양하게 제시함으로써 진정한 이해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임상수의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호르몬제재에 대하여

  • 류일선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38권7호
    • /
    • pp.612-619
    • /
    • 2002
  • 최근 가축을 사육하고 있는 현장에서 번식장애 즉 불임증을 호소하는 농가들이 예전에 비해 부쩍 늘어가고 있는 추세에 발맞추어 임상수의사들이나, 인공수정업무를 행하고 있는 인공수정사, 사육농가들이 번식장애를 예방 또는 치료의 목적으로 호르몬 제재를 사용하거나 번식효율을 제고하고 저 이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허다하게 볼 수가 있다. 허나, 이러한 호르몬 제재들의 그 유효성분, 적용 축종, 투여방법, 안전성 및 부작용 등을 정확하게 숙지한 상황에서 사용하지 않으면 오히려 호르몬 제재의 오, 남용으로 인한 번식장애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필자 역시 전국각지에서 가축들을 사육하고 있는 농가들이 방문 내지는 인터넷, 전화 등의 유선통신로부터 많은 질문을 받아온 결과 상당히 많은 분들이 정확한 진단이나 지식이 없이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는 실태를 보고 경악을 금치 못했던 기억을 새삼 떠올려짐을 어찌할수 없음을 밝혀둔다. 따라서 우리 임상전문수의사들의 생식기검사가 이뤄진 후 정확한 진단하에서 사용되고 있는 호르몬 제재는 기술(旣述)한 바와 같이 별반 문제점이 발생할 소지가 적으나, 이외의 비전문가들이 사용하는 경우는 오히려 호르몬제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다도 나쁜 악영향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이에 우리임상전문수의사 뿐만 아니라 수의관계업무에 관련하는 모든분들에게도 최근 호르몬 및 그 제재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숙지하여 나갈 필요성을 절감하여 이에 대해 상세한 고찰을 하여 나갈까 한다. 이 글을 읽어보는 수의사들에게 조그마한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피력하고 싶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