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산적 효율성

Search Result 3,177,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Farm Size and Production Efficiency of Korean Rice Farms: An Application of a Rsy-Homothetic Stochsstic Production Function ("레이 동조 확률 생산함수"에 의한 경영규모별 미곡생산의 효율성 분석)

  • 강봉순;노재선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1 no.1
    • /
    • pp.99-110
    • /
    • 1995
  • 이 연구는 한국 쌀생산의 효율성을 경영규모별로 파악하고, 영농규모 확대를 통한 쌀생산의 효율성 중대 가 가능하다는 가설을 검정해 보고자 하였다. 이 분석에 필요한 기술적 선도농가들의 생산함수인 프런티어(frontier) 생산함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교 란항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확률(stochastic) 모형아 바람직하고, 아울러 경영규모별로 규모의 효율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레이 동조(ray-homothetic) 함수가 적절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농림수산부의 1992년도 쌀생산비 자료에서 임의로 추출한 1,203호의 표본 자료를 이용해 앞에서 언급한 두가지 요소를 동시에 감안 할 수 있는 $\ulcorner$레이 동조 확률 생산함수(ray-homothetic stochastic production function)$\lrcorner$를 최우추정법 (Maximum likelilood estimation method)으로 추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쌀생산의 경영규모별 비효율성 을 순수 기술적 비효율성과 규모의 비효율성으로 나누어 계측하였다. 게측결과에 의하면 쌀생산의 비효율성은 굉균 35.loyo에 이르고 있다. 이 가운데 순수 기술적 비효율성은 12.0%이고, 규모의 비효율성은 24.l%에 달했다. 기술적 비효율성과 규모의 비효율성 모두 경지규모 확대와 더불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경영규모 확대와 더불어 미곡생산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는 가설은 기 각되지 않았다. 그러나 대농의 경우에도 규모의 비효율성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영농규모 확대를 저 해하는 제도적 장벽이 아직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대농과 소농과의 효율성 격차가 현저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나 단순히 경지를 중심으로 한 경영규모 확대만으로는 효율성 제고에 한계가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한국 미곡생산의 효율성 중대 잠재력이 결코 과소 평가되어서는 안된다. 둘째, 영농규모 확대가 쌀생산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 만 단순한 경지규모의 확대에 치중하는 것보다 영농규모 확대를 저해하는 제도적 기술적 장애요인을 제거해 나가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영농기술의 개발은 물론이고 현행 선진영농기술의 보급도 쌀생산의 효율성 중대에 상당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이 간과되어서는 안된다.

  • PDF

An Analysis on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Korean Rail Transit Authorities Using a Stochastic Cost Frontier Approach (A Comparison with the Estimation Results by DEA) (확률적 비용변경접근법을 이용한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자료포락분석기법을 이용한 추정결과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Kim, Min-Jung;Kim, Sung-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3 no.5 s.83
    • /
    • pp.15-25
    • /
    • 2005
  • Using a stochastic cost frontier approach(SCFA), this paper annually estimates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with same data in the papers which analyze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to compare the results and suggest the political findings of raising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for three publicly-owned rail transit properties. the Seoul Subway Corporation (SSC), the Seoul Metropolitan Electrified Railways Sector of Korea National Railroad (SMESRS) and the Busan Urban Transit Authority (BUTA). The results show that the results of SCFA are higher than DEA for efficiency and lower for productivity in that DEA regards the stochastic error and measurement error as the inefficiency contrary to SFCA. But the political findings from these results appears to be similar as follows. First, the productivity of the three properties should be first improved by using existing technologies efficiently and then by introducing new ones. Second, the three properties should improve the technical efficiency through reducing input quantities to raise their efficiency. Finally, all the three components of the productivity such as productive efficiency change, technical change, and scale change should be considered to evaluate their productivity more correctly.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Productive Efficiency in Korean Manufacturing Firms during Trade Liberalization (우리 나라 제조업의 생산적 효율성 결정요인분석-무역자유화 기간을 중심으로-)

  • 서동석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3 no.1
    • /
    • pp.157-184
    • /
    • 1995
  • 본 연구는 한국 제조업의 기업별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확율 적 생산함수를 추정한 다음, 우리 나라의 주종 수출산업인 섬유산업과 전자산업의 기술적 효율성이 1980년대에 하락한 이유를 규명하기 위하여 동종산업내의 각 기업들의 기술적 효율성의 결정요인을 계량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성장산업인 전자산업과 사양산업인 섬유산업의 산업 내 (intra-industry) 기술적 효율성의 결정요인은 상하였다. 성장산업인 전자산업의 경우, 상대적인 기업의 크기와 노동비용의 상대적 크기는 기술적 효율성과 각각 정의 관계를 보이고 있는데 비해, 사양산업인 섬유산업의 경우, 총 매출액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과 기술적 효율성과 반의 관계를 보였다. 즉 1980년대 섬유산업의 기술적 효율성이 하락한 중요한 요인은 동 산업의 수출부진과 상대적인 노동비용의 상승을 들 수 있으며, 성장산업인 전자산업의 경우는 일부 대기업의 집중도 심화가 동 산업의 평균적 기술적 효율성의 하락요인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쟁의 촉진과 기업 집중도의 완화가 기술적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 PDF

An Analysis of the Efficiency of Agricultural Business Corporations Using the Stochastic DEA Model (농업생산법인의 경영효율성 분석: 부트스트래핑 기법 활용)

  • Lee, Sang-Ho;Kim, Chung-Sil;Kwon, Kyung-Sup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6 no.4
    • /
    • pp.137-15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efficiency of agricultural business corporation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A proposed method employs a bootstrapping approach to generate efficiency estimates through Monte Carlo simulation re-sampling process. The technical efficiency,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measure of the corporations is 0.749 0.790, 0.948 respectively. Among the 692 agricultural business corporations, the number of Increasing Returns to Scale (IRS)-type corporations was analyzed to be 539(77.9%). The number of Constant Returns to Scale (CRS)-type corporations was 108(15.6%), and that of Decreasing Returns to Scale (DRS)-type corporations was 45(6.5%). Since an increase in input is lower than an increase in output in IRS, an increase in input factors such as new investments is required. The Tobit model suggests that the type of corporation, capital level, and period of operation affect the efficiency score more than others. The positive coefficient of capital level and period of operation variable indicates that efficiency score increases as capital level and period of operation increases.

  • PDF

국내 항만배후단지 효율성 및 생산성 비교 분석

  • 심민섭;하도연;김율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55-56
    • /
    • 2023
  • 항만배후단지는 항만과 인접한 배후공간으로 항만의 기능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하지만, 국내 항만배후단지는 단순한 항만물류지원기능에 국한되어 있으며 인프라 시설, 정책 및 지원, 투자 미흡 등으로 인하여 항만배후단지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 항만배후단지 업체별 내부자료를 바탕으로 DEA 분석 및 생산성 분석을 진행하여 국내 항만배후단지의 종합적인 정책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DEA 분석결과 창고업의 경우 광양항 서측, 인천항 북항 항만배후단지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조업의 경우 인천항 북항, 울산항 1공구 항만배후단지가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인 투자규모별 생산성의 경우 광양항 서측, 평택당진항 1단계 항만배후단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시설 투자규모별 생산성은 광양항 서측, 인천항 북항 항만배후단지가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노동생산성은 인천항 북항, 부산항 웅동 항만배후단지가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 선정 시 취급품목이 효율성에 중요한 영향을 주며, 외국인 투자규모, 시설 투자규모, 종업원 수가 항만배후단지의 생산성 향상으로 직결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Productivity Evaluation and Factor Analysis in Commercial Road Freight Transport Industry (영업용 도로화물운송업의 생산 효율성 평가 및 영향요인 분석)

  • Han, Sang-Y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5
    • /
    • pp.31-41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commercial road freight transportation industry using quarterly actual data by individual truck drivers from January 2005 to September 2009.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various impact factors that influence production efficiency, including regulatory factors (e.g., entrust management system and multi-level transac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s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a truncated Tobit model. As a result,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general freight sector i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two sectors. Also, production efficiency in the steel goods sector ranks the highest; meanwhile, production efficiency in the oil goods sector ranks the lowest. In particular, production efficiency indicators of the commercial road freight transportation industry fluctuate with time by a small margin, and have an upward tendency on the whole. Finally, some policy implications are given to promot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commercial road freight transportation industry.

반도체 생산공정의 제조생산성 및 자동화

  • 구평회;황경현
    • ICROS
    • /
    • v.4 no.4
    • /
    • pp.11-16
    • /
    • 1998
  • 본 고에서는 반도체 산업에서 제조 생산성 향상의 필요성을 논하였고, 생산 자동화/통합화와 제조생산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반도체 공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우선 생산 정보시스템 Infrastructure가 구축되어야 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각 자원 및 기능 간의 효율적인 조정이 필요하다. 특히, Moore's Law에 필요한 효율의 달성을 위해 물류시스템의 자동화/통합화 그리고 반도체 공장의 설계/운영의 합리화를 위한 노력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PDF

Effect of Web-services' Technological Interactivity on User-generated Contents' Perceived Efficiency and Quality (웹서비스의 기술적 상호작용성이 사용자 콘텐츠 생산 효율성과 품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Lee, Yoon-J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9
    • /
    • pp.380-388
    • /
    • 2012
  • One of the key factors for success in fostering web-service is the supply of user-generated contents(UGCs). Technological interactivity is an environmental factor which stimulates user-content interaction, and reflects the system's capability for supporting various interactions that are allowed by a medium. The present study us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ree components of technological interactivity-user control, synchronicity, and responsiveness-on web-services' perceived content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web-services' user control and synchronicity exhibit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perceived efficiency of content generation; further, perceived efficiency boosts perceptions of content quality, which means that the user control and synchronicity of a web-service also have an indirect effect on perceived content quality. Additionally, responsive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content quality. These findings are important for marketers and operators seeking to make their web-service successful.

Measuring Efficiency and Productivity Change of the Korean Life Insurance Industry (우리나라 생명보험 산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변화 분석)

  • Hong, Bong-You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0 no.2
    • /
    • pp.263-29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change in the productivity of Korean life insurance industry by Generalized Malmquist productivity indices. Generalized Malmquist indices will be decomposed into three components such as pure efficiency change, scale efficiency change, and technical change. The principal findings indicate an overall increase in productivity driven more by technical progress than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 PDF

Efficiency in Domestic Commercial Bank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를 이용한 국내 상업은행의 효율성 분석)

  • Kim, soon-hong;Kim, j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119-120
    • /
    • 2013
  • 본 연구는 DEA기법을 이용하여 저성장, 저마진, 고위험의 삼중의 어려움 속에서 저비용 고효율의 생산조직과 리스크관리, 건전 여신 정착을 위해 건전성, 생산성, 자본적정성, 수익성이라는 상업은행의 핵심성과지표를 이용하여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모두 자본적정성에는 효율적이었으나 수익성과 생산성에 있어서는 시중은행이 지방은행보다 효율적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