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물활성도

Search Result 2,98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ffect of the Applied Biostimulant Depth on the Bioremediation of Contaminated Coastal Sediment (연안오염퇴적물에 주입한 생물활성촉진제의 깊이가 생물정화효율에 미치는 영향)

  • Woo, Jung-Hui;Subha, Bakthavachallam;Song, Young-Chae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9 no.4
    • /
    • pp.345-351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timum depth for the application of bioremediation in contaminated coastal sediment using a lab scale column experiment. The biostimulants were placed in the top surface of the sediment facing seawater, 3cm, 6cm and 10cm of the depth from the surface, respectibely. During the experiment, the changes of organic pollutants and heavy metal fractions in the sediment were monitored in 1 month and 3month time intervals. The organic pollutants found during various analysis such as chemical oxygen demand, total solids and volatile solids, significantly reduced when the depth of the biostimulant was 3cm or less. In contrast, at a depth of over 6cm, the reduction of organic pollutants decreased, and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e control. Heavy metals fractions in the sediment also changed with the depth of the biostimulants. The exchangeable fraction of the metals was quite reduced at the sediment surface in the column, but the organic bound and residual fractions considerably increased at a depth of 3cm. Based on this study, the optimum biostimulants depth for in-situ bioremediation of contaminant coastal sediment is 3cm from the sediment surface.

Removal Effect of Natural Organic Matter in the Biological Activated Carbon

  • Park, Young-G.
    •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
    • /
    • v.16 no.4
    • /
    • pp.47-54
    • /
    • 2001
  • 흡착된 유기물들의 생물막상에서 오존효과(오존에 의한 생물학적 분해능)를 관찰하기 위해 파 일롯 실험이 수행되었다. 유입원수 내 용존유기물들 중에는 THM전구물질이 존재하고 염소화 정 수과정에서 생성된 THM은 원수내 염소의 양이 2배에서 5배로 증가될수록 THM중 클로로포름은 5배에서 10배 가량 증가되고 디브로모클로라이드는 5배 가량 증가된다. 이러한 THM은 활성탄에 흡착되고 생물학적 분해에 의해 제거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특히 암모니아성 질소는 활성탄 에서보다 생물활성탄에서 40% 가량 생물학적 제거능이 증가된다는 활성탄내부의 생분해성이 발 견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인 THb7에서도 활성탄에서 보다 생물활성탄에서 미생물분해효과에 의해 제거효율이 20%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계면활성제에 따른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의 생물학적 분해 양상

  • Kim Yeong-Mi;An Chi-Gyu;U Seung-Han;Park Jong-M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153-156
    • /
    • 2006
  • 유류오염토양의 자연복원 시 생물이용도(bioavailability)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제지 폐수로부터 분리한 미생물과 5가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다. 계면활성제로는 Brij 35, Brij 30, Triton X-100, Tween 40, Tween 80을 사용하였으며 유류오염물질로는 PAHs를 사용하여 계면활성제 별 미생물의 성장률 및 PAHs 분해율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각각의 계면활성제에 따라 서로 다른 미생물 성장 및 PAHs 분해능을 보였다. 계면활성제에 따른 미생물 성장은 Tween 계열에서 뚜렷했으며 이들 중 Tween 40에서는 PAHs의 분해능 또한 가장 활발하였다.

  • PDF

종합염색페수처리를 위한 활성슬러지 반응기와 활성탄 담체가 포함된 Jet-Loop Reactor(JLRAS)의 비교

  • Lee, Gil-Ho;Ryu, Won-Ryul;Park, Jong-Tak;Jo, Mu-Hwan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1.11a
    • /
    • pp.572-577
    • /
    • 2001
  • 본 연구는 종합염색폐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염색폐수를 원활히 처리할 수 있는 반응기를 찾아내고자 각 반응기의 성능 및 제거효율, 안전성등을 조사하였다. 선행된 연구에서 종합염색폐수를 1차 생물학적 처리를 위하여 활성슬러지 생물반응기를 통하여 처리한 것보다 활성탄 담체를 이용한 Jet loop reactor(JLRAS)를 개발하여 처리한 것이 더욱 제거효율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활성탄 담체를 이용한 Jet loop reactor를 이용함으로써 F/M ratio 가 크게 증가하여 2.3일 때 feed의 증가량에 따른 JLRAS 에서 보다 높은 비기질제거율을 보여주고 있으며 $COD_{Mn}/BOD ratio를 조사하여 유출수에 난분해성 물질이 많이 제거되어지고 $COD_{Mn} loading rate, 즉 부하변동에 따라서도 안정한 수질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Polymer coating for controlled release of biostimulants from Biostimulant balls (생물활성촉진제의 용출율 제어를 위한 폴리머 코팅)

  • Song, Young-Chae;Woo, Jung-Hui;Senthilkumar, Palaninaicker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46-47
    • /
    • 2013
  • We prepared biostimulant balls using sea sediment mixed with biostimulants viz acetate, nitrate and sulfate. The Biostimulant balls were coated with Cellulose Acetate (CA) and Polysulfone (PS) to control the release of the biostimulants. SEM images showed that CA coating was porous and irregular in the inside and very uniform and tight like beehive while PS coating was the same in the inside and outside and not porous. Biostimulants release was found to be high in sea water compared to distilled water. The release of nitrate was higher compared to sulfate. In turbulent environment the release of bionutrients was 50% higher than static environment.

  • PDF

Effects of In-Situ Flushing on the Bioremediation of Soil Contaminated with Endosulfan (In-Situ Flushing기법이 Endosulfan으로 오염된 토양의 생물학적 처리에 미치는 영향)

  • 전민하;최상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4a
    • /
    • pp.198-201
    • /
    • 2001
  • In-situ flushing의 적용에 따른 농도 저감이 생물학적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기농도 13mg/kg dry soil과 3mg/kg dry soil인 토양을 생물학적으로 처리한 결과 제거효율은 각각 86% 및 81%였으며, 두 가지 토양 모두 24시간 이후에는 미생물에 의한 작용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토양상에서 용액상으로의 미생물에 의한 작용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토양상에서 용액상으로의 물질전이 속도가 율속 단계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토양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가 생물학적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 잔류하는 계면활성제에 의해 물질전이 속도가 향상되어 생분해가 지속적으로 일어났으며 초기농도 3mg/kg dry soil인 경우 120시간이 경과한 후 89%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계면활성제와 보조용매가 동시에 잔류하는 경우에는 계면활성제에 대한 순응기간이 보다 길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메탄올과 에탄올의 경우 각각 84%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 PDF

Optimization of Medium Components for the Production of Crude Biosurfactant by Bacillus subtilis JK-1 (Bacillus subtilis JK-1의 생물계면활성도를 위한 최적 배지 조성)

  • Joo, Myeong-Hoon;Kim, Ji-Ye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54 no.1
    • /
    • pp.7-14
    • /
    • 2011
  • Bacillus subtilis JK-1 showed degradation activity against crude oil, gasoline, kerosene, and light oil, and this strain was used as a crude biosurfactant producing microorganism in this study. To optimize the culture medium for production of crude biosurfactant, the influences of various carbon, nitrogen and mineral sources were assessed. The highest biosurfactant production by B. subtilis JK-1 was observed after 96 h cultivation, containing 1.0% (w/v) soluble starch as a carbon source and 0.5% (w/v) skim milk as a nitrogen source, and carbon to nitrogen concentraion (C/N) ratio was 2.0. For the biosurfactant production 0.1% (w/v) of $KNO_3$ was the most effective mineral source. Comparison of biosurfactant production indicates that B. subtilis JK-1 produces more biosurfactant in the optimum medium established in this study than LB and TSB. Under the optimum medium, the surface tension of culture broth of B. subtilis JK-1 was decreased from 47.3 dyne/cm to 24.0 dyne/cm after cultivation of 48 h.

Rubus coreanus Miquel Bioconversion of Metabolites by Fermenting Bacteria and Their Functional Enhancement (복분자 기능성 증대를 위한 유용미생물 활용 생물전환 공정 도입 방안 연구)

  • Lim, Jeong-Muk;Choi, Ui-Lim;Kim, Joong-Oh;Lee, Jeong-Ho;Oh, Byung-Tae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65-65
    • /
    • 2018
  •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는 anthocyanin, phenolic acid, tannin, flavonoid, stilbenoid와 같은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항염증, 항암활성, 항산화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한 효능이 있어 건강식품으로써 애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약용성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각광받고 있다. 생물전환(Bioconversion)은 미생물 또는 효소의 생물학적 촉매 기반 천연소재의 생리활성 물질기능성, 생체이용률,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아울러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성화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불가사리 발효액으로부터 유산균을 분리하였으며, 유전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전북 고창에서 수확된 복분자를 분말상태로 유산균과 발효공정을 수행하였으며, 복분자의 최적 추출조건 선정과 발효공정 전 후의 활성을 관찰하였다. 발효공정 후 추출물의 기능성 평가를 진행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polyphenol 함량을 확인하여 항산화 효능 및 유효성분 함량을 평가하였다. 또한 대식세포인 Raw 264.7을 사용하여 MTT assay, 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효능을 확인하여 세포독성 및 항염증 활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발효기간이 다른 불가사리 비료발효액으로부터 16 종의 다양한 균주를 확보하였으며, 생물전환 공정에 유용 균주를 선정하기 위하여 복분자 분말의 발효공정을 실시한 결과 3 종의 유산균 처리군에서 무처리군 대비 DPPH radical 소거능 및 polyphenol 함량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그 중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16S rDNA 염기서열 분석한 결과 Lactobacillus coryniformis A6-4로 확인되었으며, 발효공정 후 항산화 활성은 무처리군 대비 약 115%, polyphenol의 함량은 무처리군 대비 약 121%로 증가됨을 확인되었다. 또한 발효공정 후 독성활성이 감소되는 경향을 확인되었으며, 항염증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 PDF

Biological Activated Carbon (BAC) Process in Water Treatment (정수처리에서의 생물활성탄 공정)

  • Son, Hee-Jong;Yoo, Soo-Jeon;Roh, Jae-Soon;Yoo, Pyong-J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1 no.4
    • /
    • pp.308-323
    • /
    • 2009
  • This review paper serves to describe the composition and activity of biological activated carbon (BAC) biofilm which is considered as a progressive process for water treatment. As well as several physical-chemical, bi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analysis methods for characterizing the composition and activity of BAC biofilm, the ability of the biofilm to remove and biodegrade organic matters and pollutants related to other water treatment processes such as pre-ozonation will be reviewed. In this paper, conversion of GAC into BAC, removal mechanism of pollutants, characteristics and affecting factors of BAC biofilm, and modeling of BAC are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strategies to control the growth of the BAC biofilm, such as varying the nutrient loading rate, altering the frequency of BAC filter backwashing and applying oxidative disinfection, will be dwelled on related to their respective process control challe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