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물학적 용출

Search Result 5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Field application on bio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shooting range soil (생물학적으로 향상된 동전기 처리를 이용한 사격장 오염토양 정화 현장실증 연구)

  • Kwon, Young-Ho;Kim, Byeong-Kyu;Kim, Jeong-Rae;Kim, Jeong-Yeon;Oh, He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10.09a
    • /
    • pp.1225-1230
    • /
    • 2010
  • 본 연구는 군부대 사격장의 중금속 오염토양에 대하여 생물학적 용출기술(BT)과 전기동력학적 기술(ET)의 통합공정의 적용성 평가 연구에 대한 것이다. 사격장 오염 토양의 경우 사격에 의해 탄두가 피탄지에 박히면서 오염토양 내에 잔존하여 탄두를 구성하는 주성분인 납과 구리 등에 의해 지속적인 오염원으로 작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사격장 토양오염정화를 위해서는 이 탄두를 물리적으로 선별하는 물리적 선별공정을 전처리공정으로 수행한 후 인공적으로 조성된 셀에 통합공정 적용성 평가를 위한 현장실증시험을 수행하였다. 생물학적 용출을 통해 토양내 잔류하는 중금속을 이온화시켜 이동성을 크게 한후 전기동력학적 기술을 통해 토양내에서 전해질로 이동시켜 최종적으로 전해질을 처리하는 시스템으로써 공정 모니터링결과 납과 구리 모두 주목할 만한 제거효율을 얻을수 있었다. 오염물질별 공정 적용성 평가결과 납의 경우 황산화박테리아에 의해 이온화가 되지만 황산화박테리아의 생장 부산물인 황산염이온(${SO_4}^{2-}$)과 반응하여 안정성이 큰 Anglesite($PbSO_4 $)를 형성하므로 전체적인 제거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기타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용출기술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구리의 경우 황산염박테리아를 이용한 생물학적 용출공정 및 전기동력학적 처리공정의 통합공정을 통해 주목할 만한 제거효율을 얻을수 있었으며 통합공정의 효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미생물학적 용출기술과 전기동력학적 기술의 통합공정은 현장특이성(Site-specific) 확인후 적용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leanup Efficiency Enhancement of Mine Tailings using Thiobacillus ferrooxidans (Thiobacillus ferrooxidans를 이용한 광미 정화의 효율 증진에 관한 연구)

  • 이지희;조장환;정동철;장윤영;최상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9.04a
    • /
    • pp.91-93
    • /
    • 1999
  • 충북 단양에 위치한 조일 광산에서 채취한 구리와 아연으로 오염된 광미 (광산 폐기물로서 금속 추출 후 남은 찌꺼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생물학적 용출기법(bioleaching)의 효율 증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본 배지 조성(9K medium) 중 미생물의 성장 및 증식, 용출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에너지원, 인, 질소원의 농도를 변화시키며 배지 조성에 따른 중금속의 용출 효율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인 농도 변화는 인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 아연과 구리의 용출 효율이 각각 98.8%와 47.5%로 나타났고, 질소원은 45mM 농도로 주입하였을 때 아연, 구리 각각 85%와 46.4%의 용출 효율을 보였다. 에너지원 변화에 서는 아연의 경우 에너지원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 93%의 용출 효율을 나타냈고, 구리의 경우는 160mM 첨가했을 때 46.4%로 가장 높은 용출 효율을 나타냈다.

  • PDF

Nutrient Release during the Aerobic and Alternant Aerobic Sludge Digestion (도시하수슬러지의 호기성 소화시 영양염류 용출에 관한 연구)

  • 박종안;김성홍;허준무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 /
    • v.26 no.4
    • /
    • pp.82-87
    • /
    • 2000
  • 생물학적 슬러지를 대상으로 간헐포기 소화와 호기성 소화의 회분실험을 실시하였다. 생물학적 슬러지의 간헐포기 및 호기성 소화 초기단계에서 미생물의 감량은 주로 내생 호흡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 단계에서 질소는 곧바로 용출되지 않고 슬러지내에 잔존함으로서 슬러지의 질소함량은 일시적으로 증가한다. 그러나 소화후반에서는 최초의 질소함량수준으로 다시 감소하였다. 34일간의 회분식 소화에서 호기성 소화의 총질소 제거효율은 0.1%로서 거의 제거가 안된 반면, 포기 비율 0.25, 05 및 0.75인 간헐포기 소화에서는 각각 42.7%, 42.5% 및 17.6%로 나타나 간헐포기 소화가 호기성 소화보다 질소 제거측면에서 우수하였다. VSS의 감소에 따라 슬러지내의 인도 수중으로 용출하였으나, 인 용출율은 VSS 감소율 보다 훨씬 낮았고 그 결과 소화슬러지의 인 함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호기성 소화와 간헐포기 소화는 소화슬러지의 인 함량이 증가하는 공정이므로 반송수의 인 부하는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고 이는 하수의 영양염류 제거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surface for Enhanced Efficiency of Mine Tailings Cleanup (광미 정화의 효율 증진을 위한 미생물 표면 특성에 관한 연구)

  • 이지희;김준호;전민하;류두현;최상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9.04a
    • /
    • pp.94-96
    • /
    • 1999
  • 충북 단양에 위치한 조일 광산에서 채취한 구리와 아연으로 오염된 광미(광산 폐기물로서 금속 추출 후 남은 찌꺼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생물학적 용출기법(bioleaching) 에서 기본 배지 조성(9K medium)을 변화시켜 미생물의 표면 특성을 측정하고 미생물 표면 특성이 용출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인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 소수성 값은 62.5%, 질소원 농도가 45mM일 때의 소수성 값은 66.7%로 미생물 표면 특성이 가장 소수성인 특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구리와 아연의 용출 효율도 가장 높게 나타나는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광미에 부착된 미생물의 양을 측정해 본 결과, 미생물 표면 특성이 소수성일수록 광미에 부착된 미생물의 양도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Contaminant Release under Different Redox Conditions from Sediments in Seawater and Freshwater (해수와 담수에서의 퇴적저니 용출특성)

  • 최동호;배우근;신응배;심호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4a
    • /
    • pp.62-65
    • /
    • 2001
  • 담수와 해수가 혼합되는 환경에서 퇴적 저니로부터의 오염 물질 용출률을 조사하였다. 축산폐수와 산업폐수의 영향을 받은 두 지점의 퇴적저니 시료에 대해 해수와 담수로 장기(약4주) 용출 시험을 행한 결과, 해수보다는 담수에서의 오염물질(영양염류 및 중금속) 용출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담수에서의 이온강도(ionic strength)가 상대적으로 낮아 오염성분의 포화농도가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용존산소의 농도를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 무산소 상태에서의 용출률이 호기성 상태에서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원인이 생물학적인 것인지 화학적인 것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시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무산소 상태의 담수에서 오염물질의 용출이 극대화되며, 따라서 강어귀 등과 같이 유속이 작아져 오염물질의 침강은 잘되는 반면 오염물질의 해수에 의한 희석 효과는 적은 경우가 저니로 인한 수질 환경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예측된다.

  • PDF

Evaluation of Mechanical Characteristic and Biological Stability of Dental Alloys by the Manufacture Method (가공방법에 따른 치과용 합금의 기계적 특성 및 생물학적 안정성 평가)

  • Kim, Chi-Young;Chung, In-S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3
    • /
    • pp.293-301
    • /
    • 2011
  • The material of the dental prosthesis was required bio-compatibility for biological, chemical, and physical stabil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he stability evaluation of mechanical, biological characteristics through comparing Co-Cr alloy(SC group), Ti alloy(ST group) made by the selective laser melting method with Co-Cr alloy(CC group), Ni-Cr alloy(CN group) made by the casting method. Modulus of elasticity for mechanical characteristic evaluation was measured by the tensile test. And we conducted the release material analysis using lactic acid-NaCl solution for the evaluation of biological stability and were observed cytotoxicity through the content of this release medium. Taking these results into account, the Co-Cr alloy made by the selective laser melting method was observed modulus of elasticity higher than he Co-Cr alloy made by the casting method. And the Co-Cr alloy made by the selective laser melting method had more superior biological stability than the other groups as the result of cytotoxicity evaluation through the release material analysis. By this results, we think that alloys made by the selective laser melting method can be applied as materials for making the dental prosthesis.

A Study on the Enhanced Cleanup of Mine Tailings Using Thiobacillus ferrooxidans (Thiobacillus ferrooxidans를 이용한 광미 정화의 효율 증진에 관한 연구)

  • 이지희;최상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6 no.3
    • /
    • pp.120-125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bioleaching of heavy metals. copper and zinc from the soil samples obtained from mine tailings in Cho-il Mine located in Dan-Yang, Choong-Buk. The effects of medium (9 K) composition on the leaching efficiency were investigated by changing concentrations of the dominant components. phosphorus, nitrogen source. and energy source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governing the growth and multiplication of microorganism. The results of the bioleaching test at different phosphorus concentrations of medium, 0 mM. 3.0 mM, and 6.0 mM showed that leaching efficiency for zinc and copper was 98.8% and 47.5% respectively at 0 mM and decreased at higher phosphorus concentration 6.0 mM. In the bioleaching test of zinc and copper at 0 mM, 45 mM, and 90 mM nitrogen concentrations, the Highest efficiency of 85% and 46.4% was obtained for zinc and cooper respectively at 45 mM and the lower efficiency observed for 90mM nitrogen addition. The zinc and copper leaching with variation of energy source dosage showed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93% for zinc in the absence of energy source and 46.4% for copper at 160mM energy source.

  • PDF

Microbial Leaching of Iron from Magnetite (미생물을 이용한 자철석으로부터 철 침출에 관한 연구)

  • Roh, Yul;Oh, Jong-Min;Seo, Yong-Jae;Jang, Hee-Dong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4 s.50
    • /
    • pp.265-275
    • /
    • 2006
  • It is in its infancy to use bacteria as a novel biotechnology for leaching precious and heavy metals from raw materia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iogeochemical processes of iron leaching from magnetite reduction by iron-reducing bacteria isolated from intertidal flat sediments, southwestern part of Korea. Microbial leach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commercial magnetite, Aldrich magnetite, in well-defined mediums with and without bacteria. Water soluble Fe production was determined by ICP analysis of bioleached samples in comparison to uninoculated controls, and the resulting precipitated solids were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XRD)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extent of iron leaching from magnetite in the aerobic conditions (Fe = 107 ppm) was higher than that in the anaerobic environments (Fe = 94 ppm). In the anaerobic conditions, Fe(III) in commercial magnetite was also reduced to Fe(II), but no secondary mineral phases were observed. Amorphous iron oxides formed in the medium under aerobic conditions where there was sufficient supply of oxygen from the atmosphere. SEM observation suggests that the reduction process involves dissolution-precipitation mechanisms as opposed to solid state conversion of magnetite to amorphous iron oxides. The ability of bacteria to leach soluble iron and precipitate amorphous iron oxides from crystalline magnetite could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biogeochemical processes in sediments where Fe(III) in magnetit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largest pool of electron acceptor as well as the tool as a novel biotechnology for leaching precious and heavy metals from raw materials.

Effects of pH, Temperature, and Dissolved Oxygen on Phosphorus Release from Marine Sediment to Seawater (해양퇴적물 인 용출에 미치는 pH, 온도, 용존 산소 농도의 영향)

  • Cheon, Hyo-Chang;Nam, Se-Yong;Kim, Sang-Hyou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6 no.6
    • /
    • pp.513-519
    • /
    • 2012
  • Understanding the behavior of pollutants in the marine environment is essential for coping with the marine pollution problems such as eutrophication.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parameters on phosphorus release from marine sediment to sea water were investigated. The environmental parameters such as pH in the range of 7 to 9, temperature from 10 to 20C and dissolved oxygen levels (DO) renging 0.7 to 7.0mg/L were examined. Phosphorus release data were taken from batch tests excluding biotic effects, and analyzed using a first-order kinetic model.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parameters were quantified using a statistical methodology. High pH, high temperature, and low DO increased phosphorus release from the sediment to sea water. pH from 7 to 9, temperature from 10 to $20^{\circ}C$, or DO from 7.0 to 0.7 mg/L magnified the equilibrium phosphorus concentration up to 2~3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