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물부착

검색결과 543건 처리시간 0.03초

농업용 요소비료에 의한 시볼트전복, Haliotis gigantea의 마취 박리 효과

  • 한석중;원승환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81-182
    • /
    • 2003
  • 생물에게 물리적인 손상(physical damage)이나 stress를 주지 않기 위한 마취제로서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전복은 어류와는 달리 부착기질과 은신처를 이용하여 부착생활을 하기 때문에 무게측정(weighting), 표지(tagging), 선별(selection), 밀도 조절 등을 위해서 박리작업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요소비료(CO(NH$_2$)$_2$)를 마취제로 이용하여 요소비료의 농도와 수온 등 물리적 요인이 시볼트 전복 Haliotis gigantea의 박리율과 회복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서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박리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해조류 추출물로부터 가시파래 (Enteromorpha prolifera)의 부착 저해물질 탐색

  • 권은희;최재석;홍성렬;홍용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47-148
    • /
    • 2000
  • Marine algae는 주된 fouling organism으로 전세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고, 경제적 손실을 가져온다. 특히나 container ships와 large tanker에서 자라는 algae는 마찰력의 증가로 인한 speed 감소와 연료비의 증가와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그래서 현재 antifouling paint로 TBT화합물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은 해양생물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TBT 화합물 사용에 대해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 추출물을 이용하여 무독성 천연 방오물질의 탐색을 목적으로 우선 선박이나 양식장 그물등에 많이 부착 성장하는 가시파래를 대상으로하여 이의 antifouling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찾고자 한다. (중략)

  • PDF

남한강 지류인 복하천과 달천의 부착규조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Water Quality Assessed by DAIpo and TDI of Bokha Stream and Dal Stream in South-Han River)

  • 김용진;신경애;이옥민
    • 환경생물
    • /
    • 제27권4호
    • /
    • pp.414-424
    • /
    • 2009
  • 본 연구는 2008년 6월부터 2009년 3월까지 남한강 지류인 복하천과 달천의 이화학적 수질 및 부착규조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 복하천은 영양염의 총인이 $0.041{\sim}0.886\;mg\cdot}L^{-1}$ 총질소가 $0.336{\sim}10.532\;mg\cdot}L^{-1}$의 범위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BOD의 농도도 일부지점을 제외하고 $2{\sim}5\;mg\cdot}L^{-1}$의 범위로 수질이 다소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달천은 하류 정점 및 일부 지점을 제외하고 총인이 $0.06\;mg\cdot}L^{-1}$ 이하, 총 질소가 $2.0\;mg\cdot}L^{-1}$ 이하, BOD가 $2.0\;mg\cdot}L^{-1}$ 이하로 수질이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복하천과 달천 총 12개 정점에서 출현한 부착규조류는 총 98분류군으로 2목 2아목 8과 22속 85종 13변종이 출현하였으며, 복하천이 총 67분류군, 달천이 78분류군 출현 하였다. 생물학적 수질평가 결과 복하천은 대부분 $\alpha$-중부수성이고, TDI 80 이상으로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달천은 하류를 제외한 전 정점에서 극빈부수성 및 $\alpha$-중부수성, TDI 50 이하로 생물학적 수질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DAIpo와 TDI의 상관성이 상관계수 0.83로 높게 나타났으며, 수질이 양호한 하천일수록 이화학적 수질평가와 생물학적 수질평가의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AIpo보다 넓은 범위의 규조류를 대상으로 하는 TDI지수가 안정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판벽면 부착형 4 륜구동로봇 개발 (Steel plate wall mount four-wheel-drive robot)

  • 정재훈;김민;박원현;김관형;변기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6-147
    • /
    • 2015
  • 현재 선박이나 교각 해양플랜트는 많은 철판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특히 해양플랜트와 선박에는 오랜시간 바다에 있으므로 각종 해양생물들이 붙어 번식을 한다. 이러한 해양생물은 선박의 속도 및 연료 소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선박이나 해양플랜트 구조물은 정기적으로 벽면에 서식하는 해양생물을 제거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거과정과 도장을 다시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들에게 위험이 따른다. 본 연구는 선박이나 해양플랜트와 같은 철로된 구조물의 위험한 작업을 대신할 로봇의 기반인 철판 벽면을 이동하는 로봇을 연구하였다. 현재 많은 벽면 로봇들이 연구되고 있다.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 휠을 사용하거나 공압을 이용하여 수직벽면에서 작업을 한다. 특히 공압 방식을 많이 사용하였는데 수직벽면에 로봇이 밀착될 만큼 강한 공압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부가적인 장치가 많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부가적인 장치를 최소화하고 효과적인 동작을 하기위해 전자석 방식을 선택 하였으며 간편하게 선박의 수직벽면을 작업할 수 있는 전자석 방식의 4 륜 로봇을 개발하고자 한다. 선박의 수직벽면 작업용 4 륜구동 로봇을 전자석을 이용하여 수직벽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자력의 세기와 방향을 제어하여 로봇이 선박의 수직면에 밀착되어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발 하고자 한다.

  • PDF

독도의 담수환경 (물골)과 부착조류 생물량 (Freshwater Ecosystem (Mulkol) and Periphytic Algal Biomass in the Tok Island, Korea)

  • 김미경;강창근;황순진;정미희;신재기
    • 생태와환경
    • /
    • 제36권4호통권105호
    • /
    • pp.463-466
    • /
    • 2003
  • 본 연구는 독도에서 식수원으로 이용되었던 담수 환경인 물골 생태계를 소개하고자 하였다. 물골 유출수의 염분도는 2.0 psu 이하이었고, 부착조류 생물량이 25.9 ${\mu}g$ chl-a/$cm^2$수준으로 대량 번성하여 과영양 환경을 유지하였다. 수중 영양염 중에서 질소는 $NH_4$의 농도가 비교적 높았고, SRP는 117.3 ${\mu}g$ P/l SRSi는 4,104.6 ${\mu}g$ Si/l로서 N성분에 비해 매우 높은 농도를 보였다. 그 결과, N/P비는 1.0이하로서 강한 N 제한 상태를 나타냈다. 물골에서 높은 무기 영양염 농도와 부착조류 생물량은 교란이 적은 생태계로서 자연적 오염의 영향으로 볼 수 있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완전한 규명은 어려웠으며, 향후 이에 대한 학술적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부산 서암 조간대 부착생물군집의 동태 (Dynamics of Marine Benthic Community in Intertidal Zone of Seoam, Busan)

  • 유종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4호
    • /
    • pp.420-425
    • /
    • 2003
  • 부산 서암 조간대 부착생물군집의 종조성, 군집구조, 종다양성을 조사하였다. 부착해산식물의 출현종수는 남조류 4종, 녹조류 6종, 갈조류 17종, 홍조류 47종, 해산종자식물 l종으로 총 75종이 관찰되었다. 부착해산식물 우점종은 melobesioidean algae, Chondracanthus tenellus, Sargassium thunbergii, Corallina spp., Phyllospadix japonica 5 종이었고, 여름에 Ulva pertusa가 추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저서동물은 Chthamalus challengeri and Mytilus edulis 가 조간대 상부와 중부에 우점하는 단순한 분포를 보였다. 한편 해조군집의 종다양성지수는 빈도, 피도, 빈도와 피도 합 그리고 중요도를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 각각 1.81, 2.25, 2.19, 1.80로 나타났다. 이는 종다양성지수의 계산을 위한 기준자료에 따라 값이 달라짐을 의미하는 것으로, 차후 종다양서지수를 논할 때 기본자료 선택의 중요성과 방법론의 표준화가 필요함을 지적한 것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 분류된 해조류 종수는 부산연안에서 기 조사된 결과와 비교할 때 최고 65%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986년 하동 김 양식장의 작황감소 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me Factors Affecting the Poor Harvest of Laver in Kwangyang Bay, 1986)

  • 송춘복;홍재상;강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28-340
    • /
    • 1987
  • 본 조사는 1986년 1월부터 4월까지 경남 하동군 김양식장에서 작황조사, 병해조사, 부착생물조사 등을 통해 작황저조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그 결과 본 조사지역의 경우 김의 단위당 생산량은 섶발이 평균 31.53g/피, 그물발이 평균 6.020g/10cm이었으au 대조구의 경우는 섶발이 평균 46.31 g/피, 그물발이 평균 6.225g/m로, 섶발의 경우 대조구가 높았으나 그물발의 경우는 큰 차이가 없었다. 김 부착층은 김의 단위당 생산령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즉 섶발의 경우 50cm 이하인 수식부탁 범위를 가지는 조사정점 전부가 생산량이 20g/피 이하인 정점과 일치하고 있으며 이들 조사 정점의 대부분이 등이 높은 섶 양식장의 서편 증 광양제철소 맞은 편에 위치하고 있다. 유아개체수는 지점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본 조사정점의 전체 평균치는 961 개체로 대조구의 966개체와 별로 차이가 없었다. 병해조사 결과 병해의 대부분은 구멍갯병과 쪼그랑 병이었으며 양식말기에 가서는 병세가 다소 호전되는 경향을 보였다. 섶발 양식장의 주된 부착생물은 고랑따개비(Balanus albicostatus), 가시파래(Enteromorpha prolifera),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고리매(Scytosiphon lomentaria)였으며 낙동강 하구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홍조류의 일종인 Caloglossa leprieurii가 분포하였다. 따라서 1986년도산 하동 김의 작황감소의 주된 원인으로 수직부착범위의 감소, 병해, 해황의 변화, 부착생물, 김발의 정리와 관리문제를 들 수 있었다.

  • PDF

DGGE 기법을 이용한 생물활성탄 공정의 부착 박테리아 군집분석 (Analysis of Attached Bacterial Communities of Biological Activated Carbon Process Using DGGE Method)

  • 손희종;최진택;손형식;이상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533-540
    • /
    • 2012
  • BAC 공정 운전초기부터 부착 박테리아들의 생체량이 정상상태(steady-state)에 도달한 이후까지 $BDOC_{total/rapid/slow}$ 제거율의 변화와 DGGE와 ATP 분석을 통하여 부착 박테리아들의 군집과 생체량을 평가하였다. 용존 유기물질 제거율 평가에 따른 BAC 공정의 정상상태 도달 여부 평가결과를 보면 DOC의 경우 운전 bed volume 27,500 부근에서 BAC 공정이 정상상태에 도달하였고, $BDOC_{rapid}$$BDOC_{total/slow}$의 경우는 각각 운전 bed volume 15,000 부근과 32,000 부근에서 정상상태에 도달하였다. BAC 공정의 운전기간 증가에 따른 HPC 및 ATP 농도 분석을 통한 부착 박테리아들의 생체량 평가결과 bed volume 22,500 이후로 거의 일정한 생체량을 유지하였으며, 이 때 HPC와 ATP 농도는 각각 $3.3{\times}10^8$ cells/g 및 $2.14{\mu}g/g$ 정도로 나타났다. DGGE를 이용하여 운전기간 증가에 따른 BAC 부착 박테리아들의 군집분석 결과 운전초기(bed volume 8,916)의 경우 분석가능한 DGGE band 개수가 5개였으나 운전기간 증가에 따라 분석가능한 DGGE band 개수는 최대 11개로 증가하였다. 또한, DGGE를 이용한 박테리아 군집분석 결과 BAC 운전기간의 증가에 따라 다양한 박테리아 그룹들이 존재하였고, Pseudomonas fluorescens, Acinetobacteria와 유사한 uncultured bacterium, uncultured Novosphingobium sp. 및 Flavobacterium frigidarium은 운전초기 단계부터 지속적으로 부착 박테리아 군집을 형성하였고, 전체적으로 Proteobacteria 그룹이 비교적 높은 비율로 우점하였다.

Pasteuria penetrans의 땅콩뿌리혹선층(Meloidogyne arenaria)에 대한 온도와 pH별 부착 및 증식효과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on the attachment of Pasteuria penetrans to Meloidogyne arenaria and the mass production)

  • 박동식;;조명래;허장현;임춘근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68-273
    • /
    • 2005
  • 본 연구는 Pasteuria penetrans의 대량 증식조건을 모색하기 위하여 다양한 온도(10, 30, 50, $70^{\circ}C$) 및 pH(4, 7, 10) 조건에서 처리한 P. penetrans의 땅콩뿌리혹선충(Meloidogyne arenaria)에 대한 부착효과와 위 조건에서 부착한 P. penetrans의 증식효과를 알아보았다. 부착 및 증식효과 실험결과 $10{\sim}70^{\circ}C$ 모든 온도 조건에서 96%이상, 모든 pH조건에서 80% 이상 뿌리혹선충에 대한 P. penetrans의 부착율을 보였으며, 상기 모든 온도 및 pH조건에서 부착한 P. penetrans가 토마토 뿌리에서 대량 증식되었으나, 부착 및 증식효과는 온도 및 pH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얻은 P. penetrans의 대량증식조건은 국내시설재배지에 피해를 주고 있는 뿌리혹선충의 생물학적 방제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