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물기후 요인

Search Result 97,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Meteorological Factor Analysis of Algific Talus Slope and Distribution of Rare and Vulnerable Plants to Climate Change (풍혈의 미기상요인분석과 희귀 및 기후변화 취약식물 분포 연구)

  • Tae-Young Hwang;Jong-Won Lee;Ho-Geun Yun;Jong-Bin A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58-58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 6곳의 풍혈의 기능과 식물분포를 통하여 풍혈의 보전대책과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조사는 홍천 방내리, 정선 여탄리, 정선 운치리, 연천 동막리, 제천 금수산, 보은 구병산에 위치하는 풍혈 6곳을 선정하였고 풍혈에 기상측정장비를 설치하여 2021년 3월부터 2022년 3월까지 온도와 습도의 미기상요인을 측정하였다. 풍혈이 위치하는 지역의 미기상요인은 기상청 자료를 활용하였고 측정된 풍혈의 미기상요인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관속식물상은 계절별로 진행하여 각 풍혈에 서식하는 희귀식물과 북방계식물, 기후변화 취약식물을 분석하였다. 풍혈 6곳의 미기상요인 분석결과 온도는 보은 구병산 풍혈을 제외한 5곳의 풍혈은 여름철 냉혈의 기능을 나타냈고, 보은 구병산 풍혈은 겨울철 온혈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도는 6곳 모두 주변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멸종위기종 2급은 백부자, 산작약, 연잎꿩의다리 3분류군, 희귀식물은 산개나리, 월귤 등 23분류군, 북방계식물은 과남풀, 꽃개회나무 등 129분류군, 기후변화취약식물은 검종덩굴, 도깨비부채 등 2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풍혈은 기후변화 취약식물의 피난처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된 홍천 방내리 풍혈을 제외한 나머지 풍혈은 관리가 미흡하다. 정선 여탄리 풍혈은 인근 도로에서의 외래식물의 유입, 정선 운치리 풍혈은 인근의 양봉장과 관광객 등의 인간활동에 의한 훼손, 연천 동막리 풍혈은 인근 경작지 등의 사유지로 인한 관리의 어려움, 제천 금수산 풍혈은 관광지화로 인한 훼손, 보은 구병산 풍혈은 등산객의 답압으로 인한 훼손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풍혈과 희귀 및 기후변화 취약식물들의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풍혈 주변의 팬스 설치 등의 적극적인 보전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대구와 주변지역의 기온상승 경향과 벚꽃개화일과의 관계

  • Park, Su-Jin;Kim, Hae-Dong;Kim, Ha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470-473
    • /
    • 2007
  • 기후 및 기온변동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들 가운데 하나가 개화 등과 같은 생물계절현상이다. 이들 현상을 잘 관찰하고 연구함으로 인간이 느끼지 못하는 범위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계절현상에 관한 연구는 일본 등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계절현상에 주목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도시가 발달함에 따라 인구의 증가, 각종 산업의 발달, 교통량의 증가와 같은 인위적 요인으로 인하여 도시기후는 특유의 기후특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도시화로 인한 도시의 기후 변동이 벚꽃의 개화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 경향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계절현상과 기온, 위도, 해발고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모델링을 통한 생물계절현상을 예측하고 기후 변동의 검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 된다.

  • PDF

Regional Diversity Pattern of Spring Moths and Climatic Effects on Moth Catches (봄 출현 나방의 지역별 종 다양성 양상과 출현에 미치는 기후영향 연구)

  • Noh, Dong-Ho;Kim, Sung-Soo;Choi, Sei-Woo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4 no.1
    • /
    • pp.30-36
    • /
    • 2016
  • We investigated the diversity pattern of spring moths across two regions of South Korea, Yongin city (middle part) and Muan gun (southern part) and the effects of climatic variables on moth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Moths were weekly collected using UV light trap in April from 2013 to 2015. Climatic factors included growth degree day with base temperature 8 (GDD8), average temperature, precipitation, duration of sunshine, wind speed, and snow cover. The climatic effects on moth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were analyzed by short (0~3 weeks before collecting) and long (4~12 weeks before collecting) time periods, respectively. The diversity of spring moths showed the similar pattern of species composition at family level. However the dominant family differed depending on the region: Geometridae at middle part and Noctuidae at southern part. In addition the dominant species of Noctuidae occurred early in April and that of Geometridae moths occurred later in April. Three short-term climatic factors, GDD8, duration of sunshine, and precipitation one week before collecting were significant on moth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while only one long-term climatic factor, temperature four weeks before collecting was significantly affected on moth species richness. We found that both Geometridae and Noctuidae were dominant in spring moth fauna across South Korea and they were different in the dominance and flying time in April. The occurrences of spring moths were largely affected by warmness and precipitation. The current global warming could affect the occurrence of spring moths and this should be monitored consistently.

Assessment of Potential Distribution Possibility of the Warm-Temperate Woody Plants of East Asia in Korea (한국에서 동아시아 난대 목본식물의 잠재분포 가능성 평가)

  • Cheolho, Lee;Hwirae, Kim;Kang-Hyun, Cho;Byeongki, Choi;Bora, Lee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9 no.4
    • /
    • pp.269-281
    • /
    • 2022
  • The prediction of changes regarding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and plant species according to climate changes is important for ecosystem management.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develop an assessment metho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warm-temperate woody plant species of East Asia in Korea. To begin with, a list of warm-temperate woody plants distributed in China and Japan, but not in Korea, was prepared, and a database consisting their global distribution and bioclimatic variables was constructed. In addition, the warm-temperate vegetation zone in Korea was delineated using the coldness index and relevant bioclimatic data were collected. After the exclusion of multicollinearity among bioclimatic variables using correlation analysis, mean temperature of the coldest quarter, mean temperature diurnal range, and annual precipitation were selected as the major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distribution of warm-temperate plants. A multivariate environment similarity surfaces (MESS) analysis was conducted to calculate the similarity scores between the distribution of these three bioclimatic variables in the global distribution sites of the East Asian warm-temperate woody plants and the Korean warm-temperate vegetation zone. Finally, using stepwise variable-selection regression, the mean temperature of the coldest quarter and annual precipitation were selected as the main bioclimatic variables that affect the MESS similarity index. The mean temperature of the coldest quarter accounted for 88% of the total variance. For a total of 319 East Asian warm-temperate woody plant species, the possibility of their potential distribution in Korea was evaluated by applying the constructed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 that calculates the MESS similarity index.

과채류의 양액에 따른 품질 반응

  • 정현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4.11a
    • /
    • pp.36-47
    • /
    • 1994
  • Ⅰ. 고추의 양액재배에서 양액조성 및 환경조건에 따른 양액중 질소원의 관리요령 최근 한국 농촌에 보급되기 시작한 온실양액재배가 아직 초보적인 단계로서 양액재배기 미흡으로 첨단농업 시설원예의 확대에 장해요인으로 남아있다. 또한 현재 증가하고 있는 재배 시설과 재배기술은 거의가 외국에서 그대로 도입되어 환경 및 기후조건이 다른 한국은 그대로 적응하기 곤란한 점이 많다. (중략)

  • PDF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Aquatic Ecology in Han River Basin using SWAT (SWAT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유역의 수생태계 영향 평가)

  • Woo, So Young;Jung, Chung Gil;Kim, Jin Uk;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3-43
    • /
    • 2018
  • 수생태계는 다른 여러 생태계 중에서 가장 위험에 처해있으며,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수문 수질의 변화는 수생태계와 담수 생물다양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 생태학적으로 변화하는 세계적인 물 관리 패러다임에 따라 한강유역에서의 미래 수생태계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생태 건강성 관측자료와 수질자료,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유역의 수생태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자료로 국립환경과학원에서 8년간(2008년~2015년) 봄과 가을 2차례에 걸쳐 모니터링 한 부착돌말류(TDI), 저서형 대형무척추동물(BMI), 어류(FAI)에 대한 수생태 등급자료 및 해당 지점에 대한 수온 및 수질자료를 이용하였다. 수집한 결과를 DB(T-N, $NH_4N$, $NO_3N$, T-P, PO4P)에 대한 수생태 등급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수온 수질인자에 따른 수생태 등급을 나타내어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수생태 건강성 평가 및 예측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모형은 유역의 신뢰성 있는 유역 수문, 수질 모의 및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하여 활용되었다. SWAT 모형을 이용하여 한강유역의 다목적댐(3개), 발전용댐(1개), 다기능보(3개) 운영을 고려하였고, 237개의 표준유역으로 분할한 뒤 수문 및 수질 모의를 수행하였다. 모형의 적용성 평가를 위해 댐 및 보의 유입량, 증발산량, 토양수분, 지하수위, SS, T-N, T-P에 대하여 보정(2005~2009) 및 검증(2010~2015)을 수행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 수질 및 수생태 평가를 위해 기상청의 HadGEM3-RA RCP 4.5와 8.5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으며, 기준년(1975-2005)년에 대해 2020s(2010-2039), 2050s(2040-2069), 2080s(2070-2099)의 수생태를 평가하였다.

  • PDF

Land Cover Change Prediction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using CLUE Model (CLUE 모형과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토지피복 변화 예측)

  • Oh, Yun-Gyeong;Choi, Jin-Yong;Lee, S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46-1550
    • /
    • 2010
  • 최근 IPCC에서는 제 4차 평가보고서를 통해 대기 속 이산화탄소 농도가 산업혁명 이전에 비해 2005년 기준 약 35% 증가하였으며, 지난 1세기 동안 지구 평균기온이 $0.74^{\circ}C$ 증가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이러한 기후변화로 인해 야기된 홍수, 가뭄, 사막화, 생태계 혼란 등의 심각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자 UN에서는 1992년 세계 환경 개발에 관한 리우 데 자네이로 정상회의에서 기후변화에 관한 기본협약을 체결하여 국제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중 토지이용변화에 관한 연구는 기후변화를 야기하는 주요한 요인에 관한 연구로서 온실가스 증가와 생물종다양성, 수문학적인 변화 등을 파악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개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경제학적, 사회학적인 시나리오 조건에서 미래의 토지이용변화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경제적 요인과 과거의 토지이용변화 패턴을 고려하여 토지이용변화를 모델링 할 수 있는 CLUE(The Conversion of Land Use and its Effects) 모델을 이용하여 SRES(Special Report on Emissions Scenarios) 시나리오에 기초한 토지피복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향후 기후변화를 최소화하기위한 개발전략 수립에 있어서 정책방향을 결정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Research Status and Future Subjects to Predict Pest Occurrences in Agricultural Ecosystems Under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태계 내 해충 발생 예측을 위한 연구 현황 및 향후 과제)

  • Jung, Jong-Kook;Lee, Hyoseok;Lee, Joon-Ho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6 no.4
    • /
    • pp.368-383
    • /
    • 2014
  •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affect population density, phenology, distribution, morphological traits, reproduction and genetics of insects, and even in the extinction of insects. To develop novel research subjects for predicting climate change effect, basic information about biological and ecological data on insect species should be compiled and reviewed. For this reas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biological information on insect pests that are essential for predicting potential damage caused by insect pests in future environment. In addition, we compared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rends regarding climate change effect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subjects. Domestic researchers were rather narrow in the subject, and were mostly conducted based on short-term monitoring data to determine relationship between insect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On the other hand, foreign researches studied on various subjects to analyze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such as changes in distribution of insect using long-term monitoring data or their prediction using population parameters and models, and monitoring of the change of the insect community structure. To determine change of the phenology, distribution, overwintering characteristics, and genetic structures of insects under climate change through development of monitoring technique, in conclusion,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Also, development of population models for major or potential pests is important for prediction of climate change effects.

Evaluation of N2O Emissions by Nutrient Source in Soybean and Pepper Fields (콩과 고추재배지에서 양분 공급원별 N2O 배출량 평가)

  • Kim, Gun-Yeob;Lee, Sun-Il;Lee, Jong-Sik;Jeong, Hyun-Cheol;Choi, Eun-J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6 no.4
    • /
    • pp.680-686
    • /
    • 2018
  • Nitrogen fertilizers, hairy vetch, and slow-release complex fertilizers were applied to the soil during the cultivation of crops.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N_2O$ emission was quantitatively assessed and the GHGs reduction effect comprehensively evaluated. Among the three factors,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N_2O$ emission were mineral nitrogen>soil moisture>temperature. Yield and fertilizer utilization efficiency were highest in the slow-release complex fertilizer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_2O$ emissions between the slow-release complex fertilizer treatments and the NPK+hairy vetch treatments. Comprehensive results showed that slow-release complex fertilizers treatment has high yield and fertilizer utilization efficiency but low $N_2O$ emission.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Satellite-Based Plant Phenology and Temperature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도출된 식물계절과 기온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

  • CHOI, Chul-Hyun;JUNG, Sung-Gwan;PARK, Kyung-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1
    • /
    • pp.30-42
    • /
    • 2016
  • Climate change are known to have had enormous impacts on plant phenology and thus to have damage on other species which are interacted within ecosystem. In Korea, however,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and phenology due to the limitation of measurement data of plant phenological records. In this study, to be effective analysis of SOG(start of growing season), we used phenological transition dates by using satellite data. Then, we identified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variation of SOG through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OG and temperature factors. As a result,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SOG and April temperature, TSOGmin($3^{\circ}C$, 12day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for predicting plant phenological change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