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물계절 특성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33초

안면도에서의 초미세먼지 유기성분 주요 영향원 평가 (Estimation of the major sources for organic aerosols at the Anmyeon Island GAW station)

  • 한상희;이지이;이종식;허종배;정창훈;김은실;김용표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35-144
    • /
    • 2018
  • PMF 수용모델을 사용하여 안면도 측정소에서 2년간 측정한 초미세먼지의 유기성분의 주요 영향원을 파악하였다. 5개 또는 6개의 요인이 최적으로 나타났으며, 6개의 요인이 결과를 더 잘 해석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들 요인의 계절별 특성과 영향도 변화를 고려하여 결정한 주요 오염원은 이차유기성분(10.3%), 연소(12.0%), 자연적 생물성 기원(24.8%) 장거리이동식생소각(7.3%), 국지적 생체소각(26.4%), 장거리이동 오염원(19.2%)이다. 안면도 측정소는 배경지역의 특성인 자연적 생물성 기원, 이차유기성분과 장거리이동 오염원의 영향도가 크게 나타나면서도, 비도심의 특성인 국지적 식생소각과 연소 영향도 나타나고 있다. 이는 안면도 측정소에서는 인위적인 영향에 의한 유기성분 특성은 제한적임을 보여준다.

고성만 수질의 장기변동 특성 (Characteristic of Long Term Variation of the Water Quality at the Waters of Goseong bay)

  • 권정노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79-287
    • /
    • 2010
  • 고성만 해역의 수질 특성 및 정체성을 알기 위해 1987년~2009년간의 만내 1개 정점에 대한 표.저층 수질에 대한 장기관측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성만 해역의 수질은 chlorophyll-a, DIP, DIN을 기준으로 중영양(Mesotrophic) 단계이고, 화학적산소요구량(COD) 기준으로 해역등급 2등급으로 볼 수 있어, 고성만은 만내에 유입된 물질수지의 확산이 비교적 더딘 폐쇄성 내만임에도 불구하고 수질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기간 전 기간에 걸친 수질성분에 대해 이동평균 시계열분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한 결과 고성만 해역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용존무기인(DIP)은 축적되고, 용존무기질소(DIN)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고성만 해역의 식물성플랑크톤 성장의 제한인자는 용존무기질소(DIN)이고, chlrophyll-a의 농도는 8월의 $4.60{\mu}g/L$로 가장 높았다. 계절 평균 및 계절지수는 11월이 가장 높아 고성만의 영양염 수지는 담수 등에 의한 외부유입보다 만의 내부 즉 수산생물의 대량 양식 및 저층 퇴적물에서의 용출 등이 더 큰 요인으로 작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따라서 고성만 해역의 수질 또는 해역 관리를 위해서는 목적에 따라 동 해역의 용존무기인(DIP), 용존무기질소(DIN) 등의 영양염 수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보여진다.

서해산 김 엽체상의 미소생물과 김의 병해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II. 목포 인근 김 양식장 주변해수에서의 종속영양세균의 계절적 변화-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piphytic Microbes and the Blight of Porphyra Species from the Coastal Waters of the Yellow Sea, Korea -II. Seasonal Variation of Heterotrophic Bacteria in the Surrounding Seawater of Porphyra Farming Area Near Mokp'o-)

  • 김정희;이건형;신윤근;김중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07-313
    • /
    • 1992
  • 1990년 2월부터 12월에 걸쳐 목포 인근수역에서 김 양식장 주변해수에 분포하는 종속영양 세균의 계절적 속조성의 변화를 미생물 생태학적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해수에 나타난 종속영양 세균의 년중 분포는 $1.05\times10^2-1.46\times10^5$\;cfu/ml$ 에서 변화하였으며, 생리적 특성세균의 년중 분포는 단백질 분해세균의 경우, $5.0\times10-4.34\times10^4\;cfu/ml,$ 지방 분해세균은 $0-1.35\times10^4\;cfu/ml,$ 전분 분해세균은 $0-1.2\times10^4\;cfu/ml,$ 의 범주에서 분포하였다. 주변해수에서 분포하는 종속영양 세균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간균이 $65\%$를 차지하였고, $76.7\%$가 그람 음성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균주의 대부분은 중온성이었으며, 다양한 탄소원을 이용할 수 있었고, 염분내성범위가 넓었다. 또한 우점속은 2월에는 Flavobacterium spp., 3월에는 Acinetobacter spp., Moraxella spp., 7월에는 Vibrio spp., Chromobacterium spp., Micrococcus spp., Bacillus spp., 11월에는 Chromobacterium spp., Micrococcus spp., Bacillus spp. 등이 출현하여 조사시기와 조사정점에 따라 우점속의 차이를 보였다.

  • PDF

계절별로 조사한 조석에 따른 아산만의 수질 변동 (Semidiurnal Tidal Variation in Water Quality in Asan Bay during four Seasons)

  • 김세희;신용식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5-33
    • /
    • 2020
  • 아산만은 방조제 갑문을 통한 담수 유입과 외해인 서해로부터 해수가 유입되는 하구의 특성을 나타내는 곳으로, 반일주조형 조석을 가진 조수간만의 차가 크게 발생하는 해역이다. 하구에서 조석은 단기적인 물리·화학적 수질 특성 변화 및 생물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조석에 따른 수질 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아산만의 고정 정점에서 계절별로 2시간 간격으로 24시간 동안 조사하여 조석에 따른 수질 변동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조위에 따른 수온과 염분의 변동이 확인되었고, 염분은 특히 조위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총부유물질의 경우 표층보다 저층의 농도가 높고, 조석에 따라 농도의 차이가 특히 저층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간조 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영양염류인 아질산+질산성 질소도 조위 양상과 반대의 분포로 나타났으며, 상관성 분석 결과에서도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나머지 영양염류들도 다소 약하지만 유사한 형태의 변동을 보였고, 담수 유입의 영향을 받은 7월에는 반대 경향이 더욱 명확하게 나타났다. 유기물 및 총질소, 총인의 경우 조석 주기 동안의 시간 변동이 다소 크게 나타났고, 대체적으로 조위와 반대의 분포를 보여 주었다. 입자 유기물을 제외하고 대부분 염분과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여 무기질 영양염류와 유사하게 담수 유입이 공급원임을 암시하고 있다. 결국 아산만에서는 용존산소, pH 등 일부를 제외한 수질인자와 영양염류 및 유기물의 시간적 변동에 조석이 관여하여 단기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Perennial Ryegrass 품종의 계절적 생육특성 III. 가을철 생육의 품종간 차이 (Seasonal Growth Chrateristics of Perennial ryegrass varieties III. Varietal differences in autumn growth)

  • 김성규;이주삼;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2-18
    • /
    • 1992
  • 본 시험은 가을철 생육기에 perennial ryegrass 5개 품종을 공시하여 생육시기별 품종에 대한 생물학적 수량(지상부중+지하부중), 지상부중(엽중+경중), 근중, 엽면종, 지상부/지하부 비솔, 경수, 근장,근장/근중 및 1 경중을 조사하였으며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량구성요소는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악화되었다. 2. 가을철 수량구성요소의 비솔은 지상부 73%, 지하부 27%였다. 3. 생물학적 수량이 많았던 품종은 Tempo, Maprima 였으며 P-2, Caliente등이 적었다. 4. 수량구성요소는 Tempr 품종에서 경중, 근중, 근장/근중, 1 경중이 많았고 Caliente 품종은 엽중, 경중,엽면종, 지상부/지하부/ 비솔, 1 경중이 적었다. 5. 조사시기별 생물학적 수량은 4~5차(10월 4일 ~10월 8일 )에 가장 높았으며, 3~4차(9월 30일~10월 4일)에 가장 낮았다. 6. 품종별 생물학적수량은 Tempo는 5~6차(10월 8일 ~10월 12일), Marprima는 1~2차(9월 22일 ~9월 26일), Manhattan, P-2, Caliente는 4~5차(10월 4일 ~10월 8일)에서 많았다.

  • PDF

수질정화 및 생태서식처 조성을 위한 수변완충지대 설계 및 운영 방안 기초연구 (A Preliminary Research of Design and Operation of Riparian Buffer Zones for Reduction of Water Pollutants and Construction of Wildlife Habitat)

  • 정상준;우효섭;오종민;최이송;안홍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73-1077
    • /
    • 2006
  • 급속한 산업화로 인한 오염물질의 증가와 생물서식처의 감소는 수자원과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수자원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90년대 초부터 하수처리시설 등의 저감시설을 대폭 확충하였으나 현재까지 팔당호 등 주요상수원이 목표수질에 못 미치고 있으며 그 원인은 유입오염물질의 $22{\sim}37%$를 차지하는 비점오염원으로 지목되고 있다. 또한 생태.경관적 가치가 높은 수변지역은 각종 개발로 생물서식처가 급속도로 감소하여 종 다양성 보전 측면에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와 유사한 상황에 직면한 선진외국에서는 '하천회랑(river corridor)' 또는 '토양 및 생태시스템을 포함하는 수역과 육역의 점이(漸移)지대'를 의미하는 이른바 '수변완충지대(Riparian Buffer Zones)'의 오염정화 및 생태조성 효과 등의 연구를 통해 효율적 조성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RBZs의 일반적인 기능으로는, 유사나 오염물질의 여과 및 차단(필터링 효과), 영양염류의 저감, 하천변 식생을 통한 수자원의 정화 및 강턱의 안정화, 홍수로 인한 하천침식의 방지, 수변 생물 서식처 제공, 수변 그늘 제공에 의한 수온상승 방지, 심미 교육 위락 공간 제공 등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RBZs(Riparian Buffer Zones)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국내실정에 맞는 파일럿 규모의 시험완충지를 설계 및 조성하였다. 시험완충지는 남한강 연안에 초본류, 갈대류, 관목류, 자연식생, 혼합식생 등 5가지 'dry biotope'형태로 설치하여 1년간 계절별로 운영하였다. 또한 실험의 정량화와 다양한 조건변화를 위해 차수막, 위어, 유량.농도 조절장치, 라이시미터 등 보조시설을 설치하였고,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외국사례를 살펴보면 RBZs의 적정 폭은 수질정화기능의 경우 $15{\sim}30m$, 생태서식처 기능은 최소 90m이상으로 제시되며, 시험완충지의 수질정화효과는 SS, T-N, T-P, TOC의 평균저감율이 각각 50%이상으로 나타났다. 식생모니터링 결과, 환삼덩굴 등 우점종의 잠식속도는 약 15일이며 갈대와 갯버들의 경우 우기시 인공목책호안과 동일한 침식방지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어 식생의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지역 특성에 적합한 우점종 선정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이식된 포기거머리말($Zostera$ $caespitosa$)의 형태적 특성 및 생산성의 변화 (Changes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Zostera$ $caespitosa$ Transplants)

  • 박정임;박재영;이근섭;손민호
    • 환경생물
    • /
    • 제30권1호
    • /
    • pp.47-53
    • /
    • 2012
  • 이식된 포기거머리말의 현장 적응성을 알아보기 위해 철사고정법으로 포기거머리말을 이식후 이식된 개체(이식구)와 인근 자연군락 포기거머리말 (대조구)의 밀도, 형태적 특성과 생산성의 변화를 약 2년간 조사하였다. 대조구에서는 봄 여름에 증가하고 가을 겨울에 감소하는 밀도변화를 보였으나, 이식구에서는 조사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초기 밀도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엽초 길이, 잎 폭, 개체 길이와 엽초, 잎, 개체의 무게는 이식초기에는 대조구에 비해 이식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보였으나 약 5개월 후부터는 대조구와 이식구가 유사해졌다. 잎 생산성도 대조구와 이식구 모두 봄 여름에 증가하고 가을 겨울에 감소하는 뚜렷한 계절 경향을 보였으나, 이식초기 이식구의 개체 잎 생산은 생산성이 낮은 가을인데도 불구하고 증가하였다. 철사고정법으로 이식된 포기거머리말은 개체의 유실이 없었고, 형태적 특성으로 보아 약 5개월의 현장적응기간을 소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스마트 온실 내부온도 예측 모델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Smart Greenhouse Internal Temperature Prediction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

  • 오광철;김석준;박선용;이충건;조라훈;전영광;김대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52-162
    • /
    • 2022
  • 본 연구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기계학습 기법을 활용하여 온실 내부온도 예측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을 수행하였다. 온실 시스템의 내부온도 예측을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됐지만, 가외 변인으로 인하여 기존 시뮬레이션 분석방법은 낮은 정밀도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 개발되고 있는 데이터 기반의 기계학습을 활용하여 온실 내부온도 예측 모델 개발을 수행하였다. 기계학습모델은 데이터 수집, 특성 분석, 학습을 통하여 개발되며 매개변수와 학습방법에 따라 모델의 정확도가 크게 변화된다. 따라서 데이터 특성에 따른 최적의 모델 도출방법이 필요하다. 모델 개발 결과 숨은층 증가에 따라 모델 정확도가 상승하였으며 최종적으로 GRU 알고리즘과 숨은층6에서 r2 0.9848과 RMSE 0.5857℃로 최적 모델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온실 외부 데이터를 활용하여 온실 내부온도 예측 모델 개발이 가능함을 검증하였으며, 추후 다양한 온실데이터에 적용 및 비교분석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후 한 단계 더 나아가 기계학습모델 예측(predicted) 결과를 예보(forecasting)단계로 개선하기 위해서 데이터 시간 길이(sequence length)에 따른 특성 분석 및 계절별 기후변화와 작물에 따른 사례별로 개발 모델을 관리하는 등의 다양한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양식산 참조기 및 수조기 미성어의 계절별 성장 경향과 저수온 내성 특성 (Growth and Cold Temperature Tolerance of Cultured Juvenil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and Yellow Drum, $Nibea$ $albiflora$)

  • 강희웅;강덕영;한현섭;조기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1-47
    • /
    • 2012
  • 본 연구는 조기류(참조기, 수조기)의 양식생물학적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육상수조에서의 성장 특성 및 저수온 노출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1년 사육기간동안 수조기가 참조기에 비해 성장이 빨랐고, CF는 모두 9월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DFI는 모두 9~10월에 최대값을 보인 후 낮아졌다. 사료계수는 참조기가 2.20, 수조기가 1.34였다. 완만한 수온 하강에 대한 영향은 참조기와 수조기 미성어 모두 $4.7^{\circ}C$ 이하에서 폐사가 발생하였으며, 조기류 월동의 임계수온은 $9^{\circ}C$로 나타났다.

한국 남해의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와 수괴특성 (The Distributions of Copepods and Chaetognaths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 박주석;이삼석;강영실;이병돈;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45-252
    • /
    • 1990
  • 한국 남해에 분포하는 요각류와 모악류의 수괴 지표성종으로써의 가치를 이용하여 수괴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8년 2, 4 및 8월에 한국 남해안28개 정점에서 NORPAC net를 이용하여 수직 채집한 동물성 부유생물을 분석하였다. 요각류와 모악류중 한국 남해의 주요 수괴 지표성종으로써 Acartia clausi, Centropages abdominalis는 연안 저온성종으로, Sagitta crassa는 연안성종으로, Pleuromamma gracilis, Undinula darwini, Calocalanus plumulosus, Calanopia elliptica와 Sagitta enflata는 난류 외양성종으로, 그리고 Temora discaudata, Centropages furcatus는 난류성종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들 종의 분포와 수심 30m에서 수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Cluster분석을 실시하여 수괴의 계절적 변동을 파악하였다. 2월에는 크게 2개의 해역으로 남해 연안 해역과 남해 외양역으로 대별되었으며 4월에는 크게 4개의 해역으로 대별되었다. 8월에는 크게 3개의 해역으로 대별되었으며, 쓰시마난류가 연안으로 강하게 영향을 미침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