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명의 중기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4초

저식염 고추장 양조시 항균물질 혼합첨가의 영향 (Effect of Combined Use of various Anti-microbial Materials on Brewing of Low Salted Kochujang)

  • 박선주;김동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287-294
    • /
    • 2007
  • 소금농도를 9%에서 6%로 줄이고 항균물질로 알코올과 겨자, 키토산을 혼합첨가 하여 제조한 저식염 고추장의 숙성중의 효소활성도와 미생물상 및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숙성 중 수분활성도의 저하는 식염 9%인 대조구에서 심하였고, 숙성 중에 효모수는 증가하였으나 알코올-겨자 혼합 첨가로 효모수를 조절할 수 있었다. 고추장 숙성 중 ${\beta}-amylase$ 활성은 항균물질 첨가시 증가하였으나 ${\alpha}-amylase$와 protease 활성은 조금 감소하였다. 고추장은 숙성이 진행되면서 L차 a-, b-값이 증가하였으며 알코올 첨가 고추장이 $({\Delta}E)$값의 변화가 적었다. 적정산도는 항균물질의 첨가로 숙성 후기에 저하되었으며, 산화환원전위의 저하는 대조구에서 심하였다. 고추장 숙성 중 총당의 감소는 알코올-겨자 혼합 첨가구(EM)에서 적어 환원당량이 많았으며, 숙성 후기의 알코올의 생성은 알코올에 키토산을 혼합 첨가한 고추장(EC)에서 높았다. 고추장 숙성 중기까지 아미노태 질소는 증가하였고, 숙성중 암모니아태 질소의 생성은 알코올-겨자-키토산 혼합 첨가구(EMC)에서 적었다. 12주 숙성된 고추장을 관능 평가한 결과 색과 향기에서 알코올(E) 또는 알코올-겨자 혼합 첨가구(EM)가 좋아 저식염 고추장 제조시 알코올 또는 알코올-겨자를 혼합 첨가하는 것이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양호하였다.

Saccharomyces cerevisiae에 대(對)한 제초제(除草劑) Paraquat의 증식(增殖)저해 작용(作用) 및 효모균체(酵母菌體)의 미세구조(微細構造)의 변화(變化) (Growth Inhibition and Ultra-Structural Change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by Paraquat)

  • 박영실;김미림;최경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4호
    • /
    • pp.359-365
    • /
    • 1986
  • 대수증식(代數增殖) 중기(中期)의 S. cerevisiae에 $2{\times}10^{-3}M$의 paraquat를 처리(處理)하여 균체(菌體) 증식(增殖), 균체(菌體)의 일반적(一般的)형태 및 미세구조(微細構造)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균체(菌體)의 증식(增殖)은 Paraquat 처리(處理) 후(後) 조해(阻害)되기 시작하여 처리(處理) 6시간(時間) 이후(以後) 완전(完全)히 조해(阻害)되었다. 이 기간동안 탁도(濁度)는 0. 1에서 3.6으로, 건물(乾物) 중량(中量) 1ml당 2.75mg으로부터 3.35mg으로, 총균수(總菌數)는 ml당2 $1.14{\times}10^8cell$로부터 $2.15{\times}10^8cell$로 증가(增加)되었으나 6시간(時間) 이상(以上) 처리시간(處理時間)이 길어짐에 따라 역(逆)으로 감소되었고 사균율(死菌率)은 초기의 0.28%로부터 6시간(時間)째에는 5%, 12시간(時間)째에는 72%로 계속 증가(增加)되었다. Paraquat 처리(處理)에 의하여 균체(菌體)의 크기가 균일(均一)치 못하게 되었으며 세포벽(細胞壁)의 두께가 $0.15{\mu}m$(대조구(對照區) $0.20{\mu}m$)로 얇아지는 반면에 외측(外側)의 전자(電子)밀도가 높아졌으며 12시간(時間) 이상(以上)의 처리(處理)에 의하여 원형질막(原形質膜) 및 mitochondria와 같은 내막구조(內膜構造)가 와해되었다.

  • PDF

이화명나방유충(幼蟲)의 공간분포특성(空間分布特性) (Characteristics of the Aggregation Pattern of the Striped Rice Borer(Chilo suppressalis(Walker) during the Larval Stage)

  • 유문일;이문홍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6
    • /
    • 1985
  • 1973년부터 1976년까지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포장에서 수집된 성적(成績)을 분석(分析), 이화명나방유충(幼蟲)의 공간분포특성(空間分布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유충(幼蟲)의 공간분포(空間分布)는 세대(世代)에 차이(差異)없이 부(負)의 이항분포(二項分布)를 따르고 있었다. 집중계수(集中係數)(Green's coefficient of dirpersion)를 지표로 하였을때 유충(幼蟲)의 집중도(集中度)는 초기고집중기(初期高集中期), 과도기(過渡期), 저집중안정기(低集中安定期)의 3 단계로 진전됨이 판명되었으며 이중 과도기(過渡期)를 제외(除外)한 각(各)단계는 각세대(各世代)에서 공통(共通) 'k'에 의해 집중도(集中度)를 정의할 수 있었다. 집중도(集中度)의 단계적 변화의 원인(原因)으로 유충(幼蟲)의 주간이동(株間移動)이 판명(判明)되었으며 제1세대에서 3령유충(齡幼蟲) 제2세대에서 5령유충(齡幼蟲)이 분산(分散)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충집중도(幼蟲集中度)에 있어서의 이러한 특징(特徵)은 제2세대에서 뚜렷하였으며 제1세대의 경우 해(년(年))에 따른 변이폭이 컸다. 이는 제1세대 유충(幼蟲)의 생명계(生命系)(Life system)가 제2세대의 그것에 비해 외적(外的) 환경요인(環境要因)의 변이에 따라 크게 영향받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Day-Degree 개념에 따른 환경변이의 수렴이 검토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엽연초(葉煙草) 발효중(醱酵中) 효소활성도(酵素活性度)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ange of Enzyme Activiti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Tobacco Leaves)

  • 김호식;전재근;이서래;배효원;성현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8권
    • /
    • pp.75-80
    • /
    • 1967
  • 엽연초발효과정중(葉煙草醱酵過程中) 효소활성도(酵素活性度)의 변화(變化)를 관찰(觀察)하기 위하여 엽연초(葉煙草)를 엽초(葉草)와 각초(刻草)의 상태(狀態)로 $30^{\circ}C$$39^{\circ}C$에서 효모접종(酵母接種)에 의(依)한 발효(醱酵)와 통상발효(通常醱酵)에 의하여 20 일간(日間) 숙성중(熟成中) 매(每) 5일(日)마다 여러 가지 효소(酵素)의 활성도(活性度)를 측정(測定)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Amylase의 활성(活性)은 발효(醱酵)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계속 감소(減少)하였다. 2) Invertase 와 catalase는 발효중기(醱酵中期)까지 계속 감소(減少)하고 그 후 다시 증가하였으며 catalase의 경우 그 변화(變化)가 더욱 현저하였다. Peroxidase는 발효전과정(醱酵全過程)을 통(通)하여 상당(相當)한 활성(活性)을 보여주었고, 뚜렷한 증감(增減)이 없었다. 3) 효모처리구(酵母處理區)와 비처리구간(非處理區間)에는 효소활성(酵素活性)의 차이(差異)가 거의 없었으나 엽초(葉草), 각초(刻草) 및 발효온도(醱酵溫度)의 구분(區分)에 따라 차이(差異)가 있었으며, 그 경향(傾向)은 일률적(一律的)이 아니었다. 4) Polyphenol oxidas는 미발효엽(未醱酵葉)에서 상당한 활성(活性)을 보였으나 발효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격감(激減)하였다.

  • PDF

두부공업폐수에서 Rhodobacter capsulatus KK-10을 이용한 ${\delta}-Aminolevulinic$ Acid의 생산 (Production of ${\delta}-Aminolevulinic$ Acid in Soybean Curd Wastewater by Rhodobacter capsulatus KK-10)

  • 정대열;최양문;양한철;조홍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556-560
    • /
    • 1997
  • 광합성세균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폐수인 두부공업폐수의 정화처리와 동시에 두부공업폐수를 생물제초제인 ${\delta}-aminolevulinic$ acid (ALA) 생산용 대체기질로 이용할 목적으로 Rhodobacter capsulatus KK-10을 사용하여 COD 제거율과 ALA 생산능을 검토하였다. 사용된 두부공업폐수의 성상은 pH 4.2, COD/BOD와 BOD/N의 비율은 0.98 및 17.2, BOD : N : P의 함유비율은 10 : 6 : 4, 젖산 함유량 1,080 ppm 등으로 광합성세균의 생육에 적당한 조건이었다. 두부공업폐수에서 본 균주를 4일 동안 배양한 결과 약 94% COD 값의 감소와 1.2 g/l 균체생육을 보였으며 대수기 중기에서 ALA 탈수효소 저해제인 levulinic acid(LA)를 15 mM 첨가한 결과 55 mg/l의 ALA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ALA의 전구물질인 succinate 및 glycine과 LA를 각각 15 mM의 농도로 동시 첨가시 최대 114 mg/l의 생산량을 보였다. 상기의 물질들을 각각 15 mM 농도로 연속 첨가한 후 ALA 생성량을 검토한 결과 LA 1회와 glycine과 succinate를 3회에 걸쳐 첨가하였을 때 120 mg/l로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COD 제거율은 92%를 나타내었다.

  • PDF

동적인 개념을 적용한 알츠하이머 질병 네트워크의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the Alzheimer's disease-related network based on the dynamic network approach)

  • 김만선;김정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529-535
    • /
    • 2015
  • 지금까지 생체 네트워크 분석 연구는 정적(static)인 개념으로만 다루어졌다. 그러나 실제 생명현상이 발생하는 세포 내에서는 세포의 상태 및 외부 환경에 따라 일부 단백질과 그 상호작용만이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따라서 생체 네트워크의 구조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동적(dynamic)인 개념이 적용되어야 하며, 이런 개념은 질병의 진행 추이를 분석하는데 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인 네트워크 방법을 알츠하이머 질병에 적용하여 질병이 진행되는 단계에 따라 변화하는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의 구조적, 기능적 특징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유전자 발현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질병의 진행 상태에 따른 부분 네트워크(정상, 초기, 중기, 말기)를 구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기능적 특성 분석을 위해 유전자 군집(module)을 탐색하고, 군집별 유전자 기능(Gene Ontology) 분석을 수행했다. 그 결과, 네트워크의 특성들은 각 질병의 단계와 잘 대응되며, 동적 네트워크 분석법이 중요한 생물학적 이벤트를 설명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제안된 연구 방법을 통하여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질병유발에 관련된 주요 네트워크 변화를 관측할 수 있고, 질병에 관여하는 복잡한 분자 수준의 발생 기작과 진행 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수도(水稻)의 직파(直播) 및 이식재배(移植栽培) 조건하(條件下)의 인산(燐酸) 소장(消長)에 대(對)하여 (Studies on the Behavior of Phosphorus under the Conditions of Transplanting and Direct-sowing Culture in Rice Plants)

  • 안학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1권
    • /
    • pp.185-188
    • /
    • 1969
  • 본실험(本實驗)은 수도(水稻)에 있어서의 직파재배(直播栽培)와 이앙재배(移秧栽培) 시(時) 수도체내(水稻體內)의 인산(燐酸)에 대(對)한 소장상(消長相), 생육(生育)및 수량(收量)등을 시기별(時期別)로 비교(比較)하여 본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수 있있다, 1. 인산(燐酸) 함량(含量)은 직파재배구(直播栽培區)보다 이앙재배구(移秧栽培區)가 많았으나 활착기(活着期) 및 분얼초기(分蘖初期)까지는 직파재배구(直播栽培區)가 더 많았다. 이는 직파재배(直播栽培)는 인산(燐酸) 공급(供給)및 소비(消費)가 초기생육과정(初期生育過程)에서 일어났고 이앙재배(移秧栽培)에서는 후기(後期) 내지 중기(中期) 이후(以後)에 이루어진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고 볼수있다. 2. 수도체내(水稻體內)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활착기(活着期) 및 분얼초기(分蘖初期)에 직파재배구(直播栽培區)가 많았으나 그 후(後)는 이앙재배구(移秧栽培區)가 더 많은 수분함량(水分含量)을 보였고 초장(草長)에 있어서는 분얼초기(分蘖初期) 까지 직파구(直播區)가 더 켰으나 그후 계속하여 이앙구(移秧區)가 앞섰다. 3. 건물중(乾物重)은 분얼초기(分蘖初期)까지는 직파재배구(直播栽培區)가 많았으나 그후는 이앙구(移秧區)가 많았다. 그리고 수확량(收穫量)을 백분율(百分率)로 표시(表示)할때 이앙재배구(移秧栽培區)가 직파재배구(直播栽培區)에 비(比)하여 약(約) 15% 내외(內外)의 증수(增收)를 가져왔다.

  • PDF

한국산(韓國産) 고구마의 저장중(貯藏中)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Sweet Potatoes during Storage)

  • 김재욱;이춘영;김호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권
    • /
    • pp.33-38
    • /
    • 1964
  • 한국산(韓國産) 고구마의 전반적(全般的)인 검토(檢討)의 일단(一端)으로서 한국(韓國)의 대표적(代表的)인 장려품종(奬勵品種)인 수원(水原) 147호(號) 및 수원(水原) 118호(號)를 $12{\sim}15^{\circ}C$에서 저장(貯藏)하여 그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의 변화(變化)를 경시적(經時的)으로 측정(測定)하였다. 1. 수분(水分)의 함량(含量)은 전저장기간(全貯藏期間)을 통(通)하여 대체(大體)로 일정(一定)하며 항상(恒常) 수원(水原) 118호(號)보다 수원(水原) 147호(號)가 높은 치(値)로서 대체(大體)로 평행(平行)하였다. 2. 전분(澱粉)의 함량(含量)은 고구마 수확직후(收穫直後) 및 1월(月) 내지(乃至) 2월(月)에 약간(若干) 감소(減少)되었으나 기타(其他)의 저장기간(貯藏期間)은 대체(大體)로 큰 변화(變化)가 없이 수원(水原) 147호(號)가 수원(水原) 118호(號)보다 항상(恒常) 높다. 3. 조전분수율(粗澱粉收率)은 저장초기(貯藏初期)에 급격(急激)히 감소(減少)되고 그 이후(以後) 대체(大體)로 일정(一定)하였다가 1월초순(月初旬)에서 서서(徐徐)히 감소(減少)되었다. 4. 환원당(還元糖)의 함량(含量)은 저장초기(貯藏初期)에 급격(急激)히 증가(增加)되고 대체(大體)로 큰 변화(變化)가 없다가 3월(月) 이후(以後)에 가서 점차(漸次) 감소(減少)되었다. 5. 가용성전당(可溶性全糖)의 함량(含量)은 저장초기(貯藏初期)에 전반적(全般的)으로 증가(增加)되었다가 저장중기이후(貯藏中期以後)에는 대체(大體)로 일정(一定)하다. 6. 자당(蔗糖)의 함량(含量)은 저장초기(貯藏初期)에는 수원(水原) 118호(號)는 일단(一旦) 증가(增加)되었다가 감소(減少)되고 수원(水原) 147호(號)는 그대로 감소(減少)되었고 그 이후(以後)는 두가지 품종(品種)이 모두 서서(徐徐)히 증가(增加)되는 결과(結果)를 나타낸다. 7. 전단백질(全蛋白質) 및 가용성단백질(可溶性蛋白質)은 모두 대체(大體)로 일정(一定)한 치(値)를 보이나 저장후기(貯藏後期)에는 약간(若干) 감소(減少)되었다.

  • PDF

온실 내 백다다기 오이의 생육단계에 따른 흡광계수 변화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Light Extinction Coefficient Change Model according to the Growth Stage of Cucumber in a Greenhouse)

  • 전기범;신종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
    • /
    • 2023
  • 시설 내 작물이 이용하는 수광특성의 이해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광환경의 추적은 광합성과 증산반응 연구에서 중요하다. 또한 재배기간 동안 작물이 생장함에 따라 광이용 형태가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물의 생육을 반영한 흡광계수 추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흡광계수의 측정을 위하여 작물의 높이에 따라 수직으로 일사량계를 5개 설치하였으며, 작물의 전 생육기간(1-85DAT) 동안 1초 단위로 측정을 하였다. 초기, 중기, 후기 각각의 생육단계에 따라 최상단 광량과 최하단의 광량의 차이가 69%, 72%, 81%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LAI와 초장이 증가함에 따라 흡광계수는 감소하였으며, 지수적 감소 관계를 보였다. 두 생육지표를 모두 반영한 3차원 모델에서는 Paraboloid 식이 평균 제곱근 오차(RMSE)가 1.340으로 가장 낮았고, 결정계수(R2)는 0.968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작물 재배기간 동안 보다 정확한 흡광계수를 예측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작물의 높이에 따른 광합성 및 증산량 예측과 분석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가축분뇨 유래 액비 생산단계별 항생제 잔류 농도와 질소 성분 함량과의 상관성 평가 (Relationship assessment of the residual antibiotics and the amount of N component by different production stages of liquid fertilizer from livestock manure)

  • 류송희;김진욱;홍영규;김성철;이준형;정은아;김창규;윤영만;권오경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258-265
    • /
    • 2023
  • 축산용 항생제는 투여된 양의 일부만이 체내에서 사용되며 나머지는 모화합물 형태나 대사체로서 분뇨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러한 분뇨는 자원화 시설로부터 퇴액비로 생산되어 농경지에 살포됨으로써 농업환경에 유입되어 2차 오염 등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가축분뇨 자원화 시설의 액비 생산단계별로 6종 축산용 항생제의 잔류 농도를 비교하고 액비 성분 질소 함량과의 상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Buffer 및 SPE를 사용한 전처리 방법은 ppb 수준에서 63.4-106.7%의 회수율을 나타냈으며, 정량한계의 범위는 0.009-0.037 ㎍/L이었다. 공동자원화 시설 생산 액비의 생산단계별 잔류 항생제 농도와 규격함량 N 성분 함량과의 상관성 평가를 분석한 결과 액비화 과정 중 부숙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N 성분 및 항생제 잔류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액비 원료, 중기 및 제품 중 SMZ의 평균 잔류 항생제는 40.85, 26.17, 3.54 ㎍/L이었으며 CTC의 경우 2.32에서 1.25 ㎍/L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다른 4종 항생제 역시 생산단계별로 잔류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액비 규격성분 N은 생산단계별 함량이 0.21에서 0.096%로 감소하였다. 액비 생산단계별 잔류 항생제 농도와 규격 성분 N 함량과의 상관성 평가는 항생제 저감화 지표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