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리활성

검색결과 4,130건 처리시간 0.037초

Acteoside의 생리활성 연구

  • 임동술;이숙연;유승조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47-247
    • /
    • 1994
  • Acteoside는 일명 Verbascoside로 불리우는 Phenylpropanoid glycoside에 속하는 화합물로 이미 보고되어진 생리활성으로는 Cytotoxic effect, Anti bacterial effect, Immunosuppressive effect, C-AMP Phospaestrase의 저해활성등 여러가지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저자등은 마주송이풀의 성분을 규명하는 가운데 acteoside가 주성분임을 확인하게 되었고 이 식물이 한의서에서 관절염등에 사용되어 진다는 점에서 소염활성을, 식물을 건조할때 흑색으로 변하는데 착안하여 iridoid glycoside의 존재가 추정되어 iridoid glycoside의 일반 생리활성인 담즙분비 촉진작용과 간장보호 작용을 검색하던 중 phenylpropanoid glycoside인 acteoside에서도 담즙분비촉진 작용과 간장보호작용의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멸치 액젓으로부터 추출한 펩타이드의 항산화 효과

  • 김우재;김상무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33-134
    • /
    • 2001
  • 발효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저분자 peptide는 발효 동안이나 가수분해되는 과정에서 생산된다. 이렇게 생성된 저분자 peptide는 생물학적 활성이 크다고 보고되고 있다. 생리기능성 펩티드의 종류를 살펴보면, 동물성 유래의 호르몬류나 식물성 유래의 효소 저해물질 등 활성형으로 존재하는 현재적(顯注的) 생리 활성 peptide, 소화과정이나 식품가공 과정에서 부분 가수 분해에 의해 불활성형 단백질로부터 파생되는 잠재적 생리활성 peptide, cyclo (His-Pro) 등과 같은 가수분해 이외의 기구에 의해 생성되는 생리활성 펩타이드 등이 있다. (중략)

  • PDF

(8S, 9S, 11R)-(-)-Monocerin and (9S, 11R)-(+)-Fusarentin 4, 5-dimethyl ether의 합성과 생리활성 (Synthesis and Phytotoxic Activities of (8S, 9S, 11R)-(-)-Monocerin and (9S, 11R)-(+)-Fusarentin 4, 5-dimethyl ether)

  • 고병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5호
    • /
    • pp.402-408
    • /
    • 1994
  • 생리활성물질 monocerin의 구조상관활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8S, 9S, 11R)-(-)-monocerin과 (9S, 11R)-(+)-Fusarentin 4, 5-dimethyl ether를 합성하였는데, 합성은 benzylic anion과 유기용매에서 빵효모를 이용한 생체촉매반응으로 얻어진 (R)-aldehyde와의 축합에 의해 완성되었다. 합성되어진 화합물들은 병와 양상치를 대상으로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벼의 생리활성검사에서 monocerin은 제2전엽보다 뿌리의 신장을 더 저해하였는데, fusarentin 4, 5-dimethyl ether는 제2전엽의 신장을 더 저해하였다. 생리활성시험의 결과, monocerin의 C환은 생리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이 예견되었고, 천연물의 입체구조적 배치가 비천연물의 입체구조적 배치보다 더 높은 생물활성을 나타내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PDF

국내산 방울토마토의 생리활성 효과 (Bioactive Effects of Domestic Cherry Tomatoes)

  • 최석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67-57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방울토마토의 폴리페놀 및 플리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억제 활성을 알아보았다. Summerking, Qutiquti 및 Minichal 품종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2.56±1.88 mg/g, 12.50±1.92 mg/g 및 11.65±1.85 mg/g, 총 플라보이드 함량은 각각 4.58±1.03 mg/g, 4.19±0.40 mg/g 및 4.30±0.49 mg/g이었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측정을 통한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모두 뚜렷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암세포 억제 활성을 알아본 결과 세가지 품종 모두 정상 간세포(Chang)에 대한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고 자궁경부암세포(HeLa)에 대해서는 강한 억제 활성을 보였다. 간암세포(HepG2)에 대해서도 생육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산 방울토마토의 생리활성 식품소재로서의 유용성이 밝혀졌다.

두릅나무 선발개체의 새순 특성 및 생리 활성 분석 (Shoot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elected Individuals in Japanese Angelica (Aralia elata (Miq.) Seem.))

  • 서지애;신한나;송정호;김문섭;김영기;이진태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6-56
    • /
    • 2020
  • 봄철 새순을 식용하는 두릅나무는 기능성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어, 생리활성이 뛰어난 고품질의 두릅나무 신품종을 개발하여 고부가가치 창출 및 상업적 용도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릅나무 선발개체,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지역종 및 일본품종 등 총 46개체의 새순 특성을 조사하고, 이들 중 새순 특성이 우수한 25개체의 항산화, 항노화, 미백저해 활성 및 항염증 활성 등 생리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새순 특성을 조사한 결과, 「임산물표준규격」에 따른 등급 구분에서 46개 수집 개체 중 13개 개체가 '특'품에, 22개체는 '상'품에 해당하였다. 특히, 원주에서 선발한 개체들은 새순 굵기가 2.2±0.2cm, 새순 1개의 무게가 49.5±7.6g으로 지역종 및 일본 품종과 비교했을 때 새순 특성이 2~3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리활성 분석결과 항노화 활성, 미백 저해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은 선발개체가 일본품종과 지역종에 비해 우수한 반면 항산화 활성은 낮게 나타났다. 생리 활성이 우수한 선발개체의 일반성분 함량은 일본품종과 지역종에 비해 낮았으나, Ca 등의 무기성분 함량은 더 높았다.

  • PDF

항암성 Ginsenoside류의 합성

  • 임광식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26-226
    • /
    • 1994
  • 천연의 Triterpene이나 Steroid의 01igo당 배당체는 항균작용, 소염작용, 항암작용등의 유용한 생리활성을 가지는것이 많다. 따라서 이들 화합물군으로 부터 신의약품이 개발될 가능성이 매우크다 하겠다. 그러나 천연물은 그 작용이 약하거나 순수하게 다량 분리하기가 쉽지않다. 생리활성이 강하고, 부작용이 적은 배당체를 이용가능한 양만큼 다량을 순수하게 얻기 위하여는 합성의 기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천연의 총배당체 (배당체혼합물)로부터 aglycone을 얻고 여기에 g1ycosidation 반응으로 당을 결합시킴으로써 천연 또는 비 천연성 배당체를 합성하고 생리활성을 검토, 신물질을 창출하고자 한다. Aglycone으로는 Ginsenosides의 aglycone인 20(s)-protopanaxadiol 및 20(S)-protopanaxatriol, Soyasapogenol B, Oleanlic acid를 사용하고, 목표로하는 생리활성은 항암작용, 항군작용, alcohol 흡수 저해작용을 지향한다.

  • PDF

이팝나무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 이영남;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10.1-110
    • /
    • 2003
  •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는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육도목, 유소수라고도하며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잎을 차대용으로 사용한다고 하여 다엽수라고도 부른다. 지사, 건위, 중풍 등의 치료에 효과적이고, 강장제, 해열제, 이뇨제 등으로 사용되었다고 알려져 있는 이팝나무 잎의 생리활성을 검색하여 유용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메탄을 추출물을 각종 용매를 이용하여 분획한 후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아질산염 소거 및 항균 활성 등의 생리활성에 대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DPPH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과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reducing power의 경우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그리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가 낮을수록, 농도 의존적으로 그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항균활성은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하여 특히, Escherichia coli와 Bacillus cereus 균주에 대해 각각 16 및 18mm 로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 PDF

포도 과피에서 분리한 효모 Pichia manshurica와 Pichia terricola의 생리활성 증진효과 (Enhance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wine yeasts Pichia manshurica and Pichia terricola isolated from grapes pericarp)

  • 박상국;김동민;오계헌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35-241
    • /
    • 2017
  • 본 연구는 포도의 과피에서 분리한 효모 Pichia의 생리활성 증진효과를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두 균주는 18S rRNA 염기서열분석에 근거하여 Pichia manshurica GU-3와 Pichia terricola GU-4로 각각 동정되었다. 주사전자현미경 분석을 통해 YPD 배지에서 배양한 두 분리세균은 세포표면에 출아와 출아흔적을 가지고 있었으며 전형적인 타원형을 보여주었다. 단일 및 혼합 Pichia 배양의 생리활성을 비교 관찰한 결과, 72시간 배양한 후, 혼합배양에서 tyrosinase억제, ACE 억제, 항산화 최대활성은 각각 81.7%, 45.9%, 42.7%로 나타났다. Superoxide dismutase-유사활성은 혼합배양에서 약 30%로 측정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서 혼합배양된 Pichia 종들은 생리활성을 증진시켰으며, 생리활성을 가지는 산물 개발의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추출방법과 감마선 조사에 따른 귤피 추출물 생리활성의 변화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itrus Peel Extracts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and Gamma Irradiation)

  • 강호진;조철훈;김덕진;서재수;변명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88-393
    • /
    • 2003
  • 가공 과정에서 대량 발생하는 폐기물 중 하나인 귤피를 천연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추출방법을 달리한 귤피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감마선 조사에 의한 귤피 추출물의 생리활성 변화에 관하여도 관찰하였다. 정치추출의 경우 열수추출에 비해 초기 L$^{*}$ 값이 낮은 반면 a$^{*}$ 값과 b$^{*}$ 값이 높았으나 저장기간 또는 감마선 조사에 의해 차이가 없어졌으며, 감마선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귤피추출액의 L$^{*}$ 값과 a$^{*}$ 값은 증가하였으며, b$^{*}$ 값은 감소하였다. 전자공여능, tyrosinase 저해효과, nitrite 소거능은 감마선 조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저장기간동안 이러한 생리활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출방법(열수 vs 정치)에 따른 귤피 추출물의 생리활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감마선 조사는 천연물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경제적인 추출방법을 선택한다면 감귤가공후 폐자원인 귤피를 다양한 용도의 기능성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