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리음성학적 특성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4초

식물 유래 탄닌산의 접착능을 이용한 표면 개질 및 의료용 제형 기술 동향 (Surface Modification and Medical Formulation Technology Using Adhesion of Plant Tannic Acid)

  • 박은숙;신미경;이해신
    • 접착 및 계면
    • /
    • 제20권2호
    • /
    • pp.71-75
    • /
    • 2019
  • 탄닌산은 식물계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폴리페놀 중 하나로, 초기 탄닌산 연구는 항산화제 등과 같은 생리학적 기능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탄닌산이 단백질, DNA 등 거의 모든 생체고분자와 분자간결합을 하는 것이 밝혀짐에 따라 분자적 접착제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탄닌산의 다양한 특성들은 표면의 기능, 젖음성을 조절할 뿐 아니라 에너지 저장 및 발생 장치에 기여하고, 의학적 제재로의 다양한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분자적 접착제로서의 탄닌산과 생체고분자와의 결합, 탄닌산을 통한 표면 개질, 의료용 제재로의 활용 등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섬유소 분해균 Cellulomonas uda CS 1-1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ies on the Cellulolytic Bacterium Cellulomonas uda CS 1-1)

  • 김미석;윤민호;최우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34권2호
    • /
    • pp.99-109
    • /
    • 2007
  • 섬유소 분해균 Cellulomonas sp. CS 1-1에 대하여 종 수준으로 분류학적 위치를 규명하기 위하여 7개 type strain 균주와 함께 생리적 및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DNA 상등성 및 지방산의 조성 등을 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CS 1-1의 콜로니 형태는 circular, entire, smooth, convex하며, 담황색을 띤 $0.3{\sim}0.5{\times}0.8{\sim}1.2{\mu}m$ 크기의 간균이었다. 생리학적 특징으로서 비운동성의 통성혐기성 중온균으로서 Gram양성, catalase양성, oxidase음성, 탄수화물 발효성 등의 표현형은 Cellulomonas 속의 타종과 동일하였으며, 특히 D-ribose, raffinose, rhamnose, xylitol, acetate, L-lactate, propionate, aspartate, proline 등 조사한 모든 탄소원의 이용성이 없었으며, 반면에 sacchrose, arabinose 및 amylose의 이용성은 양성으로 판정되었다. G+C 함량 74.76 mol %, 주요 지방산과 quinone 성분은 전형적인 Cellulomonas의 12-methyltetradecanoic acid (anteiso-$C_{15:1}$)과 MK-$9(H_4)$이었으며, DNA의 상동성 비율은 C. uda ATCC 491과 70%, C. fimi ATCC 15724와 54~59 %, C. gelida 및 C. bibula와도 46~48%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CS1-1이 현재 Cellulomonas 속에 인정된 7개의 type species 중 C. uda ATCC 491 균주와 가장 높은 근연성을 나타냄으로서 C. uda에 속하는 novel species로 분류될 수 있다.

  • PDF

청각장애인을 위한 인공이식기 개발 및 임상응용 (I) (Development of Implant Devices for the Hearing Impaired and Their Clinical Applications)

  • 박상희;신중인;박현규;김희남;이호기;김종선;장선오;임덕환;오승하;정원호;변성완;이강희;최경암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03-206
    • /
    • 1997
  • 본 연구는 G7 의료공학기술개발사업의 1차년도 연구결과이다.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청각계통중 내이의 손상에 의한 감각성 난청환자에게 소리를 인식할 수 있게 하는 한국형 인공와우의 개발, 전 음성 난청환자의 음성인식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한국형 인공이소골의 개발 그리고 인공와우 시술환자에게 적합한 재활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지난 1차년도에는 코클리어의 전기생리학적 현상을 규명하고, 이식전극시스템과 그 주변장치를 설계, 평가하였다. 그리고 한국인의 성인사체의 16귀를 측정하여 한국인 체형에 적합한 인공이소골의 설계기준을 확립하였다. 또한, 인공와우 시술 후 청력회복에 필요한 한국형 재활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하여 인공와우의 coding strategy에 따른 언어분별력 조사, 유소아의 어음특성분석등을 행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차기년도에는 상용화에 근접한 프로토타잎의 제품개발과 임상실험이 진행되리라 생각된다.

  • PDF

미숙아와 만삭아 울음의 음향 및 생리학적 특성 (Acoustic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re-term and Full-term Infants' Cries)

  • 이현숙;배재연;고도흥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2권2호
    • /
    • pp.37-4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discriminate and assess those infants who appear healthy in appearance but who could face possible risk factors in the future and, secondly, to identify those infants who may have difficulties in their developmental stag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5 full-term infants (39-40 weeks) and 33 pre-term infants (34-35 weeks). The infants' voices were recorded for three minutes, for which EDIROL by Roland and a stand-type microphone made by SONY were used. This was done to discern the value of the Breath unit (B-unit) and the fundamental frequencies ($F_0$).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F0 since the pre-term infants had higher F0 than the full-term infants, showing a result of 436.4 Hz for the full-term infants and 460 Hz for the pre-term infants (p<.05) There was an average rate of 4.01 for the full-term infants and 4.02 (SD=1.69) for the pre-term infants in shimmer. For NHR, it was observed .44 for the full-term infants and .50 for the pre-term infants, thus reveal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observations. This study shows that the crying of newborn babies is related to their physical conditions and it is a sensatory response to these conditions. Furthermore, this study could be helpful for the early detection and measurement of newborn babies who look clinically healthy but could be at risk through acoustic and physiological analyses.

  • PDF

창의적 모션 타이포그라피를 위한 준 음성정보의 시각화 연구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of Paralinguistic Phonetic Information for Creative Motion Typography)

  • 박선미;남용현
    • 게임&엔터테인먼트 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61-69
    • /
    • 2006
  • 영상 문화의 발달과 함께 영상의 그래픽적인 요소인 이미지 일러스트레이션과 타이포그래피 등을 이용하여 정보 전달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모션그래픽의 중요성도 날로 강조되고 있으며 최근 의도하는 내용을 창의적인 타이포그래피로 시각화한 사례들을 TV광고, 영화 또는 웹과 같은 다양한 미디어 매체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으며 또한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모션 타이포그래피에서는 무형의 의미적 개념을 타이포그래피라는 시각적 형식을 통하여 표현하기 위하여 언어적 요소, 시간, 형태, 움직임, 색채 그리고 사운드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을 응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의사전달 과정에서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성별, 나이, 건강상태, 병적 상태, 신체 사이즈 등의 생리학적 특징을 들 수 있는데 의사전달이 시각적 형식으로만 표현되어야 하는 모션 타이포그래피에서 준언어적 음성의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다면 의도한 내용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이해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벼(oryza sativa L.)에서 분리한 Methylotrophic N2-Fixing Bacteria의 형태학적 특성 (Phenotypic Characterization of Methylotrophic N2-Fixing Bacteria Isolated from Rice (Oryza sativa L.))

  • ;박명수;이형석;김충우;이규희;;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6-53
    • /
    • 2004
  • 벼(Oryza sativa L.)에 서식하고 있는 메탄올 자화세균(methylotrophic bacteria)의 군집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3지역(청원, 익산, 밀양)의 경작지 논에서 재배되고 있는 4품종(일미, 동진, 남평, 오대) 벼의 잎, 줄기, 이삭, 뿌리 및 근권토양을 수집하였다. Methanol이 유일한 탄소원으로 첨가된 선택배지를 이용하여, 분홍색 색소체를 갖는 35균주와 무색소체의 5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선별균주들의 형태학적,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4개의 군집으로 구분하였다. 군집 I 및 IV 는 각각 nitrate와 nitrite reduction 특성에 의해 구별되었으며, pink pigment colony를 형성하는 또 다른 두 개의 군집들은 cellulase 생성유무에 의하여 구분되었다. 표준균주인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은 분리균주들과는 다른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M. fujisawaense KACC10744는 III 군집에 속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리된 모든 균주들은 urease, oxidase, catalase, pectinase 활성시험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냈으며, indole, MR-VP, $H_2S$, starch, casein 시험에서는 음성반응을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분리 균주들의 열 내성은 없었으며, $45^{\circ}C$ 이상에서는 성장하지 못하였다. 군집 I에서 두개의 분리균주가 각각 gelatin 가수분해와 methane 이용능을 나타내었으며, 대부분의 균주들은 탄소원으로 monosaccharides, disaccharide, polyols를 이용하여 성장하였다. 분리 및 선별되어진 균주들 중 6 균주만이 $86.2-809.9nmol\;C_2H_4\;h^{-1}\;mg^{-1}$ protein 범위의 질소고정능을 나타내었다.

광범위한 항균활성을 보이는 토양 유래 Streptomyces 속 방선균의 분리 및 특성 연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treptomyces spp. from Soil Showing Broad Spectrum Antibiotic Activity)

  • 박세욱;배태옥;김승범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70-274
    • /
    • 2012
  • 토양시료로부터 광범위한 항생작용을 보이는 방선균 3개 균주를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비교 분석을 통해 3개 분리주는 모두 Streptomyces 속에 속하고, S. tanashiensis, S. nashivillensis 및 S. rubiginosohelvolus와 근연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독립적인 계통을 형성하여 신종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항균활성 검정 결과 세 균주는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등의 그람 양성세균, Salmonella typhi, Enterobacter cloacae, Serratia marcescens, Pseudomonas aeruginosa 등의 그람 음성 세균, 그리고 Candida tropicalis 및 Candida krusei 등의 진균류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길항작용을 보였다. 또한 세 균주 간에는 생리학적 활성에도 차이가 나타나 각 균주가 서로 다른 항생물질을 분비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황화수소 산화세균인 새로운 Thiobacillus sp.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ew Hydrogen Sulfide-Oxidizing Bacterium Thiobacillus Sp.)

  • 차진명;이인화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52-257
    • /
    • 1994
  • 황화수소 산화세균인 Thiobacillus sp.를 전남 화순의 폐탄광수에서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그람음성의 운동성이 있고, 포자를 형성하는 간균이었으며, 환원된 무기 황화합물을 산화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호기성 통성 화학합성 영양균이었다. 분리균주는 thiosulfate를 첨가한 기본배지에서 유기물을 동화하며 성장하였고, 에너지원으로 사용된 thiosulfate는 32mM 이상의 농도에서는 오히려 기질억제 인자로 작용하여 균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최적 thiosulfate 농도는 32mM이었다. DNA의 G+C 함량은 65.0mol%이고, 세포내 주요 지방산중 비순산화 지방산은 16:1+7$_{cyc}$, 16:0과 수산화 지방산은 3-OH 12:0을 가지며, $C_{18}$의 미동정 가지형의 지방산도 포함하고 있었다. Ubiquinone system은 Q-9을 가지고 있었다. 위와 같은 생리생화학적 특성 결과로부터, 본 분리균주는 Thiobacillus sp. iw.의 새로운 종으로 판단하였다.

  • PDF

배추무름병 원인균 분리 및 특성 연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lant Pathogen that Cause Soft Rot Disease in Napa Cabbage)

  • 권영희;유아영;유종언;강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177-1182
    • /
    • 2009
  • 배추 무름병을 대상으로 식물병원균 감염모델을 확립하기 위하여 무름병변을 가진 배추조직으로부터 80개의 독립된 세균집락을 순수 분리하였다. 이들 균을 감염되지 않은 배추 잎의 주맥부위에 접종하여 24${\sim}$48 시간 만에 무름병변을 나타내는 8개의 균주를 1차 선별하였다. 다양한 미생물학적, 생화학적, 형태학적인 시험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균이라고 여겨지는 3개의 균을 최종 선정하였고 이들은 모두 그람 음성균으로 판명되었고 RB1, RB2 및 RB6로 명명하였다. API 20E시험, VITEK 2 COMPACT 분석,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등을 종합할 때 RBl 및 RB2는 Erwinia carotovorum subsp. odoriferum 아종으로, RB6는 Erwinia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아종으로 추정되었다. 이들 균들은 $30^{\circ}C$, 생리적 pH인 중성 pH에서 최적생육을 하였다. 이들은 배추의 상처 유무에 상관없이 초기 접종양과 비례하여 무름병을 유발하였으며, 상처가 없는 경우보다 상처가 있는 경우에 더욱 명확한 병변을 유발하였다. RBl의 경우 $8.0{\times}10^8$ CFU/ml, RB2 균주는 $10^9$ CFU/ml, RB6는$4.7{\times}10^6$ CFU/ml에서 최초로 무름 증상을 나타냈다. 이들 균의 숙주 특이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14종의 야채에 접종한 결과 배추, 가지 파프리카에서만 무름병변을 유발하는 숙주 특이성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실험재료들 및 감염모델은 향후 식물병원균의 감염기작해석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Alkaline protease inhibitor를 생산하는 해양유래 방선균의 탐색 및 동정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Alkaline Protease Inhibitor-Producing Marine-derived Actinomyces.)

  • 강성일;공재열;최영준;김민용;손홍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82-487
    • /
    • 2008
  • Alkaline protease는 식품 가공 공정에 있어 가공 원료의 선도 저하를 초래하거나 맛살류 제품 원료인 어류의 근육조직을 파괴하여 gel 구조를 파괴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해양으로부터 alkaline protease에 대한 저해력을 가지는 방선균들을 분리하여 그 중 저해력이 가장 높은 C12균주를 최종 선정하였다. 본 균주의 형태학적, 배양적 및 생리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포자의 크기는 $2.0\;{\mu}m$로 외형은 원통형이고, 편모가 없으며, 포자형태는 smooth하였다. ISP 9배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배지에서 잘 성장하였다. 또한 $15{\sim}50^{\circ}C$에서 잘 성장하였으며, 9% (w/v) NaCl이 포함된 배지에서도 성장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Gram 양성, citrate 음성, catalase 양성이었으며, melanin 색소를 생성하지 않았다. Starch, casein 및 gelatin 분해능이 있었으며, glucose, galactose, maltose, lactose, fructose 및 mannse 등은 잘 이용하였지만, sorbitol과 sucrose는 이용하지 않았다. 이러한 특성을 토대로 본 균주는 Streptomyces sp.로 확인되었다. 보다 정확한 균주 동정을 위하여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C12 균주는 S. thermocarboxydus와 계통진화학적으로 가장 유연관계가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