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강

검색결과 537건 처리시간 0.034초

생강 저장 중의 향기성분 변화 (Changes in Volatile Constituents of Zingiber officinale Roscoe Rhizomes During Storage)

  • 김명곤;이병은;윤세억;김영회;김용규;홍재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1호
    • /
    • pp.1-8
    • /
    • 1994
  • 우리나라 생강의 대표적인 산지인 전북 봉동 지역에서 음저장(평균온도 $15^{\circ}C$, RH 95%) 한 생생강의 저장 기간 및 저장 중 발생한 생강의 싹과 근경 중의 항기성분 SDE장치를 이용하여 향기 성분을 분리하고 GC 및 GC-MS를 이용하여 분석 검토하였다. 생생강 및 저장 생강에 함유되어 있는 essential oil의 조성은 zingiberene, $citronellol+{\beta}-sesquiphellandrene$, ${\beta}-phellandrene$, camphene, geranial, ${\gamma}-bisabolene$, ar-curcumene+geranvl acetate, ${\alpha}-pinene$, ${\beta}-gurjunene$, limonene, neral 등이 주요 향기 성분 이었고, 생강 근경은 저장 기간이 경과할수록 sesquiterpene hydrocarbons 및 oxygenated sesquiterpene과 같은 고분자 물질의 조성비는 감소하는 반면 monoterpene hydrocarbons 저분자 성분들의 조성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Zingiberene, $citronellol+{\beta}-sesquiphellandrene$과 같은 sesquiterpene류는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 추세를 보였던 반면 camphene, ${\beta}-phellandrene$, citral(neral과 geranial) 등과 같은 monoterpene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저장후 약 6개월 후 발생한 생강 싹의 향기 성분 조성은 근경과 상당한 차이를 보였는데 생강 싹의 향기 성분들은 생강 근경에 비하여 terpene hydrocarbon류보다 oxygenated terpene류가 많았다. 성분 조성에서는 생강 향기의 발현에 가장 큰 역할을 하는 citral성분(neral과 geranial)를 근경에 비해 적었으나 bornyl acetate, ${\beta}-gurjunene$, ar-curcumene+geranvl acetate 등의 함량비가 높아 생강의 부위에 따른 항기 성분 조성 pattern 또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 PDF

종합적 방제기술을 이용한 유기재배 생강의 근경썩음병 억제 (Suppression of Rhizome Rot in Organically Cultivated Ginger Using Integrated Pest Management)

  • 심창기;김민정;김용기;홍성준;박종호;한은정;김석철
    • 식물병연구
    • /
    • 제21권3호
    • /
    • pp.215-221
    • /
    • 2015
  • 본 연구는 유기농 생강재배지에서 발생한 생강 뿌리썩음병을 헤어리벳치와 난각칼슘+훈탄을 혼합 처리하여 방제하고자 하였다. 생강의 잎이 황화되고 식물체가 시드는 생강 근경썩음병의 병징은 화학비료 처리구에서 7월 1일부터 시작되었다. 수확기인 10월 2일에 생강 근경썩음병이 더욱 진전되어 생강의 줄기가 갈변하고 식물체가 고사하여 36.7-43.0%의 높은 발병율을 보였다. 반면에 헤어리벳치+훈탄+난각칼슘 처리구는 9월말까지 근경썩음병이 전혀 발생되지 않았고 10월 초순까지 발생이 지연되어 1.3-1.7%의 매우 낮은 발병율을 보였다. 토양내 Na, Fe, Cu 함량은 헤어리벳치+훈탄+난각칼슘 처리에 의해 처리 전보다 감소하였으나 유기물 함량은 31.6%로 시험 전보다 2배 증가하였다. 토양내 Pythium sp.의 밀도는 헤어리벳치+훈탄+난각칼슘 처리구($0.3-2.0{\times}10^3cfu/g$)에서 낮았으나, 화학비료 처리구($12.0-12.3{\times}10^3cfu/g$)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유기농 생강 재배지에 헤어리벳치를 녹비작물로 재배하고 토양 개량제인 훈탄과 난각칼슘을 토양에 처리하면 생강의 고질적인 병인 생강 근경썩음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생강 생육과의 관계 (Relations betwee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Ginger Growth)

  • 김동진;안병구;이진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83-294
    • /
    • 2013
  • 생강 재배지 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 변화, 생강의 양분 흡수 관계, 생강의 생육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험 전 토양과 생강 수확 후 토양 특성을 비교하면, 시험 전 토양의 전질소 함량은 $0.04{\sim}0.13g\;kg^{-1}$, 치환성 K는 $1.88{\sim}2.80cmol_c\;kg^{-1}$, 치환성 Mg는 $0.41{\sim}0.55cmol_c\;kg^{-1}$, 수확 후 토양의 전질소 함량은 $0.31{\sim}0.95g\;kg^{-1}$, 치환성 K는 $0.47{\sim}1.37cmol_c\;kg^{-1}$, 치환성 Mg는 $1.07{\sim}1.97cmol_c\;kg^{-1}$로서 전질소 함량과 치환성 Mg의 함량은 증가하였고, 치환성 K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식물 양분 중 K, Ca, Zn, Cu의 흡수량이 지상부에서, 망간의 흡수량은 지하부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K의 흡수량은 지상부에서 $63.9{\sim}72.3g\;kg^{-1}$, 지하부에서 $27.6{\sim}37.3g\;kg^{-1}$로서 특히 높은 함량을 보였다. 생강 중 K의 높은 흡수량으로 인하여 토양 중 치환성 K의 함량이 수확 후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생강의 뿌리썩음병은 저지대 및 식양토에서 높은 병발생률을 보였는데, 저지대로의 수분이동과 저지대의 배수 취약성이 병발생을 증가시키고, 토양수분 보유력이 높은 식양토 또한 병발생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뿌리썩음병 발생률은 낮게는 26.7%에서, 높게는 88.1%로 나타났는데, 생강 성숙기인 8월과 9월의 고온다습한 기후 조건도 높은 뿌리썩음병 발생의 원인으로 보인다. 생강 뿌리썩음병은 토양의 토성 및 지형 조건에 따른 토양수분의 증가, 고온다습한 기후 조건 등에 따라 발생률이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생강 재배지 선정시 지대의 경사, 토성, 배수 system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방글라데시 경사지 산림토양의 경제적 이용을 위한 생강 재배기술 개발 (Ginger Cultivation Under Multipurpose Tree Species in the Hill Forest)

  • Aslam Ali, M.;Jamaluddin, M.;Mujibur Rahman, G.M.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18-221
    • /
    • 2005
  • 본 연구는 임산자원과 유실 수자원이 복합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방글라데시 Chittagong 지역 경사지 산림토양에서 경제작물인 생강의 재배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생강의 적정 재식거리를 산정하기위해 총 4개 처리구를 다음과 같이 설치하였다. T1: 100% 채광이 가능한 나대지 (open field), T2: Gamar tree (꾸지나무) 하에서 재식거리 $90{\times}90cm$로 생강재배, T3: Guava tree (구아바 나무) 하에서 재식거리 $180{\times}180cm$로 생강을 재배하였다. 각 처리구는 3반복으로 난괴법에의해 임의배치되었다. 생강의 외관적 생육특성을 비교구 T1과 비교 할 때 Gamar 나무와 Guava 나무하에서 재배된 T2와 T3 처리구에서 양호하였다. 생강뿌리 무게는 수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성립하였다. Guava 나무가 재배되고 비교적 재식거리가 크고 ($180{\times}180cm$) 부분적으로 그늘이 형성된 T3 처리구에서 생강수량은 $23.63Mg\;ha^{-1}$로 가장 많았으며, Gamar 나무 하에서 재식거리 $90{\times}90cm$으로 밀식 재배되어 채광이 차단된 조건에서 재배된 T2 처리구의 생강수량은 $15.64Mg\;ha^{-1}$로 가장 낮았다. 결과적으로 생강은 100% 채광조건이나 채광이 완전히 차단된 조건보다는 부분적 차광이 가능한 수종 하에서 재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농축 및 건조방법에 따른 생강 추출액 분말의 품질변화 (Quality of Ginger Powder as Affected by Concentration and Dehydration Methods of Ginger Extracts)

  • 정문철;정승원;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589-1595
    • /
    • 1999
  • 생강 추출액의 저장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적정농축 및 건조방법을 선정코자 감압증류 및 RO(역삼투압)에 의한 농축과 냉동 및 분무건조방법별로 분말화한 다음 관능특성을 비롯한 이화학적인 품질특성을 비교하여 보았다. 농축 및 건조방법별 분말제품을 제조한 결과 갈변도는 감압증류법이 RO보다. 분무건조가 냉동건조보다 갈변이 덜 진행된 상태인 반면에 당 함량이나 유리아미노산은 농축방법의 영향을 인식할 수 없었으나 건조방법에 있어서는 냉동건조시 대체로 이들 성분의 손실율을 적게할 수 있었다. 효소적 액화추출액 분말은 생강 추출액 분말보다 단백질과 조회분함량이 낮은 반면 조지방 함량은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농축 및 건조 중 갈변도와 유리 아미노산의 변화율을 생강 추출액 분말보다 억제하면서 용해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생강분말에 대한 기호도 검사결과, 농축방법에서는 생강 추출액 및 효소적 액화추출액에서 RO농축한 제품이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건조방법에서는 냉동건조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효소적 액화 추출액의 경우에는 RO농축한 후 냉동건조하면 종합 기호도에 있어서 생강추출액 분말에 대한 기호도 특성과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생강나무 추출물의 암전이 억제효과 (Effect of Lindera obtusiloba extract on cancer metastasis)

  • 윤혁;이용재;서현원;박경재;고하늘;차동석;권진;전훈;김강산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05-417
    • /
    • 2012
  •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생강나무 메탄올 추출물이 암전이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생강나무 추출물의 암전이 억제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B16F10 흑색종 세포를 이용하여 금속단백분해효소의 활성 및 발현을 측정하였으며, 암세포의 이동능이나 침윤능도 조사하였다. 폐전이 동물모델에서 생강나무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활성을 최종적으로 확인하였다. 결 과 : 1. 생강나무 추출물은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 뚜렷한 금속단백분해효소의 효소활성 및 발현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NF-${\kappa}B$의 활성 억제에서 기인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2. 흑색종 세포의 이동이나 침윤 역시 생강나무 추출물 투여에 의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3. 폐전이 동물 모델에서도 생강나무 추출물에 의해 폐로 전이되 집락의 수가 감소하였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생강나무 추출물은 뛰어난 암전이 억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이성 암치료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생강다대기의 저장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nced Ginger During Storage)

  • 이명희;이영경;김경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3-2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식초, 주정 및 비타민 C 등의 첨가물을 넣어 제조한 생강다대기를 튜브용 용기에 담아 $10^{\circ}C,\;20^{\circ}C,\;30^{\circ}C$에서 각각 보관하면서 저장기간별로 미생물 수, 색도, 향기성분변화,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및 지방산의 특성변화를 살펴보았다. 생강다대기의 일반세균수는 저장기간 동안 미생물 수의 변화가 거의 없었고, 곰팡이의 경우 생강다대기에서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효모의 경우 저장초기 $5{\times}10^1$ CFU/g의 효모가 존재하였으나, 저장 2주경과 후부터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생강다대기의 저장 중 색도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그리고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색깔의 변화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생강다대기의 저장온도에 따른 향기성분은 저장초기와 비교하여 17주 경과 후 생강다대기의 향기성분의 총 함량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강다대기 중의 유리당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sucrose 함량은 감소하고, fructose 및 glucose 함량은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주요 아미노산 성분으로 glutamine, valine, alanine, asparagine, tyrosine 및 leucine이 검출되었다. 생강다대기의 지방산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초기치 지방산 함량에 비하여 조금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지방산의 조성으로 불포화 지방산보다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이 생강(生薑)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oil Moisture Content on Growth of Ginger)

  • 전장협;남정권;이경보;조수연;심재성;윤화모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9-134
    • /
    • 1997
  • 전북(全北) 봉동 재래종인 생강(生薑)을 공시(供試)하여 송정미사질양토(松汀微砂質壤土)에서 pot시험(試驗)으로 토양수분함량에 따른 생강의 생육(生育)을 조사(調査)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생강출아는 토양함수량 20%(g/g) 이상 처리구에서 파종 20~25일에 80~100%의 출아율을 보였다. 2. 생강지상부의 경장, 경태, 경수, 엽장, 엽폭 등은 토양함수량 20~25% 처리구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3. 생강지상부의 고사율은 토양함수량 25% 처리구를 기점으로 많거나 적으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4. 생강 지하부 생육 토양함수량 25%처리구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5. 생강 부패율은 토양함수량 20~25%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6. 생강 수량과 경태($r=0.971^{**}$), 경수($r=0.980^{**}$) 간에 각각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 PDF

Maltodextrin을 처리한 생강 절편의 탈수, 건조 및 열풍 건조와 동결건조된 생강과의 비교 (Dehydration of Sliced Ginger Using Maltodextrin and Comparison with Hot-air Dried and Freeze-dried Ginger)

  • 김민희;김민기;유명식;송영복;서원준;송경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46-150
    • /
    • 2009
  • Maltodextrin 30, 50, 80%의 농도로 생강 절편을 처리하여 탈수, 건조하였는데 maltodextrin 농도가 높을수록 탈수효율이 좋았으며 80% maltodextrin 처리된 생강은 최종 수분함량이 9.21%로 가장 탈수율이 좋았다. Maltodextrin 처리로 건조한 생강을 복원율, gingerol 함량, 색도, 관능평가 측면에서 열풍, 동결건조된 생강과 비교한 결과, maltodextrin 80% 처리한 생강의 복원율이 7.91 g/g로 열풍, 동결건조한 생강보다 복원율이 뛰어났다. Gingerol 함량은 maltodextrin 농도가 높을수록 함량이 많았는데 maltodextrin 80% 처리한 것이 1.19 mg/g로 가장 뛰어 났다. 색도의 L, a, b값은 maltodextrin 농도별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대조구와 비교해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관능평가에서도 색도, 향, 조직, 외관, 종합적 기호도에서 maltodextrin 처리 시료가 다른 건조 방법에 비해서 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 maltodextrin을 처리하여 탈수, 건조하는 방법이 생강 절편의 건조에 있어서 복원율 등 품질과 비용 측면에서 열풍건조나 동결건조 방법보다 우수한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부재료(매실, 마늘, 생강) 첨가된장 및 쌈장의 품질평가 (The Quality Assessment of Doenjang Added with Japanese apricot, Garlic and Ginger, and Samjang)

  • 이경임;문란주;이수진;박건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72-477
    • /
    • 2001
  • 매실, 마늘 및 생강을 첨가한 된장과 쌈장에 대한 관능검사, 항산화작용 및 항돌연변이 효과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된장의 맛, 색 및 향과 같은 항목으로 실시된 관능검사 결과 마늘된장이 전체적으로 가장 좋은 선호도를 나타내었으며 생강된장이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특히 마늘된장은 단맛과 구수한 맛이 강하고 색과 향이 일반된장보다 상승되었으나 생강된장은 쓴맛이 강하고 구수한 맛이 떨어지며 색과 향이 좋지 못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DPPH radical의 활성저해 작용은 매실된장과 마늘된장이 $IC_{50}$/가 각각 93$\mu\textrm{g}$/$m\ell$와 94$\mu\textrm{g}$/$m\ell$로 효과가 뛰어났으며 생강된장 및 쌈장의 경우도 일반된장에 비하여 높`은 활성(100$\mu\textrm{g}$/$m\ell$)을 나타내었다. Sal. typhimurium TA100에 대한 MNNG 돌연변이 유발억제 작용은 쌈장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생강, 마늘, 매실된장의 순서로 저해작용이 강했다. AFB$_1$에 의한 돌연변이 유발도 5mg/plate 첨가로 쌈장이 79%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생강, 마늘, 매실된장이 각각 75%, 55% 및 51%의 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 SOS chromotest에서 0.5% 농도에서 쌈장은 64%의 MNNG의 돌연변이 유발억제 작용을 나타내었으며 일반된장 및 매실, 마늘, 생강 첨가된장도 높은 억제작용을 보였다. 따라서 쌈장을 비롯하여 매실, 마늘, 생강을 첨가하면 항돌연변이 작용이 상승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