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강

검색결과 537건 처리시간 0.039초

발효생강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Fermented Gingers)

  • 천용기;정하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49-254
    • /
    • 2011
  • 생강은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있으나 자극적인 향미로 인하여 건강식품 소재로의 사용에는 제약을 받아왔다. 본 연구에서는 낙농제품 및 김치 유래 유산균으로 발효생강을 제조하고 요쿠르트에 첨가하여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건 생강의 첨가는 플레인 요쿠르트의 맛과 전체적 선호도를 저하시켰으며, GSt, GLa, GLm(발효 생강)의 첨가도 저하시키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에 GLp 첨가구는 저하되지 않았다. 또한 모든 발효생강은 제조공정 중 생강의 특징적 향기성분이 감소하여 이들을 첨가한 요쿠루트의 향미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으므로 GLp 첨가는 건생강을 대신한 건강식품 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생강의 생리활성 성분의 하나인 6-gingerol은 모든 발효생강에서는 발효 전에 비하여 감소하고 6-shogaol은 증가하였으나, GLp 발효생강에서는 6-shogaol 이 거의 검출되지 않은 점이 특이하였다.

분자압축탈수 방법과 탈수액을 이용한 건조생강의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of Ginger Dried using a Molecular Press Dehydration Method or Employing a Dehydration Liquid)

  • 이현석;김병삼;차환수;권기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78-486
    • /
    • 2010
  • 최적화된 분자압축 탈수건조 생강에 열풍건조, 동결건조, 재사용 탈수액을 사용한 탈수건조 생강을 비교하여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품질평가항목은 일반성분, 색도, 수분흡수지수(WAI) 및 수분용해지수(WSI), 총당, 환원당, DPPH 항산화활성 측정, gingerol 함량 측정을 통하여 생강의 품질을 비교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분자압축 탈수 건조한 생강이 열풍건조 및 동결 건조한 생강보다는 낮았지만 이는 탈수액으로 성분이 용출되는 공정의 특성의 차이로 나타나는 현상이였다. 색도에서는 분자압축 탈수 건조한 생강이 다른 건조조건의 생강보다 원물의 상태의 색을 유지하였다. 수분흡수지수(WAI) 및 수분용해지수(WSI)에서는 열풍 건조된 시료가 수분흡수지수가 가장 높았고 분자압축 탈수 건조한 시료는 표면수분을 적용한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에 비교하여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하여 판단할 때 분자압축 탈수공정을 적용한 생강이 수분흡수지수(WAI)와 수분용해지수(WSI)에서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총당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분자압축 탈수 건조한 생강이 비교적 높았다. 환원당은 열풍 건조한 생강시료가 비교적 높았으며 이는 갈변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DPPH를 통한 항산화활성 측정에서 BHA, BHT 보다 낮았지만 다른 건조방법 보다는 분자압축 탈수 건조한 생강이 항산화활성이 높았다. Gingerol 함량 측정은 건조방법에 따라한 건조한 분말을 측정하였으며 동결건조가 가장 우수하였다. 하지만 분자압축 탈수건조한 생강의 경우 다른 건조방법 보다는 낮았지만 탈수액에 형성되는 gingerol이 발생하기 때문에 활용가치와 기능성면에서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이 처럼 모든 품질평가 항목의 결과를 통하여 분자압축 탈수건조가 이전에 열풍건조와 동결건조보다 품질이 우수하고 시설과 가격에서 경쟁적으로 우수하며 활용가치와 기존의 건조방법의 단점을 보완해 주는 건조방법으로 판단이 되어진다.

증숙처리에 따른 재래생강 및 중국종자생강의 항산화 및 기능성물질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Functional Compounds in Korean Conventional and Chinese Seed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Following Steam Treatment)

  • 김수진 ;김종신 ;김민지 ;강지연 ;최현정 ;김소연 ;이하은 ;권태혁 ;강미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64-27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재래생강과 중국종자생강 간의 증숙 시간별 총 페놀화합물, 총 플라보노이드,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 gingerol, shogaol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 화합물, ABTS radical 소거능의 경우 대체적으로 증숙 6시간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다가 그 이상으로 증숙할수록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강 중에서는 재래생강인 WO-2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증숙 시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생강의 gingerol 함량은 대조군에서 WO-2가 1,351 mg/k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증숙 시간에 비례하여 gingerol의 함량은 감소하고, shogaol의 함량은 증가하였는데 증숙 8시간에서 WO-2가 생강 중에서도 가장 높았으며, 또한 종자별로도 재래생강이 중국 종자생강보다 shogaol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재래생강이 중국종자생강보다 기능성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으며 증숙 처리된 재래생강을 활용하여 다양한 식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생강 엑기스의 국산화 및 산업화를 위한 연구

  • 신애자
    • 좋은식품
    • /
    • 통권99호
    • /
    • pp.32-37
    • /
    • 1989
  • 양질의 국산 생강엑기스 제조기술 개발을 위한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시료로 사용한 생강은 전라북도 봉동산과 충청남도 서산산이며, 이들 건강은 수분이 약$10\%$, 회분 $8\~9\%$, 조지방 $4\~5\%$이다. 2) 생강엑기스의 유효성분들은 건강입자에 내포되어 있는 상태에서 추출 속도는 반응층을 통한 확산모델로 설명된다. 침출 효율을 개선하기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수적이다. 3) 건강의 입자는 $10\~20{\mu}m$정도의 전분입자가 될수록 많이 노출되도록 160목을 통과하는 작은 입자로 분쇄하면 추출효율은 최대화 할 수 있다. - 추출온도는 엑기스의 주요성분의 손실이 무시되는 최대온도, $40^{\circ}C$가 최적이다. - 160목, $40^{\circ}C$에서 추출시간 3-4시간이 최적이다. - 이같은 조건에서의 엑기스 회수율은 약 $8\%$이다. 4) 엑기스내의 비자극성 성분은 회분 $0.5\~0.8\%$, 조지방 $1.2\~1.8\%$, 조단백 $2.8\~3.5\%$이고, 유리당은 거의 침출되지 않는다. 엑기스내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다. 5) 기계건조보다 일광건조에 의한 건강에서 추출된 엑기스의 품질이 양호하며, 외국산 고급 엑기스와 품질면에서 대등한 것이다. 6) 위와 같은 결과는 TLC로 분리하고 분리된 각 Spot를 HPLS로 분석, IR, NMR, LC/MS를 사용하여 주요성분을 확인 및 정량화하였다. 이로부터 엑기스내의 주요성분은 gingerol이 약 0.38, Shogaol이 약 0.027, 그리고 Paradol이 0.03의 농도분율을 가지고 있음을 알았다. 7) 기계건조 건강으로부터 얻은 엑기스는 상온 $\~100^{\circ}C$ 범위에서 휘발 및 열분해에 의한 무게감량이 양건강에 비해 약 2.7배나 높다. 그러므로 생강엑기스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생강차 제조시 열풍건조($60^{\circ}C$, 30분)는 품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8) 생강엑기스 제조는 건강 재배방법 저장기간과 방법, 건조방법이 건강특성을 좌우한다. 9)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열분석(DSC와 TGA)방법을 도입한다면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생강 엑기스 품질을 평가하는 데에 큰 기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0) 양호한 생강차를 만들 수 있다고 선정된 엑기스는 수입 엑기스와 함께 양건강의 제품이다.

  • PDF

생강나무 추출물의 광노화에 의한 주름형성 억제 효과 (Anti-wrinkle Activity of Lindera obtusiloba Extract)

  • 박금주;박승희;김재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7-323
    • /
    • 2009
  • 지속적인 자외선 노출은 사람의 피부에 주름 형성을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 생강나무 추출물이 광노화에 의한 피부 주름 형성의 개선에 미치는 효능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사람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생강나무 추출물의 세포증식과 타입 I 콜라겐의 생합성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생강나무 추출물에 의한 세포증식과 타입 I 콜라겐의 생합성능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 33.8 %와 91.8 % 증식함을 보였다. 동물실험에서는 SKH-1 무모쥐에 일주일에 3번 UV를 조사하면서 5 % 생강나무 추출액을 국부적으로 도포하였다. 10주 후에는 각각의 무모쥐의 피부 모사판을 제작하여 관찰하였다. 광노화에 의한 주름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UVB를 무모쥐의 피부조직에 조사한 후 생강나무 추출액을 도포하여 피부 상태를 관찰하였다. 모사판을 접사카메라를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5 % 생강나무 추출액의 도포는 생강나무가 포함되지 않은 도포액을 도포한 대조군에 비해 UV에 의해 생성되는 주름 형성 억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생강나무 추출액의 도포는 광노화에 의한 피부주름 생성을 억제하고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과도한 운동 스트레스에 대한 숙성생강 추출물의 방어효과 (Protective Effects of Aged Ginger Extracts on Excessive Exercise-induced Stress)

  • 최상윤;김경탁;유귀재;김성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62-367
    • /
    • 2021
  • 생강의 운동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동결건조, 열풍건조, 숙성한 생강을 제조하여 추출물을 근육세포에 H2O2와 함께처리한 결과 생강을 숙성한 시료는 숙성하지 않은 시료에 비하여 우수한 근육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숙성생강 추출물을 마우스에 투여시 운동으로 인한 혈액내 LDH, lactate, GOT 증가를 억제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숙성생강을 섭취시 과도한 운동으로 인한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생강의 숙성 온도 및 시간에 따른 운동 스트레스 방어효과를 측정하여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최적의 숙성 조건을 확립하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의 숙성기간에 따른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ger(Zingiber officinale Roscoe) as the Ripening Periods)

  • 이명희;김경탁;이경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79-486
    • /
    • 2012
  • 실험은 생강을 항온항습조에서 10, 20, 30일 숙성시키는 방법과 $95^{\circ}C$에서 3시간 증숙시킨 후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숙성생강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생강의 외관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수분 감소로 부피가 크게 감소하였고 색이 어두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조회분 함량은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조지방 함량은 반대로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조단백질 함량의 경우에는 숙성기간에 따른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생강의 주요 유용성분인 6-gingerol은 열에 오랜시간 노출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6-shogaol은 10일 숙성생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숙성생강 중의 유리당과 유리아미노산은 숙성기간 경과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필수아미노산(threonine, glutamic acid, alanine, valine, leucine, tyrosine)이 생강 중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성 10일 생강의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 비율이 약 60:40으로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성지방산 함량은 숙성기간에 따른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유효성분과 영양성분 면에서 판단하였을 때 증숙생강과 10일 숙성생강이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생난(生卵)의 조리과학적(調理科學的)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ooking of Saengran)

  • 서혜경;이효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9-33
    • /
    • 1982
  • 맛있고 과학적인 생란을 만들기 위해서 생강의 매운맛 빼는 정도, 생강을 다지는 기구의 차이, 졸이는 시간의 변화, 생강 꿀 설탕 물 등의 배합재료와 배합 비의 차이가 있게 생란을 만들어서 관능검사를 하여 우수한 recipe와 좋은 조건을 알아내고, texurometer로 그 texture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생란을 만드는 생강의 매운맛을 빼는 방법은 칼로 다진 생강 200g에 물 600ml를 넣고 1차 가열 후 그 물을 버리고 다시 물 1400ml로 헹구어내고, 다시 물 600ml를 부어 2차 가열 후 생강무게가 130g이 되도록 짠 것이 매운맛 정도가 적당했다. (2) 졸이는 시간에 변화를 준 생란은 시간이 긴 편이 hardness와 adhesiveness는 높았으나 cohesiveness, elasticity, gumminess, cheviness는 낮았다. 졸이는 시간은 55분이 좋았다. (3) 생강을 다질 때 칼로 다져서 만든 생란이 Blender에 갈아서 만든 생란보다 hardness, cohesiveness, elasticity, gumminess, chewiness가 높고 adhesiveness만이 낮았다. (4) 꿀의 양에 변화를 준 생란은 꿀이 많을수록 hardness, cohesiveness, elasticity, gumminess, chewiness가 낮았고 adhesiveness만이 높았으므로 꿀의 양은 74g이 좋았다. (5) 생란의 이상적인 recipe는 매운맛 뺀 생강 130g, 설탕 100g, 물 200ml, 꿀 74g을 넣고 55분 가열한 것이다. 이 때의 온도는 $102^{\circ}C$, 당도는 76%였다.

  • PDF

사염화탄소 투여로 간독성을 유발한 쥐에서 생강열수추출물의 간보호 효과 (The Protective Effect of Ginger Aqueous Extracts on $CCl_4$-induced Hepatic Damage in Mice)

  • 구성욱;이근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441-446
    • /
    • 2012
  • 이 실험의 목적은 사염화탄소 투여로 간독성이 유발된 마우스에서 생강열수추출물의 간보호 작용을 알아보는 것이다. 생강투여군과 실리마린투여군은 사염화탄소(4 ml/kg)를 투여하기 전 3일동안 생강(500 mg/kg), 실리마린(50 mg/kg)을 경구 투여하였다. 혈청화학적 검사에서 생강투여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AST, ALT가 유의적 감소(p < 0.05)가 인정되었으며, 조직병리학적 평가에서도 생강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간변성 및 신장변성이 유의적 감소(p < 0.05)가 인정되었다. 이 결과 생강열수추출물의 경구투여가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간독성 마우스에서 간보호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

생강에서 뿌리혹선충과 뿌리썩이선충의 사멸을 위한 온탕침지처리 연구 (Study on Hot Water Immersion Treatment for Control of Meloidogyne spp. and Pratylenchus spp. in a Ginger, Zingiber officinale)

  • 조동훈;박교남;김양호;고경봉;박영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71-177
    • /
    • 2017
  • 식물기생성 선충인 뿌리혹선충과 뿌리썩이선충은 국내에서 생강을 포함한 수입 구근류에서 주로 검출되는 검역대상 해충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충류가 검출된 수입 생강의 경우 적절한 소독처리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폐기 및 반송처리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강에 침입한 검역 대상 선충의 사멸을 위한 식물소독처리 기준 마련을 위해 뿌리혹선충과 뿌리썩이선충을 사멸할 수 있는 온탕침지법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뿌리혹선충과 뿌리썩이선충은 각각 $48^{\circ}C$$49^{\circ}C$에서 30초간의 온탕침지 처리로 사멸되었다. $52.5^{\circ}C$로 설정된 60 L의 항온수조에 침지된 생강의 열전도 조사에서 생강 중심부와 내부 5 mm 두께의 온도가 $50^{\circ}C$까지 도달하기까지는 각각 10~32분과 6~16분이 소요되었으며 $51^{\circ}C$에서 30분 동안 온탕침지한 생강은 정상적으로 생육하였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뿌리혹선충의 유충을 생강에 인공접종 한 후 $51^{\circ}C$에서 30분간 온탕침지 하였을 때 처리한 선충이 모두 사멸되었다. 따라서 이상의 온탕침지 처리 조건은 생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두 종의 선충을 사멸시킬 수 있는 식물소독법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