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샘플링 위상 비교기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1초

DMT 기반의 xDSL 모뎀의 비동기식 샘플링 방식 (Non-synchronized Sampling Techniques for DMT-based xDSL Modems)

  • 이미현;김재권;백종호;유영환;조진웅;조용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2B호
    • /
    • pp.2141-215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DMT 기반의 xDSL 시스템의 수신단에서 발생하는 샘플링 위상 옵셋과 샘플링 주파수 옵셋에 의한 타이밍 오류를 분석한 후, 디지털 수신기에서 이를 보상하기 위한 비동기식 샘플링(full digital PLL) 방식을 제안한다. 기존의 논문에서는 DMT 방식의 xDSL 시스템에서 샘플링 위상 옵셋을 delay-rotor 특성을 이용한 주파수영역 위상 회전기로 보상하는 비동기식 샘플링 방식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수신단에서 샘플링 시 존재하는 타이밍 오류로 인해 저역통과 필터링된 수신신호는 더 이상 delay-rotor 특성이 성립하지 않아 성능이 크게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샘플링 위상 옵셋을 완벽하게 보상할 수 있는 데이터 구간의 환형 컨벌루션화(circular convolution) 방식을 제안한다. 또한 샘플링 위상 옵셋과 샘플링 주파수 옵셋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이를 보상할 수 있는 개선된 시간/주파수 혼성영역 보상방식을 제안한다. 또한 추가의 오버헤드를 사용하지 않고 샘플링 위상 옵셋과 샘플링 주파수 옵셋을 보상할 수 있는 시간영역 보상방식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DMT 방식의 ADSL 시스템에 본 논문에서 제안된 비동기식 샘플링 방식들을 적용하여 모의실험을 통해 성능을 분석하고 기존의 방식과 비교하여 성능의 우수성을 확인한다.

  • PDF

P-HEMT Gate-바이어스 튜닝에 의한 위상동기 마이크로파 발진기 특성분석 (Analysis of the Phase Locked Microwave Oscillator Characteristics on the P-HEMT Gate-Bias Tuning)

  • 정인기;민상보;이영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369-37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P-HEMT Gate-바이어스 튜닝에 의한 위상동기 마이크로파 발진기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유전체 발진기는 병렬궤환공진 형태로서 P-HEMT의 게이트단에서 전압을 제어하여 전압제어발진기 형태로 주파수를 가변시키므로서 안정된 위상동기신호를 나타나도록 하였다. 위상동기방식은 외부에서 제공되는 125㎒의 기준주파수를 SRD로 체배시켜 하모닉 신호를 이용한 마이크로파 샘플링 위상검파 방식으로 설계하였으며, 유전체 발진기의 자유발진신호와 샘플링 신호사이의 위상비교에 의하여 ±1㎒ 범위의 고안정 특성을 갖는 13.25㎓대역의 위상고정 발진기의 동기화와 저 위상잡음을 나타내었다.

  • PDF

바이어스 동조를 이용한 위상 고정 유전체 공진 발진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ase-looked Dielectric Resonator Oscillator using Bias Tuning)

  • 류근관;이두한;홍의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982-1990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PLL(Phase Locked Loop)의 궤환 성질을 이용한 Ku-band ($10.95\sim11.70Hz$)용 위상고정 유전체공진 발진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유전체 공진 발진기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중 게이트 바이어스의 변화에 대한 중심 주파수의 변화를 이용하여 전압제어 주파수 변화부를 제거하였고 위상 s비교를 위해서는 샘플링 위상 비교기를 이용하였다. 위상고정 유전체 공진 발신기는 X-band 주파수 대역의 유전체 공진 발진기 신호를 샘플링 위상 비교기에 인가하여 VHF대역의 기준 신호에 위상고정 시켜 높은 주파수 안정도를 얻는 것으로 유럽형 FSS(Fixed Satellite Service)를 위한 10.00GHz로 구현하였다. 측정 결과 본 논문의 위상고정 유전체 공진 발진기는 유전체 공진 발진기보다 높은 주파수 안정도를 보였으며, 10.00GHz 에서 출력전력 8.67dBm과 2차 고조파는 -42dBc이하이었고, carrier로 보터 10kHz 벗어난 점에서 -81 dBc/Hz 이하의 위상 잡음을 얻었다.

  • PDF

VSAT용 위상고정 유전체 공진 발진기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Construction of Phase-locked Dielectric Resonator Oscillator for VSAT)

  • 류근관;이두한;홍의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973-1981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위상 고정 루프 PLL(Phase Locked Loop)의 궤환 성질을 이용한 Ku-band(10.95-11.70GHz)용 위상고정 유전체 공진 발진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직렬 궤환형의 유전체 공진 발진기를 제작한 후, 발진기의 주파수를 전압 제어하기 위해 전압 가변 캐패시터로 작용하는 바랙터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전압제어 유전체 공진 발진기를 구현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된 전압제어 유전체 공진 발진기에 샘플링 위상비교기를이용하여 위상고정 유전체 공진 발진기를 제작하였다. 위상고정 유전체 공진 발진기는 X-band 주파수 대역의 전압제어 유전체 공진 발진기 신호를 샘플링 위상 비교기를 이용하여 VHF 대역의 기준 신호에 위상고정시켜 높은 주파수 안정도를 얻는 것으로 유럽형 FSS(Fixed Satellite Service)를 위한 10.00 GHz를 구현하였다. 측정 결과 본 논문의 위상고정 유전체 공진 발진기는 전압제어 유전체 공진 발진기보다 높은 주파수 안정도를 보였으며, 10.00 GHz에서 출력전력 10 dBm 이상이었고 carrier로 부터 10 KHz 벗어난 점에서 -80dBc/Hz의 위상 잡음을 얻었다.

  • PDF

위상고정루프를 이용한 낮은 위상 잡음 특성을 갖는 발진기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on Oscillator with Low Phase Noise Characteristic using a Phase Locked Loop)

  • 박창현;김장구;최병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847-85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부성저항 특성을 갖는 발진기 이론을 적용하여 직렬 궤환형 유전체 공진 발진기를 구성하고 바랙터 다이오드를 삽입하여 전압 제어 유전체 공진 발진기를 제작한 후, 샘플링 위상 비교기와 루프 필터를 결합한 PLL 방식을 도입하여 고안정 주파수 발생기인 위상고정 유전체 공진형 발진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설계 제작한 PLDRO는 주파수 12.05 GHz에서 13.54 dBm의 출력 전력을 얻었으며, 이때의 주파수 가변 동조 범위는 중심 주파수에서 약 ${\pm}7.6 MHz$ 이며, 전력 평탄도는 0.2 dBm으로서 매우 우수한 선형 특성 결과를 얻었다. 또한 데이터 전송시 오율특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위상 잡음은 반송파로부터 100 kHz 떨어진 offset 지점에서 -114.5 dBc/Hz을 얻었다. 고조파 억압 특성은 2 차 고조파에서 -41.49 dBc 이하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특성은 위상고정을 하기 전의 전압 제어 발진기보다 더욱 향상된 특성을 보였으며, 종전의 PLDRO보다 위상 잡음과 전력 평탄도면을 개선시킬 수가 있었다.

광대역 주파수 합성기용 YTO 모듈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YTO Module for Wideband Frequency Synthesizer)

  • 채명호;홍성용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11호
    • /
    • pp.1280-1287
    • /
    • 2012
  • 3.2~6.5 GHz 광대역 특성을 갖는 YTO(YIG Tuned Oscillator) 모듈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위상 잡음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샘플링 믹서를 이용한 offset PLL(Phase Locked Loop) 구조로 설계하였다. 이 방식은 샘플링 믹서, 위상 비교기, 루프 필터, 전류 드라이버 회로, YTO로 구성된다. 측정 결과, 4.5 GHz에서 위상 잡음은 수식으로 도출한 값과 유사한 10 kHz offset 주파수에서 -100 dBc/Hz를 얻었다. 제작된 YTO 모듈의 위상 잡음은 동작 주파수 대역에서 기존 PLL 구조에 비해 10 dB 이상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Ku-Band용 위상 고정 고조파 발진기 설계 (Design of Ku-Band Phase Locked Harmonic Oscillator)

  • 이건준;김영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9-55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아날로그 위상 고정 루프(PLL: Phase Locked Loop)를 이용한 무선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용 위상 고정 고조파 발진기(PLHO: Phase Locked Harmonic Oscillator)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이 고조파 발진기는 Ring 공진기, 주파수 동조를 위한 바랙터 다이오드 그리고 위상 고정 루프 회로로 구성된다. 발진기의 8.5 GHz의 기본 주파수는 위상 고정 루프를 위한 귀환 신호로 이용되고 17.0 GHz의 2차 고조파는 출력으로 이용되므로 위상 고정 시스템에서 위상 비교를 위한 주파수 분배기를 한 단계 줄일 수 있다. 위상 비교기로는 샘플링 위상 검출기(SPD: Sampling Phase Detector)를 사용하여 위상고정 루프 회로를 간단히 하였다. 위상고정 고조파 발진기의 발진 출력은 17.0 GHz에서 2.17 dBm, 기본 주파수와 3차 고조파 억압 특성은 각각 -31.5 dBc, -29.0 dBc이다. 위상잡음은 각각 -87.6 dBc/Hz at 1 kHz와 -95.4 dBc/Hz at 10 kHz이다.

도약 FM/BFSK 시스템에서 블라인드 도약 위상 추정기 (A Blind Hopping Phase Estimator in Hopped FM/BFSK Systems)

  • 성진숙;정민아;김경호;이성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7호
    • /
    • pp.573-58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도약 대역확산 시스템에서 도약에 대한 사전 정보 없이 수신신호를 복조 할 수 있는 도약 위상 추정기를 제안하였다. 복조 과정은 첫째 샘플링 된 수신 신호를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를 한 후 도약 대역 내에 존재하는 신호 중 가장 큰 크기를 갖는 주파수 성분을 선택한다. 둘째 검출된 신호는 차곱 과정과 다운샘플링을 통하여 기저대역신호로 변환된 후 도약위상 추정기에서 도약 주파수에 의해서 발생된 도약 위상을 추정한다. 제안된 위상 추정기의 수학적 모델에 대한 성능 분석을 위해 확률밀도함수 및 분산 성능을 구하고 모의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정밀한 반주기 실효값 계산을 위한 위상각 동기화 알고리즘 (Phase Angle Synchronization for Accurate Calculation of Half-cycle RMS Value)

  • 함도현;이국선;송승호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1-11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코드에서 요구하는 반주기 실효치 계산 방식을 국내 계통에 적용하기 위한 실효값(RMS) 계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정확한 실효값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국내 계통 60Hz에 적합한 샘플링 주파수가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존의 실효값 계산 알고리즘과 제안하는 실효값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 및 실험데이터를 제시하고, 속응성 및 오차 특성을 비교 제시한다.

  • PDF

Fractionally Spaced 등화기를 위한 Modified CMA (Modified CMA for Fractionally Spaced Linear Equalizer)

  • 김한경;백홍기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제13회 신호처리 합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01-604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MCMA(modified constant modulus algorithm)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듬을 고속 데이터 통신에 적합한 FSE(fractionally spaced equalize.)에 적용시킨 FS-MCMA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FS-MCMA는 위상 복원문제와 같은 CMA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M-ary QAM 신호의 경우 다중레벨로 등화하는 기존의 MCMA 이용하였고 주기 T의 간격으로 수신되는 심볼을 2배 이상으로 샘플링하는 기법, 즉 FSE를 도입하여 높은 테이터율을 요구하는 멀티미디어 통신에 적합하도록 구성하였다. 컴퓨터 모의 실험을 시행한 결과를 residual ISI 측면에서 기준을 정하고 비교하였는데 4dB정도의 성능향상을 보였으며, 또한 기존의 CMA보다 154dB 정도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