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색 변환

Search Result 367,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색변환 양자점을 포함하는 고분자 정공 수송층을 가진 청색 유기발광소자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

  • Jeon, Yeong-Pyo;Park, Seong-Jun;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501-501
    • /
    • 2013
  • 유기발광소자는 빠른 응답속도, 넓은 시야각, 얇은 두께의 특성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기술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높은 색순도와 고효율의 장점을 가지는 양자점을 사용한 유기발광소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양자점을 이용한 유기발광소자는 용액 공정이 요구 되기 때문에 유기물 박막 위에 양자점을 균일하게 도포하기 어렵다. 또한, 양자점은 수분과 산소에 빠르게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색변환 양자점을 포함하는 고분자 poly (N-vibylcarbazole) 정공수송층을 용액공정으로 형성한 후 발광층, 전자 수송 및 주입층과 음극을 차례로 진공증착하여 색변환 양자점을 포함하는 정공수송층을 적용한 청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색변환양자점과 청색 발광층으로 a 1,4-bis (2,2-diphenylvinyl) biphenyl를 사용하여 제작된 유기발광 소자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색변환 양자점을 포함한 청색 유기발광소자의 경우 정공이 양자점에 포획되는 확률이 낮기 때문에 높은 전류밀도와 휘도를 나타냈으며, core/shell 색변환 양자점을 포함한 청색 유기발광소자는 정공이 양자점에 포획되는 확률이 높기 때문에 낮은 전류밀도와 휘도를 나타냈다. 한편, core/shell 색변환양자점을 포함한 청색 유기발광소자의 경우 색변환 양자점을 포함하는 청색 유기발광소자에 비해 발광층에서 발광된 빛을 잘 흡수하여 높은 색변환 효율이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양자점을 색변환층으로 사용한 청색 유기발광소자의 색변환 효율 증가와 발광효율 향상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PDF

Automatic Color Transformation of Character Using Color Transformation Matrix in 2D Animation (2D 애니메이션에서 색 변환행렬을 이용한 캐릭터의 자동 색 변환)

  • Jung, Hyun-Sun;Moon, Yong-Ho;Kim, Jae-Ho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0 no.10
    • /
    • pp.1240-1250
    • /
    • 2007
  • We introduce technique for color transformation of characters between scenes in 2D animation. As colors are perceived differently owing to light source, so character colors like clothes, skin and so on are colored differently owing to atmosphere of each scene. This paper is made an attempt to solve mathematically color assignment of characters which has been worked by hand so far. We can find a matrix for color transformation of characters by appling principle of color stimulus to our algorithm. In scenes of existing 2D animation, basic colors and colors under light source of characters are used for the matrix. And matrixes are obtained for each scenes of 2D animation. If we are known basic colors of some characters, you can derive character colors under other light source environments using the matrix. Therefore, this paper describes automatic color transformation of characters between animation scenes.

  • PDF

Transformation of Illuminant Chromaticity for Arbitrary Color Temperature (임의 색온도에 대한 조명 색 변환기법)

  • Kim Jeong-Yeop;Kim Sang-Hyun;Hyun Ki-Ho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7 no.10
    • /
    • pp.1370-1377
    • /
    • 2004
  • The still image and video of the same scene taken under various condition show different color, and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capture condition is scene illuminant. The average color of contents is determined along the color temperature of scene illuminant, the method for conversion of scene illuminant chromaticity is needed. In this paper, the method for converting the scene illuminant chromaticity from arbitrary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to another arbitrary one is proposed. Conventional method only defines several set of color temperature conversion that can be evaluated as representative ones. The proposed method has the merit of calculating the conversion function directly from arbitrary color temperature to another one.

  • PDF

형광체를 사용한 색변환층을 가진 백색 유기발광 소자의 메커니즘 분석

  • Song, U-Seung;Kim, Dae-Hun;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524-524
    • /
    • 2013
  •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전색 디스플레이나 조명용 광원으로 쓰일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보통 청색, 녹색 및 적색을 가지는 발광층을 적층하거나 세 가지 색을 가지는 혼합하여 단일 발광층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작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sol-gel 방법으로 제작된 무기물 형광체를 색변환 층으로 사용하였고, 청색 유기발광소자를 광원으로 하여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청색 유기 물질을 발광층으로 사용하여 제작한 청색 유기발광소자를 광원으로 사용하였고 다른 온도에서 소결된 무기물 형광체를 색변환층으로 사용하여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여 발광 특성을 관찰하였다. 다른 소결 온도에서 형성된 무기물 형광체의 주사 전자현미경 측정과 X-선 회절 층정을 통해서 무기물 형광체의 형성 및 표면 형태를 관찰하였다. 제작한 무기 형광체를 색변환층으로 사용하여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고, 인가한 전압에 따른 전계발광 특성 변화를 통해서 색변환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 PDF

Color Transfer in Painting Images Using Separation of Saturation (채색 분리를 이용한 그림 영상에서의 색변환 기법)

  • Kwak, Jeong-Min;Park, Chan-Woo;Moon, Young-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505-509
    • /
    • 2007
  • 색 변환(Color Transfer) 기법은 컴퓨터 비전 및 영상 처리 분야에서 점점 더 많은 연구가 되고 있는 분야이다. 이는 참조 영상의 분위기를 원본 영상에 반영하는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채도가 낮은 색상에서 나타나는 잘못된 연산 결과를 해결하기 위해 채도 문턱치에 따라 유채색과 무채색으로 분류하여 인덱싱 하고, Lab색 모델에서 색상 채널인 a, b를 사용하여 그림 영상에서의 색 변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영상의 화소들의 채도 문턱치를 이용하여 유채색과 무채색으로 분류하는 단계, 분류된 화소들의 색 특성을 이용한 cylindrical metric를 이용한 인덱싱 하는 단계, 각 인덱스 내의 위치적 표준편차와 화소수를 이용하여 인덱스들의 우열을 가리는 단계, 인덱스들의 우세한 순서로 Lab 색 모델에서 a 채널과 b 채널을 이용하여 색 변환하는 단계 등 4단계로 구성된다. 실험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무채색과 유채색이 잘 분류되어 인덱싱 되었음을 보이고 원본 영상의 색이 참조영상의 색으로 잘 변환된 것을 보인다.

  • PDF

CdSe/ZnS 양자점과 무기 형광체를 색변환층으로 이용한 백색 유기발광 소자의 특성 연구

  • Kim, Gi-Hyeon;Jeon, Yeong-Pyo;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302.2-302.2
    • /
    • 2014
  • 유기발광소자는 고휘도, 넓은 시야각, 빠른 응답속도, 높은 색재현성, 좋은 유연성의 소자 특성 때문에 디스플레이 제품에 많이 응용되고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 저소비전력, 고휘도, 소형화 및 장수명의 장점을 가진 유기발광소자의 상용화가 진행되면서 차세대 디스플레이소자로서 관심을 끌게 되었다. 최근에는 고효율의 장점을 가지는 무기 형광체와 양자점을 이용한 백색 유기발광 소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색 안정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적색 빛을 방출하는 CdSe/ZnS 양자점과 녹색 빛을 방출하는 YAG:Ce3+ 무기 형광체를 포함하는 polymethylmethacrylate (PMMA)를 색변환층으로 이용하여 청색 유기발광소자에 결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CdSe/ZnS 양자점과 YAG:Ce3+ 무기 형광체의 광흡수대역은 250 nm에서 500 nm이므로 470 nm의 청색 발광소자의 청색 빛을 흡수하여 색변환층에서 재 발광할 때 색 변환 결과를 무기 형광체와 양자점의 여러 가지 혼합 비율에 따라 전계발광 스펙트럼을 통해 관측하였다. 또한, 전압을 12 V 에서 16 V까지 변화하였을 때 색좌표가 (0.32, 0.34)에서 (0.30, 0.33)으로 적은 변화를 보여 높은 색안정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양자점과 무기 형광체를 혼합한 색변환층을 이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색 변환 효율 증가와 색안정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PDF

Color Transformation of Images based on Emotion Using Interactive Genetic Algorithm (대화형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감정 기반 영상의 색변환)

  • Woo, Hye-Yoon;Kang, Hang-B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7B no.2
    • /
    • pp.169-176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color transformation of images based on user's preference. Traditional color transformation method transforms only hue based on existing templates that define range of harmonious hue. It does not change saturation and intensity. Users would appreciate the resulting images that adjusted unnatural hue of images. Since color is closely related to peoples' emotion, we can enhance interaction of emotion-based contents and technologi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define the range of color of each emotion for the transformation of color and perform the transformation of hue, saturation and intensity. However, the relationship of color and emotion depends on the culture and environment. To reflect these characteristics in color transformation, we propose the transformation of color that is based on user's preference and as a result, people would be more satisfied. We adopt interactive genetic algorithm to learn about user's preference. We surveyed the subject to analyze user's satisfaction about transformed images that are based on preference, and we found that people prefer transformed images to original images. Therefore, we conclude that people are more satisfied with the transformation of the templates which reflected user's preference than the one that did not.

무기물 색변환층 두께 변화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스펙트럼에 주는 영향

  • Kim, Seok-Hyeon;Jeong, Hwan-Seok;Chu, Dong-Cheol;Kim, Tae-Hwan;Gwon, Mye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274-274
    • /
    • 2011
  •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일반적으로 적색, 청색 및 녹색의 삼원색을 혼합하여 제작하거나 청색 유기발광소자의 빛을 일부 변환시켜 적색 혹은 녹색을 발생하여 백색을 발광하는 구조를 가진다. 백색을 구현하기 위한 삼원색 조합법은 소자의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단가가 상승하며 제작 된 백색 유기 발광 소자내의 발광 영역을 담당하는 물질의 빠른 열화 때문에 발광 스펙드럼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색변환 방법은 최적화된 청색 유기발광소자에서 발광된 빛을 색변환 무기물 형광체 층에 의해 재흡수하고 재발광하는 과정에 의해 빛이 발생되기 때문에 색변환 무기물 형광체 층을 사용한 유기발광소자는 구조가 단순하며 무기물 형광체가 외부노출에 안정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다.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효율이나 휘도를 개선하면 소자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적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에 일반적으로 제조하던 방법인 고상반응법에 의한 형광체입자의 크기는 ${\mu}m$ 이상이며 형태도 불규칙한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졸겔방법으로 녹색 무기물 형광체 $Zn_2SiO_4:Mn$를 제작하였고 청색 형광 유기 발광 소자에 적용하였다. X-선 회절측정 결과는 형성된 녹색 무기물 형광체내의 Zn 이온이 도핑된 Mn 이온에 대체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제작된 진청색 형광 OLED의 전계발광 스펙트럼은 461nm에서 발광 스펙트럼을 나태내고 녹색 무기물 형광체는 470 nm에서 여기되어 Mn 이온의 $^4T_1-^6A_1$ 전이에 의하여 526 nm에서 발광을 한다. 이 과정에서 색변환층의 두께가 0.3 mm 이상일 때 461 nm의 발광스펙트럼의 세기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이 결과는 제작된 녹색 무기물 형광체를 진청색 유기발광소자와 결합하고 색변환층의 두께를 변화하여 제작된 유기발광소자의 발광색을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Generation Method of Color Gamut Mapping Look-up Table Uniformly Selected in the CIELAB Color Space (CIELAB 색공간에서 균일한 분포를 갖는 색역사상 참조 테이블 생성 방법)

  • 오현수;이철희;곽한봉;서봉우;안석출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4 no.4
    • /
    • pp.316-323
    • /
    • 2001
  • Gamut mapping is a technique that acts on cross-media color reproduction to transform a color between device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appearance or preserving the appearance of an image. Gamut mapping essentially produces color conversion error which depends on the gamut mapping method, source and destination devices, and sample points for gamut modeling. For color space conversion between monitor colors and printer colors, empirical representation using sample measurements is currently widely utilized. Color samples are uniformly selected in the device space such as CMY or RGB, represented as color patches, and then measured. However, in the case of printer, these color samples are not evenly distributed inside the printer gamut and the color conversion error is increased. Accordingly, this paper introduces a equally distributed color sampling method in CIELAB space, a device- independent color space, to reduce color conversion error, and the performance is analyzed via color space conversion experiments using three-dimensional interpolation.

  • PDF

Modified Local Color Transfer with Color Category Map (컬러 카테고리 맵을 이용한 수정된 지역적인 색변환)

  • Ha, Ho-Gun;Kyung, Wang-Jun;Kim, Dae-Chul;Ha, Yeong-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9 no.3
    • /
    • pp.67-73
    • /
    • 2012
  • Local color transfer is the process of assigning a given color to a local region in a target image. The local region that contains the given color has to be segmented. Conventionally, the segmentation of the corresponding local region in a target image is based on the color distance. The region which is the closest in color distance is separated. However, since the close range of color distance separating a given color from target image is ambiguous and uncertain, color distortion is often generated around a separated local region. Therefore, this paper addresses the problem of segmentation in a local color transfer. To prevent color distortion, a modified color influence map is proposed with color categories. First, the target image is roughly segmented using a color category map, which groups similar colors in color space. It restricts the color transfer to a specific color category according to a given color. Second, modified color influence map assigning different weight to lightness and chroma, respectively, is used instead of Euclidian color distance. Then, by combining a modified color influence map and color category map filtered with anisotropic diffusion, a local region that contains a given color can be segmented more strictly than conventional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