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색채디자인

검색결과 563건 처리시간 0.028초

학교 교실의 용도별 색채분포 및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Examination and Color Planning in the Different Type of Classroom)

  • 김은정;김기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5-6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e the color planning in the different type of classroom to establish interior color planning. This study also uses environmental planning and practical use of basic data for color planning to future school facilities.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ed. The primary school and middle school classrooms as well as the open space classrooms floor color recommended of brown and the primary school wall color is light yellow, middle school wall color is light yellow and brown. The high school classroom color is recommended brown and wall color to light yellow and green system. The recommended floor color of primary school which includes in computer room and language study room, library of the multi-purpose of media room recommended are gray, brown and pink. The recommended wall color in primary school is light gray. The middle school floor color propose gray and light brown and wall recommended color is light brown, gray, ivory with the high school the computer room, language study room and library. The floor color is recommended gray, green and the wall propose blue. Moreover, recognize that importance of color effectiveness in school interior facilities considering with Interior covering material in class room.

  • PDF

서울고등학교(高等學校) 외부색채(外部色彩)디자인 (An Exterior Color Design for Seoul High School)

  • 주서령;조성희;김인혁;김문덕
    • 교육시설
    • /
    • 제10권1호
    • /
    • pp.5-14
    • /
    • 2003
  • This study is performed to improve the elevation design of schools by the tools of color. Color is a very powerful design tool, one that is capable of altering the perception of a building or a space. The present form and material of elevations of schools are very monotonous and uniform. Therefore students do not have attachment for schools. And also in neighborhood, schools do not function as a good landmark. This study aims to develop good sample of exterior color design for schools and verify the guideline of color design for schools which was went ahead of this study. Through the survey of color preference and color image preference of the students of Seoul High School, the attitude of students to color were considered in design. The exterior color design for Seoul High School was realized.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xterior color design can improve the image and plasticity of present schools. But within the monotonous character of present elevation, the effect of color design will be limited. Therefore to make a effective project, exterior color design should be accompanied with the alteration of elevation to make a plastic element of elevation.

구민회관의 실내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Planning of the Community Center)

  • 김명선;주서령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41호
    • /
    • pp.226-235
    • /
    • 2003
  •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ty centers has been increased throughout the decade. With the interest on the centers, the quality of the architectural design of the centers have been much improved. But the importance of the interior design and color' design of the centers have been ignored. It is quite sure that the quality of the interior design impact on the satisfaction degree of the users. And color is the important element which can control the quality of the interior design economically. This study surveyed the three community centers in Seoul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 color usages. And to consider the user's need, and preference in color design, this study performs the questionnaire about the color image and color pallette preference of the users and interior design professionals. Mainly highly bright and low chromatic YR colors were used, giving rigid and monotonous atmosphere. The most preferred color image were warm, bright and secondly friendly, simple, soft, open. And the preference for pallette were various but we can find the difference of color preference and color combination type according to the user's group.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s the basic guidelines for color design, such as ideal color Image and color and color combination type and color pallette. This proposals can be applied as a basic guideline for color design of the community centers.

섬유 패턴 디자인의 요소 분석체계 개발 가능성 (A Exploration of Pattern Design-Style Description System)

  • 조현승;지상현;이주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 논문집
    • /
    • pp.237-242
    • /
    • 1998
  • 섬유 패턴 디자인의 감성 예측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전 단계로서 패턴 디자인 요소의 분석체계 개발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검증하였다. 먼저 패턴 디자인의 최소 단위를 pattern primitive, 최소반복단위를 Repeated Pattern Unit로 개념화 한 후 'PP들의', 'RPU의',그리고 'RPU간의 특징'이라는 세개 영역에 걸쳐 24개의 지각적 특징들을 추출하였다. 24개의 지각적 특징들은 예비조사를 통해 섬유패턴 디자인을 충실히 기술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출된 지각적 특징들을 'PP의 모양에 의한 돌출성', 'PP의 색채에 의한 돌출성', 'PP들 모양의 다양성','PP들의 변화도', 'PP들 색채의 다양성', 'PRU의 돌출정도', 'PRU의 다양성'이라는 4개의 최상위 특징으로 수렴시키는 방식으로 위계화 하였다.

  • PDF

초등학교 실내 색채계획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oor Color Planning in Elementary School)

  • 김인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호
    • /
    • pp.76-82
    • /
    • 1999
  • It is propelled that this study recognizes the significance of environmental color derived from counteraction of learning activities due to the random use of indoor color in elementary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y analysing low the elementary school's indoor color environment is effected upon the child's patterns of activity and consciousness structure, through questionaire survey the data need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indoor color in elementary school.

  • PDF

건강을 위한 실내환경 색채 제안 연구 - 웰빙의 의미를 중심으로 - (The Study about the Color of the Interior Environment for Health)

  • 홍우전;김경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50-253
    • /
    • 2006
  • The trend of well-being image in this 21st century has been developed by issuing 'Health and Long life' integrating the quality. We are characterize the colors of the nature with emotional feelings of Korean people with respect to Korea four seasons and adapt it into choosing subtle colors in interior design for the good space of well-being image.

  • PDF

아파트 주거공간에서의 감성적 색채계획 활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of emotional color plan on apartments)

  • 윤재은;정현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8-52
    • /
    • 2002
  • Nowadays, the color of the interior effects people's thought, behavior and even the psychological state and this led to the presence of emotional design. The color is perceived as the main image of the apartment, and if applied from the early state of designing it can create a more rational and emotional inter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motional factors by color taste characteristic and the application to living space. The living space of apartments will express people's emotion more aggressively and variously in the coming years.

  • PDF

그린 어메너티의 공간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2016년~2018년 메종 & 오브제(Masion & Objet) 세계 박람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Space Design of Green Amenity)

  • 홍윤주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0호
    • /
    • pp.45-61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공간을 이루는 모든 것을 보여주는 '메종 & 오브제' 전시회의 최근 경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그린어메너티'가 적용된 사례를 찾아보았다. 형태적 측면에서 미니멀한 공간을 곡선의 형태로 채웠고 점차 자연을 재현하는 디자인이 제작되었다. 점차 새롭게 맥시멀리즘이 대두되어 디자인에 장식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공예적인 제품이 많이 나타났다. 재료적 측면에서는 자연주의 감성이 대세로 자연적인 목재소재가 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재료는 다양한 이질재료와 결합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완성하며 자연적 요소를 공간 안에 형상화하였다. 색채적 측면에서는 2016년은 테마가 '와일드 (Wild)'로 야생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볼 수 있었다. 나무의 갈색과 초록색을 중심으로 자연의 다채로운 색채를 보여주었다. 2017년의 '사일런스 (Silence)'는 핑크 컬러의 특징이 돋보인다. 또한 따뜻한 느낌의 적갈색 계열의 가구가 제작되었다. 예전엔 황동이나 로즈 골드가 유행이었다면 2017년은 골드나 실버 색상의 제품이 더 대세를 보였다. 2018년은 '쇼룸(Show-Room)'이 테마로 대표 색채는 초록색으로 노랑, 분홍과 함께 새롭게 디자인에 영향 주었다.

섬유컬러 그루핑 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Grouping System to Fashion)

  • 이재정;정재우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27-38
    • /
    • 2004
  • 디자이너의 감성적$.$직관적 의사결정을 객관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컬러 코디네이션 지원 모델과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전 단계로 디자이너의 색채 사고 과정에 있어서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상호간의 색채 커뮤니케이션을 도울 수 있는 컬러 그루핑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에 관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디자이너들의 색채 업무 효율을 높이고 디자이너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도울 수 있는 컬러 그룹의 제정과 각 그룹별 대표어휘의 필요성을 제기하여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그루핑 방법은 고바야시와 히데끼 치지와, 그리고 엘리스 웨스트게이트와 마사 질의 이론을 참고하여 4개의 컬러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분류 방향은 색조별(톤별) 색채체계에 의한 분류가 정량적 표준 색표에 의한 분류보다 디자이너의 감성을 표현하는데 유리하다는 전제하에 섬유 색채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색조별(톤별) 색채 체계를 근간으로 하였다. 각 그룹별 대표 어휘는 브라이트 , 파스텔 , 딥 , 뉴트럴로 추출$.$정의하였다. 각 그룹별 색조 개념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브라이트(Bright) - 순도 높은 기본 색상군 파스텔(Pastel) - 기본 색상 군에 화이트가 혼합된 색상군 딥(Deep) - 기본 색상 군에 블랙과 회색이 혼합된 색상군 뉴트럴(Neutral)- 기본 색상군의 성격이 드러나지 않는 중도색. 분류된 각 그룹의 추정 색상은 정시화의 색채시계와 색채 삼각형에 배치하여 색채 지각 공간에서의 분포 개념을 시각화함으로서 각 그룹별 영역 관계를 검증하였다. 4개의 대그룹으로 나누어진 색채군은 후속 연구에서 이루어질 선호 색채 수집 상황에 따라 몇 개의 소단위로 나누어지게 되며 각 소그룹의 색채군은 각 단위별로 배색 스토리를 전개할 수 있다. 또한 그룹과 그룹간의 크로스 오버 코디네이션이 가능해 짐에 따라 디자이너들은 이제까지의 개별 색상 조합의 색채 사유 패턴에서 벗어나 그룹별 색채 사유가 가능해짐으로서 디자이너들의 색채 사유 패턴의 혁신을 도모할 수 있다.

  • PDF

공공도서관 환경색채의 선호경향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lor Environment of Preference Tendency in Public Library - Focused on Busan City -)

  • 이민재;박혜경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24권
    • /
    • pp.321-332
    • /
    • 2016
  •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역할과 기능에 대한 환경이 높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공공도서관의 사용자의 만족도 및 지원성을 높여주는 도구로서 적절한 환경색채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이 추구하는 역할에 맞춰 지원환경을 높여주는 색채환경을 파악하고 공공도서관 사용자의 색채선호경향을 파악하여 공공도서관 색채환경의 질적 개선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하여 색채의 기능 및 역할, 환경색채에 대하여 고찰하고, 공공도서관 현황분석을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도출하였다. 다음단계는 색채선호경향 설문지 제작을 위한 사전조사로서 2015년 7월 말에서 8월 말까지 부산시 소재 공공 도서관 9곳을 대상으로 환경색채 측색 및 사진촬영, 기록 등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색된 총 177개 환경색채와 이의 IRI(Image Research Institute) 색채이미지 스케일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선호경향 측정도구를 제작하였으며 2015년 10월 6일부터 12까지 부산시도서관 이용경험자 총 2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공공도서관 사용자의 지원환경 강화를 위한 환경색채계획의 참고자료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도서관 관련 시설계획 및 리모델링 시, 색채계획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