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색지각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1초

적록 색각 이상자를 위한 HSV색공간을 이용한 색변환 기법 (Re-coloring Methods using the HSV Color Space for people with the Red-green Color Vision Deficiency)

  • 김현지;조재영;고성제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3호
    • /
    • pp.91-10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적록색각 이상자를 위한 색 변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적록색각 이상자는 원추세포의 이상으로 인해 색상과 명도를 일반인과 다르게 인지하기 때문에 적색과 녹색의 구분에 어려움을 겪는다. HSV 색공간은 이러한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인간의 색지각과 유사한 색 공간으로,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HSV 색 공간에서 색상과 명도를 보정하여 색을 변환 한다. 이때 색상과 명도 보정정도는 개개인의 색각이상 심각도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색각 이상자 개개인에 따라 다른 보정정도를 적용함으로서 기존 이미지의 자연스러움은 유지 하고 구분하기 힘들었던 색상들도 구분 가능하게 변환된다. 제안하는 방법을 색각 이상자에게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한 결과, 색각 이상자가 구분하기 힘든 색상들이 색상의 자연스러움을 유지하면도 색차를 인지할 수 있는 색으로 변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첩단서 및 선택적 주의가 주관적 윤곽의 발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uperimposition Cue and Selective Attention on the Formation of Subjective Contours)

  • 정재훈;정찬섭
    • 인지과학
    • /
    • 제2권2호
    • /
    • pp.261-278
    • /
    • 1990
  • 주관적 윤곽의 발생이 상향처리 과정에만 의존하지 않고 중첩단서나 선택적 주의와 같은 인지요인에 의한 하향처리 과정에 의해 영향을 받을수 있음을 검증하기 위해 두개의 실험이 수행되었다.첫번째 실험에서는 중첩단서의 효과를 조사학 위해서 중첩되어 있는 세개의 Kanizsa 삼각형의 유도요소에 색정보를 첨가하여 발생시킨 네온색확산 현상이 사용되었다. 서로 다른 두 색으로 이루어진 Kanizsa 삼각형을 피험자에게 제시한 다므 중첩부위의 윤곽표면의 색을 측정했는데,중첩부위가 중첩하는 삼각형의 색으로 지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이런 결과는 중첩단서가 일종의 하행정보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두번째 실험에서는 선택적 주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중첩의 방향이 애매해서 관찰자의 의도에 따라 반전가능한 두개의 Kanizsa사각형을 제시하고 그 중 한 쪽의 사각형에 선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도록 한 다음 중첩부위의 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중첩부위가 두 사각형 중 선택적 주의를 받은 사각형의 색으로 지각되었는데,이것은 선택적 주위와 같은 인지요인이 주관적 윤곽의 발생과정에 중요하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주관적 윤곽의 발생이 상향처리 과정에만 의존하지 않으며,중첩단서나 선택적 주의와 같은 인지요인에 의한 하향처리 과정에 의해서도 예민하게 영향을 받을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말기신부전 환자의 혈액투석 치료가 안면 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emosialysis to the Face Color of Patients in End Stage Renal Disease)

  • 이세환;조동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7B권6호
    • /
    • pp.437-44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한의학의 진단법인 사진법 중 망진(望診)이론을 기반으로 인체 오장 중 가장 중요한 장기의 하나인 신장의 질환 진단을 위해 영상처리기법을 적용하여 색과 신장 질환과의 상관성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안면 영상을 처리하고 분석하여 신장 질환에 따른 얼굴색의 색차를 시각화, 객관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은 신장질환자 중 만성신부전으로 인해 혈액 투석 치료 중인 신장 기능 이상자 들을 대상으로 피 실험자 집단군을 구성하고 안면 영상 및 임상 자료를 수집하여 한의학적 망진 이론에서 신장과 관련된 얼굴 부위가 지각 이며 신장에 이상이 생길 경우 이 부위를 통해 흑색이 발현한다는 이론을 가설로 제시하고 안면 영상 중 지각 부위를 추출하는 알고리즘과 이 부위의 흑색의 변화를 측정 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끝으로 임상 실험 및 자료 분석을 통해 제안한 방법의 유용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Lith Film 현상액의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ufacture of Lith film developer)

  • 나형석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5-67
    • /
    • 1998
  • 현재, 디지털 하드카피에 있어서 색변환방법으로 신경망에 의한 비선형변환 방법은 많은 연구가 되어지고 있으며, 색변환 시스템으로서의 유용성이 확인되고 있다. 그러나, 학습용 패치의 제작시 여러 가지 프린트 왜곡에 의해서 톤 재현의 범위가 좁아지게 되고, 전체적으로 불균일한 학습용 패치가 얻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신경망 학습의 허용오차 범위가 줄어들게 되러 CIEL*a*b 에서 CMYK로의 정확한 색변환이 어렵게 되고, 재현된 결과물이 원고 화상과 큰 색차를 가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시 위해 시지각성특성에 기반을 둔 프린터의 톤 재현 범위 확장법을 이용하여 신경망의 학습용 패치를 제작하여 CIEL*a*b 에서 CMYK로의 비성형 색변환 방법을 제안하고, 제안한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PDF

식품색이 맛의 연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초콜릿 색채에 의한 맛 연상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Food Color on the Association of Flavor - with the Association of flavor by Chocolate's Colors)

  • 김유진;권은숙
    • 감성과학
    • /
    • 제4권2호
    • /
    • pp.25-32
    • /
    • 2001
  • 식품의 맛은 미각, 후각, 시각, 청각, 촉각에서 느낀 여러 가지 인상과 개인의 경험이나 기호가 복합적으로 적용되어 인식된다 특히, 맛을 결정하는 영향요인 중에서 시각을 통해 인지하는 색은 실제 맛을 지각하기 전에 맛에 대한 이미지를 연상시킴으로써 식품선택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식품색을 적용함에 있어 식품 자체의 맛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색을 활용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좀더 관능적으로 선호할 수 있는 식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특정식품을 선택하여 구매하고자 할 때 인지하게 되는 맛의 종류와 느낌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도구로써 색채를 사용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사례연구는 초콜릿색에서 연상되는 맛에 관한 웹설문을 통해 진행되었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식품색에서 연상하게 되는 맛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추출하고, 초콜릿의 맛의 종류와 느낌의 정도에 따른 주요 색채의 경향성을 도출함으로써 시각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초콜릿맛의 공감각적 특성을 전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안하였다.

  • PDF

물체 내부 윤곽선의 시각 작업기억 표상: 구멍이 있는 물체를 중심으로 (How is the inner contour of objects encoded in visual working memory: evidence from holes)

  • 김성호
    • 인지과학
    • /
    • 제27권3호
    • /
    • pp.355-376
    • /
    • 2016
  • 이차원 표면에 난 구멍은 이를 둘러싼 물체에 의해 경계 지워진 빈 배경임에도 불구하고, 구멍의 모양은 다른 물체만큼 쉽게 지각된다. 즉, 구멍은 전경-배경 조직화의 깊이-형태 간 연결 관계(depth-shape coupling)를 예외적으로 위반하여, 깊이 상으로는 배경임에도 불구하고 형태를 갖는 준-전경적(quasi-figural) 사례처럼 보인다. 구멍의 준-전경적 속성을 지지하는 연구들은 구멍과 물체의 재인율이 유사하다는 기억 과제 결과에 주로 의존하고 있으므로, 구멍 모양의 기억이 지각적 처리에 기반하고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본 연구는 재인 과제보다 즉각적인 지각 처리를 반영하는 변화탐지 과제를 이용하여, 구멍을 경계 짓는 물체의 안쪽 윤곽선이 시각 작업기억에 어떻게 표상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물체 내부에 다른 물체가 중첩된 접합 물체 조건과 구멍이 있는 물체 조건에서 안쪽 윤곽선과 바깥 영역의 색에 대한 변화탐지 수행을 비교하였다. 시각 작업기억의 선행 연구들은 형태나 방향과 같은 물체의 윤곽선 속성(boundary feature)이 표면 속성(surface feature)과 함께 통합되어 하나의 물체로 저장됨을 시사한다. 만일 구멍의 경계선이 구멍을 둘러싼 물체에 지각적으로 할당된다면, 이 경계선과 물체의 표면색이 통합적으로 부호화되는 물체 중심적 처리 이득으로 인해, 구멍 자극 조건에서 접합 자극 조건보다 높은 변화 탐지 수행이 예측되었다. 두 실험의 결과, 구멍 자극 조건의 변화 탐지 수행은 접합 자극 조건과 다르지 않았다. 이는 물체 내부의 윤곽선(구멍의 경계선) 속성이 물체의 표면 속성과 통합적으로 부호화되지 않으며, 구멍을 둘러싼 물체와 독립적으로 처리됨을 시사한다.

지각된 정보구조의 효과적 형성을 위한 색공간 네비게이션 시스템 연구 -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위계적 정보구조를 중심으로 - (A Color Navigation System for Effective Perceived Structure: Focused on Hierarchical Menu Structure in Small Display)

  • 경소영;박경욱;박준아;김진우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167-180
    • /
    • 2002
  • 작은 화면에서 방대한 규모의 정보를 보기 위해서는 정보구조가 잘 조직화되어야 하고, 항해 보조장치가 적절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위계적인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지닌 정보공간을 작은 디스플레이 공간(small screen)에서 제시할 때 사용자가 실제 공간 구조차 유사하게 내적 모형(internal model)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어떻게 항해 단서(navigation cue)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인지를 밝히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색을 중심으로 연구내용이 이루어 졌으며, 이는 색이 가지고 있는 속성과 색공간 개념이 위계구조의 정보공간과 잘 맵핑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정보공간을 위한 색공간은 색상과 톤 개념을 기반으로 정의되었다. 1차 사전 설문조사가 진행되었고, 2차 본 실험을 통해서 색 단서(color cue) 제공이 사용자의 공간구조 이해 및 항해 성과(navigation performance)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는 첫째, 카테고리 구분을 위해 사용된 색상은 정보공간의 개념을 이해하는데는 도움이 되지만, 항해 성과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톤으로 제공된 정보 깊이에 대한 단서는 정보공간의 개념 이해에도 별 도움이 되지 않았으며, 항해 성과에도 역시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기술로 마무리하였다.

  • PDF

인간 시각에 선형적인 계조 재현을 위한 프린터 보정 (Printer calibration for linearly perceived tone reproduction)

  • 이철희;이채수;강봉수;이응주;하영호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6S권4호
    • /
    • pp.55-69
    • /
    • 1999
  •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는 농도에 대해 선형적인 계조재현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인간 시각의 경우 농도에 선형적인 프린터 출력에 대하여 비선형적인 지각반응을 나타낸다. 즉 농도가 큰 패치(patch)에 대해서는 명도나 색차에 대한 변별력이 작으며 농도가 작은 패치에 대해서는 좀 더 예민한 변별력을 갖는다. 따라서 농도에 선형적인 프린터 출력은 시각적인 활성영역을 줄이므로 프린터에서 구별되는 계조의 범위가 좁아진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시지각 특성과 매우 상관도가 높은 CIELAB 색공간을 이용하여 균등한 명도 변화 및 색차를 나타내도록 하는 프린터 계조재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때 시각적으로 균등한 변화를 나타내는 프린터의 입력값을 찾기 위해 다층 퍼셉트론 신경망(multi-layer perceptron neural network, MLP)을 이용하였다. 신경망의 학습을 위해 계조에 따른 패치를 만들고, 프린터 구동입력신호 및 패치의 측정된 값으로 신경망을 학습하였다. 학습된 신경망으로 선형적인 출력을 내는 프린터 구동신호를 찾고 LUT(look-up table)를 이용하여 프린터 입력 신호를 역으로 보정하였다. 결과, 보정된 프린터의 출력이 선형적인 계조 변화를 보였고 변화가 인지되는 계조의 범위가 늘어났으며 실형상에 대한 실험에 있어서도 우수한 화질을 보였다.

  • PDF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색상을 인지하는 색채 속성 연구 (A Study on Colour Properties for Colour Recognition in Digital Media Environments)

  • 홍지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9-14
    • /
    • 2024
  • 색의 기본이 되는 구성 요소는 색상, 명도, 채도로 정의된다. 시지각 특성을 기초로 연구한 먼셀 표색계의 경우 색상(Hue), 명도(Value), 채도(Chroma)로 분류하였으며 세 가지 속성에 대하여 기록하는 방법에는 시감에 중점을 두어 색표를 기준으로 기록하는 현색계와 수치상으로 정확하게 기록하여 변색 우려가 없는 혼색계로 구분할 수 있다. 색을 전달하고 표현하는데 있어 색채 용어는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며 색채는 색상, 명도, 채도의 조합에 따라 색상을 구분하고 정의할 수 있다. 현재 다양한 미디어 매채의 개발로 인해 이전에 구현할 수 없던 색의 범위까지 표현할 수 있게 되었으며 디지털 중심의 색채 연구가 좀 더 세분화 되어 색채를 지각하는 특성에 대한 기초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디스플레이에서 시지각 기반 먼셀 표색계의 대표 10가지 색상을 대상으로 각 색상을 인지하는 명도와 채도의 범주에 대해 알아보고자 정신물리학 실험을 진행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진행된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색채 인지 특성에 대한 기초 연구 자료로써 유의미 여부를 정의한 후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견/합성섬유 혼방품의 일욕 염색 (II)(견에대한 분산염료의 염착, 탈착 및 합성섬유에의 이염의 색지각) (One Bath Dying of Silk/Synthetic Fiber Blends (2) (Color perseption of adsorption and desorption behavior of disperse dyes on silk and transfer to synthetic fibers))

  • 김공주;곽인준;박미라;전재홍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9-108
    • /
    • 1993
  • In one dyeing system of silk/synthetic blend fabrics (polyester, nylon, acetate) with acid dyes/disperse dyes, dyeability and desorptibility of disperse dyes on silk fabric and transfer from dyed silk fabrics to synthetic fabrics by color difference were examined. When silk dyed with C.I. Disperse Red 19 and C.I. Disperse Red 60 at 10$0^{\circ}C$ for 60 minutes, color difference of dyed silk were $\Delta$E=56.72, $\Delta$E=47.65 for blank silk, respectively. The desorption rate of the dyed silks were measured in boiling bath with and without dye-free synthetic fibers. The desorption rate of dyed silk was effected by affinity of synthetic fabrics contained. When silk dyed with Red 19 and Red 60 was reduced at 10$0^{\circ}C$ for 60 minutes, the decolouration rates of dyed silk were 75% and 40%, respecd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