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색지각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1초

남성의 재킷, 와이셔츠, 넥타이 색의 이미지 지각과 선호도 연구

  • 최유진;이명희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0-40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재킷, 와이셔츠, 넥타이 색과 지각자의 성별에 따른 남성 정장착용자의 이미지 지각의 차이를 밝히고,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남성 의복의 색 선호도의 차이를 조사하는 데 있었다. 연구방법은 준실험방법이며, 피험자간(between-subjects) 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2$\times$2$\times$2$\times$2의 요인설계로서 지각자의 성별(2), 재킷 색(2), 와이셔츠 색(2), 넥타이 색(2)을 독립변인으로 사용하였다. 재킷 색은 진남색과 회색을 택하였고, 와이셔츠 색은 흰색과 파란색이었으며 넥타이 색은 빨강과 파랑이었다. 이미지 지각을 측정하는 문항은 6개 차원의 7점 양극 형용사 쌍으로 구성된 의미미분척도였으며, 그 차원은 능력, 품위, 활동성, 선호평가, 남성성, 현시성이었다. 피험자는 서울 시내에 거주하는 20, 30대 남녀 각각 132명씩 총 264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통계 분석방법은 Cronbach의 $\alpha$-신뢰도 계수 산출, t-검증, 사원변량분석, 이원변량분석, 일원변량분석과 Duncan의 다중범위검증을 실시하였다.

  • PDF

한미 대학생의 색지각에 대한 비교연구 (The Comparison of Color Perception between Korean and American undergrauates)

  • 안옥희;박진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0-16
    • /
    • 2003
  • 본 연구는 육안비색법으로 파악한 13개의 미국표준색을 색채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색하여 미국표준색에 대한 남녀대학생의 색지각 범위를 CIE색도도 위에서 파악하여 이를 한국의 결과와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남자 60명, 여자 51명 계 111명의 미국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을 밝혔다. 1) 눈동자 색에 따른 색지각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미국대학생의 색지각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즉 Yellow, Green, Blue, White, Gray, Black이 속한 단순형, Yellow Red가 속한 X형, Blue Green, Purple이 속한 Y형, Yellow Red, Purple Blue가 속한 복합형이다. 3) 한미 양국인의 색지각유형을 비교한 결과, Yellow Red, Green, Blue, Purple의 경우는 지각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알았다. 4) 표준색과 평균지각색을 비교한 결과, 모든 색에서 표준색과 평균 지각색 간의 차이가 크다. 그리고 한미간의 비교를 한 결과, 한국인이 미국인보다 정확하게 색을 지각하고 있음을 알았다. 5) 표준색과 1순위 지각색을 비교한 결과, 미국인은 Red, Yellow, Green은 비교적 정확하게 지각하고 있으나, Blue Green, Blue, Purple Blue, Red Purple의 색지각 정확도는 매우 낮았다.

한일 대학생의 색지각에 대한 비교연구 (The Comparison of the Color Perception between the Korean and the Japanese undergraduates)

  • 안옥희;이정옥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6
    • /
    • 1998
  • 본 연구는 육안비색법으로 파악한 13개의 일본표준색올 색채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색하여 일본표준색에 대한 남녀대학생의 색지각 범위를 CIE색도도 위에서 파악하여 이를 한국의 결과와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남자 140명, 여자 119명 계 259명의 일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을 밝혔다. 1) 일본대학생의 색지각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즉, 赤, 黃, 靑, 白, 灰, 黑이 속한 단순형, 黃綠,赤緊가 속한 X형, 綠이 속한 Y형, 靑綠, 緊, 靑緊, 黃赤이 속한 복합형이다. 2) 한일 양국인의 색지각유형을 비교한 결과, 黃赤, 靑, 靑綠, 赤緊의 경우는 지각유형이 아주 다르다는 것을 알았다. 3) 표준색과 평균지각색을 비교한 결과, 끊은 그 값이 유사하였으나 줌은 표준색과 평균 지각색 사이의 차 가 크다. 그리고 한일간의 비교를 한 결과, 한국인이 일본인보다 정확하게 색을 지각하고 있음을 알았다.

  • PDF

노인의 색지각적 특성을 고려한 유료 노인주거 실내공간의 설계지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Guide of Fee Charging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Elderly reflected in Color Perception Characteristic)

  • 송춘의;김문덕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247-256
    • /
    • 2007
  • 본 연구는 인간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눈이 노화되어 감으로서 노인의 시각 노화과정에서 보이는 시지각과 관련된 정보습득 및 해석상의 색지각을 통한 특징을 반영하여 노인의 주 생활환경인 유료 노인주거 시설의 실내 공용공간의 설계지침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시각과 70세와 80세 후반까지를 모의 수정체를 이용하여 각 세대별 시지각을 통한 색채의 오류판단을 파악하였다. 노화에 따른 노인의 황변화 및 색지각 특성을 바탕으로 실내 공용공간의 색채 설계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인지 배색으로 유사조화 보다 대비조화를, 한색보다 난색계열을 사용함를 파악하였으며, 노인의 황변화에 따른 색지각 특성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 PDF

대학생의 선지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 안옥희;박숙현;이정옥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7권4호
    • /
    • pp.19-25
    • /
    • 1993
  • 본 연구는 한국표준색의 색지각 범위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남자 99면, 여자 126명의 대학생을 실험대상으로 하였으며 육안비색법과 색측정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을 밝혔다. 1) 색지각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즉, 빨강, 주황, 귤색, 노랑이 속한 단순형, 다홍, 노랑연두, 연두, 보라, 붉은 보라가 속한 X형, 초록, 청록, 바다색, 파랑, 감청이 속한 Y형, 풀색, 녹색, 남색, 남보라, 자주, 연지가 속한 복합형이다.2) 표준색과 평균지각색을 비교한 결과, 다홍, 노랑, 노랑연두, 연두, 풀색, 녹색, 초록, 보라는 그 값이 유사하였으며 파랑, 바다색, 붉은 보라, 연지 등은 표준색과 평균 지각색 사이의 차가 크게 나타났다. 3) 성별에 따른 지각차는 많은 색에서 나타났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정확하게 색을 지각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 PDF

지각자의 내향성-외향성이 의복색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이명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4년도 한국의상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Proceedings of the Korea Fashion
    • /
    • pp.56-59
    • /
    • 2004
  • 지각대상자를 평가하는 지각자의 특성에 따라 의복의 시각적 평가가 달라지게 되는데 지금까지 지각자 변인은 성별이 주로 많이 연구되었으며, 지각자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은 편이다. 특히 지각자의 심리적 특성 중에서 내향성-외향성을 다룬 내용은 거의 없는데 내향성-외향성은 일찍이 의복과 관련이 있는 성격 특질로 간주되어 왔다.(중략)

  • PDF

색 지각과 디지털 영상색 (Color Perception and Digital Color Image)

  • 박승옥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회
    • /
    • pp.4-5
    • /
    • 2002
  • 모든 공산품에서 색은 사용자의 감성적 인터페이스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고 있다 특히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컬러 디스플레이의 경우 색상의 표현특성이 사용자의 감성적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멀티미디어의 대중화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컬러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광범위한 영역의 영상정보를 주고받게 되므로 정확한 색의 재현은 정보의 전달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중략)

  • PDF

2D 애니메이션에서 색 변환행렬을 이용한 캐릭터의 자동 색 변환 (Automatic Color Transformation of Character Using Color Transformation Matrix in 2D Animation)

  • 정현선;문용호;김재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240-1250
    • /
    • 2007
  • 본 논문은 2D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자동 색 지정을 위하여 애니메이션 장면간의 캐릭터 색 변환 기술에 대해 제안한다. 사람이 지각하는 색은 조명이 달라지면 다른 색으로 지각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애니메이션 장면에 등장하는 캐릭터도 의상, 피부 등의 색이 장면 분위기에 따라 각각 다르게 지정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2D 애니메이션 장면간의 캐릭터 색 지정을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수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시도한 것으로써 조명에 따른 색 원리를 이용하여 장면간의 캐릭터 색 변환을 위한 행렬을 유도하였다. 이 색 변환행렬은 애니메이션 장면마다 각각 구해지는데, 기존의 2D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동일캐릭터의 기본색과 각 장면속의 색을 이용해서 구해진다. 이렇게 구한 색 변환행렬은 어떠한 캐릭터의 기본색만 주어진다면 다양한 장면 분위기와 잘 어울리는 색으로 변환이 가능해진다.

  • PDF

지각자의 유행관여가 의복색 지각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r′s Fashion Involvement on Clothing Color Perception and Preferences)

  • 이명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851-861
    • /
    • 2003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r's fashion involvement, clothing color, and background of object person on image perceptions of clothing, and to examine how clothing color preference vary according to perceiver's fashion involvement. Subjects were 273 college women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The T-shirt was changed into 11 colors by using the CAD system. Five factors were derived to account for the dimensions of image perception. These were individuality, elegance, femininity, activity, and neatness. Perceiver's fashion involvement g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rception of individuality. Clothing color g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5 image dimensions. White and beige were evaluated neat image. Neatness factor had an interaction effect by fashion involvement and clothing color. The high involvement group evaluated white and beige shirt more neatly, and orange and yellow less neatly than the low involvement group. Individuality and elegance had an interaction effect by fashion involvement and background of object person. The high involvement group liked red, violet, and black shirt more than the low involvement. Refined and becomingness image g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clothing color preference in both high and low involvement groups.